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3G

검색결과 8,318건 처리시간 0.041초

천마(Gastrodia elate)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물질의 멜라닌 생성 억제작용 (Anti-melanogenesis Effect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Gastrodia elata)

  • 김경태;김진국;박선희;이정하;이수희;김기호;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3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천마(Gastrodia elata)추출물의 분획과 butanol 분획층의 연속적인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유효성 분인 4-hydroxybenzyl alcohol 1. bis(4-hydroxyphenyl) methane 2. gastrodin(4-$\beta$-D-glucopyranosyloxybenzyl alcohol) 3을 분리하였다. 4-Hydroxybenzyl alcohol 1과 gastrodin(4-$\beta$-D-glucopyranosyloxybenzyl alcohol) 3은 tyrosinase에 대한 저해작용은 없으나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새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Bis(4-hydroxyphenyl)methane 2 ($IC_{50}$/ = 400 $\mu\textrm{g}$/mL)은 arbutin ($IC_{50}$/ = 400 $\mu\textrm{g}$/mL) 보다 약 $\frac{1}{4}$의 tyrosinase 활성 저해작용을 나타내었지만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 억제는 오히려 arbutin 보다 높게 나왔다. 또한 butanol 분획층 ($IC_{50}$/ = 46$\mu\textrm{g}$/mL)의 tyrosinase에 대한 활성 저해 작용이 arbutin ($IC_{50}$/ = 114 $\mu\textrm{g}$/mL)보다 높은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고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 억제도 arbutin 보다 높게 나왔다. 특히 butanol 분획층으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혼합물 ($IC_{50}$/ = 2.37 $\mu\textrm{g}$/mL)은 arbutin 보다 약 50배 가까운 매운 높은 tyrosinase 활성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천마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효성분들이 tyrosinase에 대한 저해작용 뿐만 아니라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한 야콘 추출물의 비피더스균에 대한 잠재적인 프리바이오틱 효과 (Potential prebiotic effects of yacon extract, a source of fructooligosaccharides, on Bifidobacterium strains)

  • 김수정;손황배;권빈;박명수;홍수영;남정환;서종택;이종남;김기덕;장동칠;김율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49-15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야콘 덩이뿌리 추출물이 프로바이오틱스인 비피더스균과 락토바실러스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야콘의 당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생체 중 100 g 당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이 7.6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리당은 수크로스가 0.72 g, 프럭토스 0.34 g, 글루코스 0.26 g 순의 함량을 보였다. 야콘 추출물이 장내 유산균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락토바실러스 3종(L. acidophilus AD031, L. plantarum BH02 and L. fermentum BH03)과 비피더스 3종(B. bifidum BGN4, B. longum BORI, B. lactis AD011) 등 6종을 대상으로 대조군과 야콘처리군 배지에서 유산균의 생장속도를 비교하였다. 락토바실러스 3종의 균주들은 대조군과 야콘처리군에서 대수기에 도달하는 시간이 비슷하였고, 생균수에서도 비슷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비피더스 3종의 경우 야콘처리군에서 모두 생장이 증가되었고, 특히, B. longum BORI 균주는 배양 10시간 이후부터 대조군과의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야콘 추출물은 장내 유익균 중에서도 비피더스균에 특이적인 증식 효과를 보이며, 야콘의 프락토올리고당이 비피더스균 증식에 적합한 영양원임을 확인하였다.

참기름과 들기름의 제조조건에 따른 벤조피렌 함량 변화 (Minimizing Benzo(a)pyrene Content in the Manufacturing of Sesame Oil and Perilla Oil)

