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16BL6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3초

위암으로 위 전절제술 후 비타민 Bl2 결핍과 치료 (Vitamin B12 Deficiency after a Total Gastr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채현동;박기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6-10
    • /
    • 2006
  • 목적: 위절제술 후 가장 많이 발생하는 대사 장애는 빈혈이며 2가지 종류가 있다. 그 하나는 철 부족 빈혈이고 나머지 하나는 비타민 B12 대사 장애로 발생하는 빈혈이다. 비타민 B12부족을 빨리 발견하면 늦게 발견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신경, 정신적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위 전절제술 후 비타민 B12 부족에 대한 발생률과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4년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진단받고 위 전절제술을 시행한 128명을 대상으로 비타민 B12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타민 B12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200 pg/ml 이하를 치료 대상으로 하였다. 혈중 농도의 부족한 정도에 따라서 $4{\sim}6$개월 간격으로 추적 검사하였다. 결과: 위 전절제술 128명 중 비타민 B12 혈중 농도가 200pg/ml 이하는 47.6% (61명)였다. 위 전절제술 후 시기별 누적 빈도수는 혈중 농도 200 pg/ml 이하는 1년 23.4%, 2년 33.6%, 3년 39.1%, 4년 41.4%, 5년 이상 47.7%였다. 혈중 농도 200 pg/ml 이하로 치료 대상자는 36명이었으며, 이중 혈중농도 $100{\sim}150\;pg/ml$는 16명이고, 1개월 간격으로 5.21회 주사 후 평균치 652.89 pg/ml까지 증가하였다. 혈중 농도 $150{\sim}200\;pg/ml$로 치료 대상자 20명 중 4.75회 주사 후 평균치 782.67 pg/ml까지 증가하였다. 결론: 위 전절제술 약 1년 후부터 비타민 B12 투여가 필요하며, 비타민 B12의 혈중 농도가 200 pg/ml 이하이면 비타민 B12 (Actinamide) $1,000{\mu}g$을 1개월 간격으로 $5{\sim}6$회 근육 주사하면 정상 혈중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 PDF

2',4'-Dimethoxyflavone의 합성과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Synthesis of 2',4'-Dimethoxyflavone and Its Anti-pigmentation Effect)

  • 이범천;심관섭;김진화;김기호;이화정;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3-16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미백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2',4'-dimethoxyflavone을 합성하였으며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의 미백효과를 연구하였다 2',4'-Dimethoxyflavone은 프리 라디칼 소거활성(DPPH)이나 mushroom tyrosinase에 대한 직접적인 저해 효과는 없었다. 2',4'-Dimethoxyflavone을 48 h 처리한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는 $5{\mu}g/mL$에서는 멜라닌생성이 27% 정도 감소되었다. 2',4'-Dimethoxyflavone은 농도에 비례해서 B16 멜라노마 세포내의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tyrosinase 단백질 발현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RT-PCR을 이용하여 2',4'-dimethoxyflavone이 멜라닌 생성 과정에 관련하는 유전자 발현을 조사한 결과 tyrosinase와 tyrosinase 관련 단백질(TRP-1)의 mRNA발현을 억제 하였으며 TRP-2의 발현량에는 영향이 없었다. 이 결과로 2',4'-dimethoxyflavone은 멜라닌 형성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타이로시나제와 TRP-1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이 항암(抗癌) 및 면역조절작용(免疫調節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 강재만;강재춘;하지용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7-73
    • /
    • 1996
  • 1. 연구배경 종양은 발생원인과 기전이 밝혀져 있지 않고, 그 생물학적인 성상이 복잡하다. 최근에는 암에 의한 사망이 증가하고 있으며, 종양치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의학계에서도 이러한 경향으로 한의학적인 치료법을 이용한 종양치료를 시도하고 있다. 반하후박탕은 난질비장(蘭窒秘藏)에 복부의 적취에 사용된 처방으로, 실험적인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따라서 항암 및 면역조절에 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에 임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반하후박탕이 폐암 및 복강암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암을 유발시킨 웅성(雄性) 생쥐에 반하후박탕 엑기스를 투여하여 항암효과 및 면역능을 측정하였다. 측정항목은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위하여 MTT 법을 실시하였으며, Sarcoma-180세포를 ICR생쥐에 이식한 후 복강암생쥐의 생존기간 및 고형조양의 저지율, IL-2(Interleukin-2) 생산능, NK(Natural Killer cell)-Activity을 측정하였고, B16세포를 C57BL/6생쥐에 정맥주사한 후 폐에 전이된 악성 흑색종의 집락수를 측정하였다. 3. 연구결과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MTT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던 바 반하후박탕의 용량이 $10{\mu}g/ml$, $100{\mu}g/ml$의 경우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는 효과를 보였다(P<0.05). 발암 생쥐의 생존기간 연장효과에 있어서 반하후박탕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6.67%의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종양의 중량을 측정하였던 바 반하후박탕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32.78%의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폐전이 흑색종의 집락수를 측정한 결과 반하후박탕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다(P<0.05). IL-2의 생산능은 반하후박탕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7일과 14일째에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고(P<0.05), 21일째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K-Activity에서는 모든 경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반하후박탕이 Sarcoma-180세포에 대하여 직접적인 세포독성능을 나타내며, 복강 생쥐의 생존기간을 연장시키고, 고형종양의 성장은 억제하며, 보조 T세포를 자극하여 IL-2의 생산능을 증가시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ectin-conjugated Ellagitannin의 흑색종에 대한 전이억제효과 (Effects of Lectin-conjugated Ellagitannin on Inhibition of Melanoma Metastasis)

