• 제목/요약/키워드: BBPI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경합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한 대두 및 대두가공제품 중의 Bowman-Birk Protease Inhibitors의 함량 분석 (Quantification of Bowman-Birk Protease Inhibitors in Soybeans and Soybean Products by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김성란;손동화;김수일;홍희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10-316
    • /
    • 1999
  • 대두가공제품 중에 존재하는 Bowman-Birk protease inhibitor(BBPI) 함량을 protease 저해활성 측정 및 경합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로 살펴보았다. 항체제조를 위한 BBPI는 ion exchange chromatography와 전기영동 후 gel slicing 방법으로 시판 soybean trypsin-chymotrypsin inhibitor로부터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분리한 BBPI를 면역원으로 rabbit anti-BBPI antibody를 조제하였으며 단백질 농도별 titration방법으로 BBP에 비교적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한 경합 ELISA 방법으로 BBPI를 정량하기 위한 표준 정량곡선을 작성하였으며 시료용액중의 BBPI 함량이 $0.03{\sim}30\;{\mu}g/ml$ 범위일 경우에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였다. 대두품종별 chymotrypsin 저해활성은 $8,462{\sim}12,428\;U/g$이었으며 BBPI 함량은 $482{\sim}692\;mg%$ 이었다. 시판 대두 가공제품 중에서 5종의 콩나물은 건물량 기준으로 $10,695{\sim}13,249\;U/g$의 chymotrypsin 저해활성과 $529{\sim}803\;mg%$의 BBPI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일부 두부제품에서도 68.9 mg%정도의 BBPI가 검출되었다. 그 밖의 두유, 된장, 고추장 및 간장 등의 대두발효식품, 탈지대두박 등에서는 chymotrypsin 저해활성 및 BBPI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 PDF

대두제품 기능성 성분의 조리 중 변화

  • 김정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46-54
    • /
    • 2005
  • 대두에는 이소플라본(isoflavone), 콩단백질, 올리고당(oligosaccharides), 식이섬유(dietary fiber), pretense inhibitor, 사포닌(saponin), 피틴산(phytic acid), 피니톨(pinitol)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있다. 대두 이소플라본의 경우, boiling, steaming, roasting의 가열 방법 중 roasting이 손실을 최소화하는 가열방법이며, 대두제품 중에는 대두, natto, 두부, 두유, 된장, 고추장 순으로 함량이 감소한다. 대두나 단순대두 가공품의 경우는 glucoside의 비율이 높은 것에 비하여, natto를 제외한 발효 대두에 있어서 aglycone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난다. 대두 올리고당 함량(%)은 생대두분말(2.87)>대두(2.75)>두유(2.59)>두부(0.56)>natto(0.34) 순으로 높다. 생대두의 경우 상당량의 BBPI(Bowman-Birk pretense inhibitor)가 함유되어 있으나 다양한 가공, 조리 공정을 거친 대두 가공제품의 경우 대부분의 BBPI가 소실 또는 불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두 phytate는 열과 수침에 비교적 안정하나, 발표기간이 길어지면 함량이 감소한다. 대두 피니톨은 수용성이며 열 및 산, 알칼리 조건에서 매우 안정하다. 대두는 생으로 섭취하지 않고 익혀서 먹거나, 다양한 대두제품의 형태로 섭취하므로, 생리활성을 기대하며 대두제품을 섭취할 때, 대두의 조리 및 가공 과정이 기능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