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16F10 Melanoma cell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7초

Differential Effects of Methoxylated p-Coumaric Acids on Melanoma in B16/F10 Cells

  • Yoon, Hoon Seok;Lee, Nam-Ho;Hyun, Chang-Gu;Shin, Dong-Bu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73-77
    • /
    • 2015
  • As an approach to search for chemopreventive agents, we tested p-coumaric acid, 3-methoxy-p-coumaric acid (ferulic acid), and 3,5-dimethoxy-p-coumaric acid (sinapic acid) in B16/F10 melanoma cells. Intracellular melanin contents were determin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and cytotoxicity of the compounds were examined by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p-Coumaric acid showed inhibitory effect on melanogenesis, but ferulic acid increased melanin content, and sinapic acid had almost no effect on melanogenesis. Treatment with ferulic acid resulted in a 2 to 3 fold elevation in the production of melanin. Correlatively, cell viabilit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hen treated with ferulic acid. However, ferulic acid did not affect the LDH release from the cells. Treatment with sinapic acid resulted in a 50~60% elevation in the release of LDH when treated with a $200{\mu}g/mL$ concentration and showed neither cytostasis nor increase of melanin synth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Taken together, p-coumaric acid inhibits melanogenesis, ferulic acid induces melanogenesis, and sinapic acid exerts cytotoxic effects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ition of methoxy groups to p-coumaric acid shows the melanogenic or cytotoxic effects in melanoma cells compared to the original compoun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methoxylate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can be used as a chemopreventive agent.

중의 약재로부터 피부 미백제의 탐색 (The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 ;;이수연;김영희;박선기;오선택;김기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7-26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미백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기 위해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47종의 천연약재 또는 복합처방 중에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지닌 원료를 찾고자 하였다. 그 중 버섯 티로시나제 활성 실험에서는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B16-F10 멜라닌 생성세포(B16-F10 melanoma cell)를 이용하여 류기노와 단삼을 선별하였으며 단삼에서 단삼소(丹蔘素, $\alpha$,3,4-trihydroxybenzenepropanoic acid sodium salt)를 분리하여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류기노와 단삼소는 농도에 따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류기노는 $300\;{\mu}g/mL$의 농도에서 약 60%, 단삼소는 $100\;{\mu}g/mL$의 농도에서는 약 50%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연구 결과로써 얻어진 2종의 원료는 새로운 천연 미백 소재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ndritic Cell as an effective cancer immuno-cell therapy module II. : Anti-tumor effect of cultured DCs in murine melanoma metastasis model

  • Kim, Myung-Ju;In, So-Hee;Baek, So-Young;Lee, Young-Joon;Lee, Hyun-Ah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37.2-137.2
    • /
    • 2003
  • Dendritic cells (DCs) are known to professional antigen presenting cell (APC). Due to the role as an effective activator of cytotoxic T Lymphocytes by expressing MHC, adhesion and co-stimulatory molecules, DCs are now widely recogniz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mmune responses to tumors.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ultured DCs in murine melanoma pulmonary metastasis model. To follow the metastasis protocol, syngenic melanoma cells were inoculated intra-venously into the mouse (B16F10 into the C57BL/6)8 days prior to the first DC injection (1$\times$106 DCs/ mouse, i.p.) and the autologous tumor cell lysate pulsed-DCs were injected as a therapeutic module twice in two weeks. (omitted)

  • PDF

육종용 추출물의 미백과 항노화 효과 (Whitening and anti-aging effects of Cistanche deserticola extract)

  • 양원태;김경숙;권용삼;김두현;김도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92-499
    • /
    • 2016
  • 본 연구는 육종용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육종용 추출물의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능 검정을 위해 수행되었다. 육종용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은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MTT assay를 수행하여 측정한 결과, 육종용 추출물 4 mg/ml 농도에서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육종용 추출물을 처리한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RT-PCR로 유전자 발현을 검정한 결과 tyrosinase, collagenase 및 elastase 유전자의 발현을 육종용 추출물 4 mg/ml 농도에서 각각 80.9%, 37.6%, 70.9% 억제 하였다. 육종용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2 ~ 10 mg/ml 농도에서 70.6% ~ 82.6%로 높게 나타났다. 육종용 추출물의 미백과 항노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육종용 추출물을 2, 4, 6, 8 및 10 mg/ml 농도로 처리하여 확인하였다. 육종용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66.8% ~ 78.5%, elastase 저해활성은 67.6% ~ 79.3%, collagenase 저해활성은 72.3% ~ 83.6%로 각각 나타났으며, hyaluronidase 저해활성은 65.8% ~ 69.2%로 나타났다. 따라서 육종용은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를 위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세포생존율과 각종 효능을 고려할 때, 육종용 추출물 4 mg/ml 농도가 적정농도로 판단된다.

니겔라 사티바 오일의 미백 효능에 관한 연구 (Effect of Nigella sativa Oil on Melanogenesis)

  • 이수연;이새미;허우범;김진국;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19-326
    • /
    • 2011
  • 니겔라 사티바(Nigella sativa Linn.) 오일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니겔라 사티바 오일 및 오일에서 분리된 유효성분들을 버섯 타이로시네이즈 효소,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저해 활성시험 결과에서 니겔라 사티바 오일은 10 mg/mL의 농도에서 약 86 %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RT-PCR과 Western blot을 통한 멜라닌 생성 기작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결과, 멜라닌 합성의 주요 단백질인 타이로시네이즈 발현 저해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및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니겔라 사티바오일은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뿐만 아니라, 멜라닌 합성에 필수적인 효소(타이로시네이즈, TRP-1, TRP-2)의 발현저해를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니겔라 사티바 오일은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하는미백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16F10 세포에서의 오크라 추출물의 미백 활성 검증 (Whitening Effect of Abelmoschus esculentus on Melanoma Cells (B16F10))