  • 김형근;한기숙;이도익
    • 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01-606
    • /
    • 2000
  • Recently, studies on missile antitumor drugs, which selectively act on tumor cell and display drug effects, have been performed. These missile antitumor drugs which can increase drug effects and decrease side effects, are ideal medication method. Lectin has been reported as tumor cell specific binding protein and tannin as antitumor substance. In this study, we studied inhibition of melanoma metastasis by lectin-conjugated ellagitannin and used praecoxin A as ellagitannin source. Mouse melanoma cell, B16-F10, was injected into the sole of forefoot of C57BL/6 mouse, and after administration with drug, the number of pulmonary tumor colony was counted. The administration of praecoxin A, lectin-praecoxin A mixiture, and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was started after amputation of established tumor foci at right forefoot of mice and continued for 3 weeks with i.p. injection of one of those drugs A every 24 hours. Lectin-praecoxin A mixture, and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spontaneous pulmonary metastasis. Exposure to 5 mg/kg of lectin-praecoxin A mixiture and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produc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38.3%, 41.8% reduction in the number of remaining pulmonary metasta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astasis inhibition by lectin-praecoxin A mixiture and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are better than that of praecoxin A.

  • PDF

Lectin-conjugated Ellagitannin의 혹색종에 대한 항암활성 (Effects of Lectin-conjugated Ellagitannin on Antitumor Activity)

  • 김형근;한기숙;이도익
    • 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07-612
    • /
    • 2000
  • Generally, antitumor drugs have strong toxicity and result in damage in normal cells. Previously, lectin has been reported as a tumor cell specific binding protein and tannin as an antitumor substa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tumor activity of lectin-conjugated ellagitannin and used praecoxin A as an ellagitannin source. We injected mouse melanoma cell, B16-F10, on right the femoral region of C57BL/6 mouse. After 10 hours later, first treatment with praecoxin A, lectin-praecoxin A mixiture and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was carried and followed by injection i.m. every 48 hours. Praecoxin A extended the life of mice up to 14.8% in comparison with the negative control group at 5 mg/kg dose. The life extending ratio of Lectin-praecoxin A mixture was 26.1% at 5 mg/kg dose, and the life extending ratio of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was 28.7% at 5 mg/kg dos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antitumor activities of lectin-praecoxin A mixiture and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on survival are better than that of praecoxin A.

  • PDF

초석잠 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 효과 (Antitumor Effects of the Hexane Extract of Stachys Sieboldii MIQ)