  • 김형열;송대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6-561
    • /
    • 2008
  • 참기름, 들기름에서 벤조피렌의 생성경로 및 감소화 방안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산지 및 종류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근본적으로 국내산 및 수입산 참깨, 들깨에는 각각 $0.06{\sim}0.31{\mu}g/kg$$0.12{\sim}0.47{\mu}g/kg$의 벤조피렌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 참깨, 들깨를 $220^{\circ}C$에서 20분간 볶은 후에는 각각 $1.87{\sim}2.47{\mu}g/kg$$2.12{\sim}2.43{\mu}g/kg$의 벤조피렌이가 검출되었고, 이를 압착한 후 얻어진 기름 중에서는 각각 $3.68{\mu}g/kg$$4.64{\mu}g/kg$의 벤조피렌이 검출되었다. 이는 볶음-압착공정을 밀폐형으로 수행할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주입하여 생성된 연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참기름, 들기름에 함유된 벤조피렌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심분리에 의한 찌꺼기 성분의 완전분리, 규조토, 활성탄소 및 규조토-활성탄소 혼합분을 이용한 여과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보았으나 활성탄소에 의한 여과법에서만 감소화 효과가 나타났다. 동일한 공정을 개방형으로 수행할 경우에는 각각 $0.63{\mu}g/kg$$0.56{\mu}g/kg$이 검출되는데 볶음 공정에서 발생한 연기가 기름 중에 흡입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개방형 공정에 의할 경우 권장규격기준인 $2.0{\mu}g/kg$ 이내의 참기름, 들기름을 생산할 수 있었다.

유전자 재조합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CJC-50100의 일반약리작용 (General Pharmacology of CJC-50100, a Recombinant 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gen)

  • 정성학;최재묵;이남중;전형수;김연희;김재승;하석훈;김영훈;이나경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9권1호
    • /
    • pp.55-62
    • /
    • 2001
  • CJC-50100 is a recombinant 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gen (HBsAg) expressed in yeast. The general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CJC-50100 were evaluated in mice, rats, dogs and isolated guinea pig ileum. The doses were 0.33~33.3 $\mu$g/kg i.m. for mice and rats and 3.3~9.9 $\mu$g/kg i.v. for dogs. The concentrations of 0.002~0.02 $\mu$g/ml were used for the assay with guinea pig ileum.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f CJC-50100 at the doses did not alter general behavior and the responses for central nervous system, smooth muscle, gastrointestinal system,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system, and water and electrolytes excretion. In summary, CJC-50100 had no pharmacological effect in these studies even up to the 100-fold of the expected clinical dose, 20 $\mu$g/man/60 kg.

  • PDF

Detection of Emetic Bacillus cereus from Ready-to-eat Foods in Markets and its Production of Cereulide under Simulated Conditions

  • Kim, Heesun;Chang, Hyeja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18
    • /
    • 2020
  • B. cereus-produced cereulide as an emetic toxin is commonly isolated in starch-based cooked foods.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B. cereus from ready-to-eat foods in market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and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B. cereus and the quantity of cereulide in the sample after different storage times and temperatures. The prevalence of general B. cereus in 43 starch foods was 32.6%, and the level of B. cereus ranged from 0.5 to 1.95 log cfu/g, meeting the Korea Food Code Specifications of 3 log CFU/g of B. cereus. No samples revealed emetic B. cereus. Fried rice samples were inoculated with a cereulide-producing reference strain, B. cereus NCCP 14796, to determine the level of B. cereus and the quantity of cereulide in the samples after storage for 0, 4, 6, 8, 20, 24, 30, 48, 72, and 96 h at 7, 25, 35, and 57℃. The average levels of B. cereus at 7, 25, 35, and 57℃ were 4.38, 7.31, 7.88, and 3.82 log cfu/g, and the levels of cereulide were 150.41, 1680.70, 2652.65, and 77.83 ㎍/mL, respectivel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cubation time (P<0.05) and temperature (P<0.001).

