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AE

검색결과 42,030건 처리시간 0.052초

배추(숭(崧))의 어원(語源) 연구 (Origin of Chinese Cabbage(Pe-tsai))

  • 김종덕;이은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29
    • /
    • 2007
  • 1. Objectives We know that the origine of the pe-tsai is from 백채(白菜; pronounced as bak-tsai, meaning white vegetable). But some literatures said that the japanese butterbur(Petasites japonicus (Sieb. et Zucc.) Maxim) is from 백채(白菜;: pronounced as bak-tsai), too. These two words have same origin. It makes us get into a mess. So We are about to study the origine of the pe-tsai more. Also, we investigated its historical origin, properties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 efficacy. 2. Methods We reviewed farmings(e.g. 山林經濟, 林園經濟法), dictionarys(e.g. 訓蒙字會), encyclopedia(e.g. 物名攷), books on herbs and medicines to summarize literatures about the pe-tsai. 3. Results and Conclusions (1) The origin of term, pe-tsai is sung, named after a pine tree(松), chineses character pronounced as song) which we can see throughout a year. Also, pe-tsai was called white vegetables(白菜, pronounced as bak-tsai) because its appearance is green and white. Therefore, the pronounciation of sung derives from its character and we also say bak-tsai(白菜), which came from its looks. (2) Today we pronounce pe-tsai inro bae-tsu(배추) in korean. There are pronunciational developments of this word : bak-tsai(白菜) $\to$ bae-tsae $\to$ bae-tsa $\to$ bae-tsa $\to$ bae-tsae(배채) $\to$ bae-tsu(배추). (3) Our ancestor used bak-tsai(白菜) as the name of japenese butterbur, which was different from China. The latter times of Joseon(조선), however, sometimes bak-tsai(白菜) meant pe-tsai. After the year of 1800, bak-tsai(白菜) only meant pe-tsai. So when we try to translate our ancestor's books, we must examine carefully their published year. (4) Pe-tsai is used for baby's erysipelas, boil, fever in the chest, thirst after alcohol drinking and kind of diabetes. It helps digestive organs as well. Pe-tsai is used for stress, fever in the chest and cough with fever of Soyangin and Tayangi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PDF

Quality Evaluation of Moutan Cortex Radicis Using Multiple Component Analysis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Ding, Yan;Wu, Enqi;Chen, Jianbo;Nguyen, Huu-Tung;Do, Thi-Ha;Park, Kyung-Lae;Bae, Ki-Hwan;Kim, Young-Ho;Kang, Jong-Se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0호
    • /
    • pp.2240-2244
    • /
    • 2009
  • A simpl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Moutan Cortex Radicis based on chromatographic fingerprints that characterize eight pharmacological compounds, namely, gallic acid, paeoniflorin, galloyl paeoniflorin, benzoic acid, quercetin, benzoylpaeoniflorin, paeoniflorigenone, and paeonol.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their characteristic UV profiles and the mass spectroscopy data, and their contents were determined by HPLC. The chromatographic separation was performed on a $C_{18}$ column by gradient elution with 0.05% formic acid in water and acetonitrile. The methodological validation gave acceptable linearities (r = 0.9996) and recoveries (ranging from 99.4∼103.1%). The limits of detection (LOD) of these compounds ranged from 10 to 30 $\mu$g/mL. The representative chromatographic fingerprints of Moutan Cortex Radicis were obtained by analyzing 20 batches of samples collected from markets in Korea and China. For the efficient evaluation of quality for the commercial Moutan Cortex Radicis it is recommended that the total content of the six characteristic compounds should contain more than a minimum of 2% and that the content of total paeoniflorin and paeonol should exceed a minimum of 1.5% of dry weight of Moutan Cortex Radicis.

고성오광대 문둥북춤의 춤사위와 연행구조 전승양상 고찰 - 조용배 연행의 문둥북춤을 중심으로 - (Review on succession aspects of direction structure and dancing in Moondoong drum dance by GoseongOgwangdae - Focusing on Moondoong drum dance directed by Yong Bae Cho -)

  • 박인수
    • 공연문화연구
    • /
    • 제38호
    • /
    • pp.71-109
    • /
    • 2019
  • 본 연구는 고성오광대의 연희자 조용배가 연행한 문둥북춤을 중심으로 춤사위와 연행구조의 전승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용배 이전 문둥북춤을 연행한 홍성락은 주로 굿거리장단에 북을 들고 연행하는 '북춤' 만을 연행하였다. 홍성락이 문둥북춤을 연행하는 과정에서 북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데, 1965년 이전에는 북, 1966년에는 반고, 1967년에는 소고로 변화되며 이후부터는 주로 소고로 연행된다. 조용배는 1970년부터 문둥북춤을 연행하며, 1972년 8월 이전부터 '북춤'과 함께 소고를 바닥에 두고 연행하는 '문둥춤'과 덧배기장단의 연행이 추가된다. 1974년 겨울부터 고성오광대 첫 전수를 기점으로 문둥북춤은 음탕한 동작이 사라지고, 양반이라는 설정과 한을 승화하는 내용이 추가된다. 이러한 변화는 통영오광대 문둥북춤의 연행형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용배가 연행한 문둥북춤을 살펴보면 일정한 패턴이 있었다. '문둥춤'의 경우 고정된 사위 3개를 중심으로 고정된 사위 → 「즉흥무」 → 「뛰기」(반복)의 형식으로 연행되었다. '북춤'의 경우도 고정된 사위 4개를 중심으로 고정된 사위 → 「소고 돌리기」 → 「맺기」 → 「즉흥무」 → 「뛰기」 (반복)의 형식으로 연행되었다. 조용배의 '북춤' 사위를 살펴보면 선대연희자인 홍성락이 연행해오던 사위가 많은 부분 남아있어, 이를 정리하고 새로운 춤사위를 더해 연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용배가 타계한 이후 허종복은 전수를 위해 조용배가 연행한 문둥북춤의 연행구조를 중심으로 춤사위를 조금 더 늘려 완벽한 순서를 지닌 춤으로 정리하였다. 이후 정리된 춤사위의 연행구조를 중심으로 허종원은 다리를 절며 등장하는 장면, 허창렬은 보리를 먹고 기뻐하는 장면, 힘겹게 소고와 채를 잡는 장면 등 사위를 계속해서 추가하고 있다. 이처럼 조용배는 '북춤'만 연행되어 오던 이전 작품에 '문둥춤'을 추가하고, 이야기와 한을 담기 시작하였다. 조용배가 연행해온 연행구조는 이후 기본 골격이 되어 이를 중심으로 후대 연희자들이 계속해서 장면을 추가해왔다. 이처럼 조용배는 선대의 문둥북춤을 갈고 닦아 정립하고 발전시켜 후대에게 넘겨준 훌륭한 고성오광대의 연희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