  • 유단희;이인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85-492
    • /
    • 2021
  • 본 연구는 오크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tyrosinase의 효소 억제 활성으로 측정한 결과, 최종 농도인 1,000 ㎍/ml 농도에서 22.2%, 32.8%의 저해활성 효과를 보였다. 세포 차원에서 미백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오크라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melanoma cell (B16F10)에서 MTT assay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00 ㎍/ml 농도에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농도 이하에서 멜라닌 생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억제 효과를 5, 10, 50, 100 ㎍/ml의 농도에서 western blot으로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β-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오크라 열수 추출물은 100 ㎍/ml 농도에서 MITF, tyrosinase, TRP-1, TRP-2 인자들은 각각 88.1%, 24.8%, 62.2%, 42.9%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오크라 70% 에탄올 추출물은 100 ㎍/ml 농도에서 MITF, tyrosinase, TRP-1, TRP-2 인자들은 각각 65.3%, 58.3%, 66.2%, 65.3%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산약의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 MITF, TRP-1, TRP-2, Tyrosinase, PKA, ERK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icacy of Dioscoreae Rhizoma on MITF, TRP-1, TRP-2, Tyrosinase, PKA and ERK Expression in Melanoma Cells (B16F10))

  • 이수연;유단희;주다혜;이진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5-100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whitening effects and developing by cosmetics of the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health-promoting herb in herbal medications.Methods : We performed tyrosinase inhibition ass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 for whitening effects. Also we measured MTT assay for cell viability.Results :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For whitening effect,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showed more than 42.28% at 1,000 ㎍/㎖ concentration. Cell toxicity effect on melanoma cells (B16F10) of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showed 81.97% with toxicity at 50 ㎍/㎖ concentration. So we were measured at a concentrations of 5, 10 and 50 ㎍/㎖ in all experiments involving cell. In addition, whitening related mRNAs including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tyrosinase were reduced byDioscoreae Rhizoma. We also foundDioscoreae Rhizomatransiently decreased protein kinase A (PKA) which is known to be upstream to the down regulation of MITF and tyrosinase. But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 related kinase (pERK) were increased byDioscoreae Rhizoma. These results imply thatDioscoreae Rhizomadecrease melanogenesis via ERK activation and subsequent down regulation of MITF and tyrosinase.Conclusions : Therefore, all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potent usage ofDioscoreae Rhizomaas materials of functional cosmetics by confirming whitening activity related with melanin content.

Synthesis of α-cichoriin Using Deinococcus geothermalis Amylosucrase and Its Antiproliferative Effect

  • Moon, Keumok;Park, Hyun Su;Lee, Areum;Min, Jugyeong;Park, Yunjung;Cha, Jae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18-227
    • /
    • 2022
  • Glycosylation of aesculetin was performed using amylosucrase from the hyperthermophilic bacterium Deinococcus geothermalis DSM 11300 to improve the solubility and biological activity of aesculetin. A newly synthesized aesculetin glycoside was identified as α-cichoriin (aesculetin 7-α-D-glucoside)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alysis. The solubility of α-cichoriin was 11 times higher than that of aesculetin because of the attached glucose moiety. Aesculetin and α-cichorii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liferation of normal cells, such as RAW 264.7, but they showed a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effect on B16F10 melanoma cells. Unlike treatment with aesculetin and α-cichoriin, aesculin (aesculetin 6-β-D-glucoside) showed no antiproliferative activity in B16F10 cells. Based on the molecular structures of aesculin and α-cichoriin, the position where glucose binds to aesculetin and the anomeric configuration between glucose and aesculetin are thought to be important for exerting an antiproliferative effect on the B16F10 cell line.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α-cichoriin, the α-glycosylated form of aesculetin, may serve as a model for developing phytochemical analogs with therapeutic potential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tumor cell proliferation without cytotoxicity to normal cells.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Esculetin와 Esculin의 미백 효능 (Depigmenting Effects of Esculetin and Esculin Isolated from Fraxinus rhynchophyllaHance)

  • 홍용덕;남미희;이창석;신송석;박영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9-94
    • /
    • 2014
  • 물푸레나무 수피 추출물은 주요 생활성 물질로서 esculetin과 esculin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가운데, Esculetin은 B16F10 melanoma cells에서 $IC_{50}$ value $2.8{\mu}M$의 아주 좋은 melanogenesis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Melan-A cell에서 melanin 합성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esculetin은 mushroom tyrosinase에서도 $IC_{50}$ value $40{\mu}M$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melanin biosynthesis를 저해한다. 위의 결과들로서, 우리는 melanogenic enzyme 활성 조절에 의해 melanin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적인 피부미백 물질로서 esculetin을 제안하고자 한다.

만형자 용매 분획물의 미백 개선 효과 (Whitening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Isolated from Vitex rotundifolia)

  • 유재묘;김동희;손준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266-271
    • /
    • 2015
  • 최근에는 hyper-pigmentation에 대한 제품 개발을 위해 melanogenesis의 경로에 대한 이해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만형자(Vitex rotundifolia)의 depigmentation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B16F10 mouse melanoma cell을 이용하여 tyrosinase, MITF, TRP-1, TRP-2 그리고 melanin synthesis의 저해를 확인하였고,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VR-EA)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VR-EA는 tyrosinase와 TRP-1의 경우 각각 53.2, 88.4%의 저해율을 보여 미백에 있어서 효과적인 활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만형자는 melanin synthesis를 효과적으로 막아주어 미백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