초유에서 분리한 면역조절물질인 MIEF가 B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 이종길;한성순;이종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55-255
    • /
    • 1994
  • MIEF는 소의 초유중에 함유되어 있는 분자량 22,000 dalton의 peptide로서 말초혈액 림파구의 배양액에 첨가할 경우 자연살해세포를 활성화 시켜 암세포에 대한 자연살해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미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유기간별 MIEF의 함량 및 MIEF가 B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유기간별 MlEF의 함량을 competitive ELISA inhibition assay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MIEF의 함량은 수유 첫째날의 초유에 109$\mu\textrm{g}$/ml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로 급격히 감소하여 3일째 이후에서는 3-4$\mu\textrm{g}$/ml이하로 존재하였다. MIEF가 B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은 사람의 편도선에서 분리한 림파구의 배양액에 MIEF를 가하고 5-9일간 배양한후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의 수를 ELISPOT assay로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MIEF는 10-30$\mu\textrm{g}$/ml의 농도에서 B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켰으며, 그 정도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LPS와 유사하여 MIEF가 B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작용이 아주 강력함을 알수 있었다.

  • PDF

Impact of Rhizosphere Competence of Biocontrol Agents upon Diseases Suppression and Plant Growth Promotion

  • Park, Chang-Seu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1994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S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 /
    • pp.27-49
    • /
    • 1994
  • Root colonization of biocontrol agents via seed treatment was investigated and a compatible combination, Gliocladium virens G872B and Pseudomonas putida Pf3, in colonizing cucumber rhizosphere was confirmed through the study. Much higher number of fungal and bacterial propagules were detected when two isolates were inoculated together. The presence of Pf3 in root system was greatly helpful to G872B to colonize at root tip. The mechanism of this phenomenon is partially elucidated through the results of in vitro experiments and the observations of scanning electron and fluorescence microscope. Addition of Pf3 cells resulted earlier germination of G872B conidia and increased mycelial growth. And the more number of germinated conidia on seed coat, the more vigorous hypal streching and sporulation on the root surface were observed in coinoculated treatment. The propagules of G872B on the cucumber root when they were challenged against the pathogenic Fusarium oxysporum, were even higher than that of G872B treated alone, and the magnitude of such a difference was getting grater toward the root ip and the population of F. oxysporum on the root was reduced by seed inoculation of G872B. The rhizosphere competence was obviously reflected to disease suppression and plant growth promotion that induced by the given isolate. Green house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combined treatment provided long-term disease suppression with greater rate and the larger amount of fruit yield than single treatments. Through this study the low temperature growing Pseudomonas fluorescens M45 and MC07 were evaluated to apply them to the winter crops in field or plastic film house. In vitro tests reveal that M45 and MC07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Pythium ultimum, Rhizoctona solani and Phytophthora capsici and enhanced growth of cucumber cotyledon in MS agar. This effect was more pronounced when the bacteria were incubated at 14$^{\circ}C$ than at 27$^{\circ}C$. And disease suppression and plant growth promotion in green house were also superior at low temperature condition. Seed treatment of M45 or soil treatment of MC07 brought successful control of damping-off and enhanced seedling growth of cucumber. The combined treatment of two isolates was more effective than any single treatment.

  • PDF

수종의 국화과 식물에서 분리한 Sesquiterpene Lactone들의 생리활성(제3보) -Nitric oxide 방출 및 ACAT 저해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Several Compositae Plants Part 3 -Inhibitory Activity on Nitric Oxide Release and ACAT-)

  • 장대식;박기훈;고학룡;이현선;권병목;양민석
    • 생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4-78
    • /
    • 1999
  • Nine sesquiterpene lactones, which were isolated from Hemisteptia lyrata Bunge,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Kitamura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were evaluated for the inhibition upon the nitric oxide release from the Raw cell and for the ACAT (acyl Co 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y assay. In the nitric oxide release inhibitory experiment, hemistepsin B $(IC_{50}\;=\;0.05\;{\mu}g/ml,\;0.15\;{\mu}M),$ cumambrin B, tulipinolide and costunolide exhibited strong inhibition with $IC_{50}$ values $0.05\;{\mu}g/ml\;(0.15\;{\mu}M),\;0.1\;{\mu}g/ml\;(0.38\;{\mu}M),\;0.2\;{\mu}g/ml\;(0.69\;{\mu}M)$ and $0.2\;{\mu}g/ml(0.86\;{\mu}M),$ respectively. In the ACAT inhibitory assay, angeloylcumambrin B, tigloylcumambrin B, tulipinolide and costunolide exhibited strong inhibition with $IC_{50}$ values $33\;{\mu}g/ml\;(95.4\;{\mu}M),\;22\;{\mu}g/ml\;(63.6\;{\mu}M),\;38\;{\mu}g/ml\;(151\;{\mu}M)$ and $17\;{\mu}g/ml(73.3\;{\mu}M),$ respectively, whereas other compounds did not exhibit significant activity against ACAT above $100\; {\mu}g/ml.$.

  • PDF

저장온도와 저장시간에 따른 햄버거와 샌드위치의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of Hamburger and Sandwich during Storage under Simulated Temperature and Time)

  • 최선강;이명섭;이경호;임대석;이광형;최경희;김창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34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of the microbial and sensory quality of ready-made hamburger and sandwich. Initial total plate count of hamburger for establishment A and B were 1.2$\times$102 cfu / g and 3.4$\times$102 cfu / g, respectively, and for establishment C was 7.9$\times$104 cfu / g. After 48 hour storage at 1$0^{\circ}C$, total plate count of hamburger for establishment A and B increased to 1.2$\times$104 cfu / g and 6.8$\times$103, respectively, and for establishment C increased to 1.2$\times$107 cfu / g. Initial total plate count of sandwich for establishment A and B were 3.2$\times$102 cfu / g 7.9$\times$102 cfu / g, respectively, and for establishment C was 1.1$\times$105 cfu / g. After 48 hour storage at 1$0^{\circ}C$, total plate count of hamburger for establishment A and B increased to 8.1$\times$103 cfu / g and 2.3$\times$104, respectively, and for establishment C increased to 4.4$\times$108 cfu / g. No E. coli, Salmonella, Vibrio,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detected under simulated storage condi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pH, acid value, and volatile nitrogen number under simulated conditions. In sensory evaluation of hamburger and sandwich, sensory score was lowered by increase of total plate count.

  • PDF

메탄자화균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의 메탄올 기질에서의 성장 (Growth of an Obligatory Methanotroph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 on Methanol)

  • 강문선;황재웅박성훈
    • KSBB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212-220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강제성 에탄자화균인 M. trichas P parium OB3b를 메탄융기질에서 배양하면서 여러 환 경요인 벚 배지요인의 영향을 조사하고 최적 배양조 건을 구하였다. 또한 배양특성을 메탄기질 성장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대비성장속도는 메탄 기질 성장시 ${\mu}=$0.08hr^{-1}$ 인데 반해 메탄올 기질 성장시에는 ${\mu}=$0.20hr^{-1}$로 2배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메탄융 최 척농도는 0.5% (v/v)이였다. 2. 질소원으로는 메탄올 기질에서는 암모니아가 질산염보다 우수한 반면 에탄 기질에서는 질산염이 우수하였다. 3. 질소원에 대한 균체수율 $(Y_{X/N})$ 은 탄소원의 종 류와 관계없이 모두 7.14g dry cells/g N으로 통일 하게 냐타났다. 탄소원(MeOH)에 대한 균체수율 $(Y_{X/S})$은 질소원으로 암모니아를 사용한 경우 0 0.8g dry cells/g MeOH이고 질산염을 사용한 경우 는 0.64g dry cells/g MeOH로 암모니아의 경우가 약 20% 가량 높았다. 4. 배양옹도는 최적옹도가 $30^{\circ}C$ 인데 메탄올의 농 도가 높은 경우 고온에셔 에탄융의 독성 증가에 따 른 비성장속도의 큰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5. pH는 6.5~8.0 범위에 완만한 최척값을 보여 주었다. 6. 인산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메탄올탈수소 효소(MDH)의 활성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에탄융 기질에서 균체의 비성장속도는 인산염농도 60mM까 지 거의 일정하였다. 이 결과는 MDH의 활성이 균 체의 최척성장에 필요한 활성의 거의 2배 이상 수준 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7. 생물반응기 배양에 서는 pH조절과 메탄올의 첨 가로 최종 균체농도는 2.10mg dry cells/ml까지 볼 수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