  • 류병호;박법규;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20-524
    • /
    • 2002
  • 초석잠의 항암효과 및 면역조절자로서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를 이동하여 실험한 결과, 마우스 비장세포의 증식반응은 항진시켰으나 YAC-1 세포주의 증식능은 억제시켰다. CD4+ T세포 및 CD8+ T세포의 비율이 정상 대조군 마우스의 그것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CD4+/CD8+ 비는 차이가 없었으며 비장세포에서 IL-2수용체의 발현이 항진되었다. 또한, 복강대식세포로부터의 nitric oxide와 TNF-$\alpha$ 생산을 항진시켰으며, 복강대식세포는 탐식능이 현저하게 항진되었고 B16F10 흑색종의 폐전이가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석잠의 항암제 및 면역반응 조절자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식분탕(息賁湯)이 항암(抗癌) 및 면역조절작용(免疫調節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 윤성묵;하지용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5-42
    • /
    • 1996
  • 1. 연구배경 세계적으로 암환자의 증가는 물론이거니와 사망자수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암이 주된 사망원인으로 보고되어 있다. 종양의 발생기전이나 생물학적인 성상은 매우 복잡하고, 암을 치료하는 기전도 매우 복잡하다. 최근의 한의학적인 접근이 시도되면서 많은 경우에서 그 효능이 실험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한의학에서의 종양(腫瘍)의 치료방법(治療方法)은 서간이기(舒肝理氣), 강역지구(降逆止嘔), 활혈화어(活血化瘀), 이기화결(理氣化結), 건비조습(健脾燥濕), 화울산결(化鬱散結), 양음청열(養陰淸熱), 생진화담(生津化痰)을 이용하는데, 식분탕(息賁湯)은 '치폐지적(治肺之積), 재우협하(在右脇下), 대여복배(大如覆杯), 구부유(久不愈), 세세한열, 기역천해(氣逆喘咳), 발위폐옹(發爲肺癰)'의 효과가 있고, 구성약재들도 한의학적인 치료법에 합당하여 암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처방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식분탕(息賁湯)을 이용하여 항암력과 면역능의 증진 및 폐전이 흑색종의 증식억제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2.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는 식분탕(息賁湯)의 폐암 및 복강암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암을 유발시킨 웅성(雄性) 생쥐에 식분탕(息賁湯) 엑기스를 투여하여 항암효과 및 면역능을 측정하였다. 측정항목은 시험관내 세포독성능을 위하여 MTT 법을 실시하였으며, Sarcoma-180세포를 ICR생쥐에 이식한 후 복강암 생쥐의 생존기간 및 고형종양의 저지율, IL-2 (Interleukin-2)생산능, NK(Natural Killer cell)-Activity을 측정하였고, B16세포를 C57BL/6생쥐에 정맥주사한 후 폐에 전이된 악성 흑색종의 집락수를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MTT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던 바 식분탕(息賁湯)의 용량이 $10{\mu}g/ml$, $100{\mu}g/ml$의 경우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는 효과를 보였다(P<0.05). 발암 생쥐의 생존기간 연장효과에 있어서 식분탕(息賁湯)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종양의 중량을 측정하였던 바 식분탕(息賁湯)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폐전이 흑색종의 군집수 측정에서는 식분탕(息賁湯)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다(P<0.05). IL-2의 생산능은 식분탕(息賁湯) 엑기스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7일과 14일째에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고(P<0.05), 21일째는 증가하는 경향만 보였다. NK-Activity에서는 작동세포와 표적세포의 비가 50:1 일 때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P<0.05), 나머지의 경우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기능성 배추 김치의 발효 특성과 암세포 증식저해능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Mouse Carcinoma Cell Line of Kimchi prepared with Functional Cabbage)

  • 유광원;이성현;신은혜;황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07-1014
    • /
    • 2017
  • To compare functional Chinese cabbage('Amtak' baechu; F1 hybrid cultivar between Brassica rapa and B. perkinensis, AB) with general Chinese cabbage ('Chunkwang' baechu; general spring cultivar, CB), two kinds of kimchi(ABK and CBK) prepared with AB and CB cultivar were fermented at $10^{\circ}C$ for 10 days. Their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gainst mouse carcinoma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General kimchi(CBK) showed mature pH on the $6^{th}$ day of fermentation, whereas functional kimchi(ABK) reached pH on the $9^{th}$ day. CBK also exhibited acidity of mature stage on the $6^{th}$ day, but ABK reached mature acidity on the $9^{th}$ day. Although ABK and CBK were salted in the same condition, ABK had lower salinity than CBK, throughout the fermentation time. The highest total bacterial and lactic bacterial counts of CBK showed on the $8^{th}$ day of fermentation, but ABK showed the highest total bacterial and lactic bacterial counts on the $10^{th}$ day. The texture of ABK was harder than CBK for fermentation time. This seems to be corrleated with the slower fermentation rate of ABK. ABK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ti-proliferative activity (54.6% cell viability of control) in B16BL6 at $1,000{\mu}g/mL$. ABK was also higher in anti-proliferative activity than CBK throughout the fermentation tim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ABK between the fermentation times. In conclusion, fermentation of ABK showed a better texture, due to the slow fermentation rate and more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mouse carcinoma cell line than those of CBK.

Effects of Non-Saponin Red Ginseng Components (NSRG) on Functions of Macrophages Isolated from Young and Aged Mice

  • Kim, Kyung-Ho;Jang, Seon-A;Kim, Kyung-Suk;Park, Sul-Kyoung;Park, Hye-Jin;Lee, Soo-Jin;Pyo, Suh-Kneung;Sohn, Eun-Hwa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177-182
    • /
    • 2009
  • Macrophag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irst line of immunologic effects against tumor cells. The effects of nonsaponin red ginseng (NSRG) components on macrophage functions like tumoricidal activity, phagocytic activity, and NO production in young (8-weeks-old) and aged (82-weeks-old) male C57BL/6 mice were assessed in vitro, respectively. The treatment of tumor cells (melanoma B16 cells) with the supernatants of NSRG-treated macrophages resulted in an increase of cytotoxicity at 300 $\mu$g/ml in the aged mice, whereas the supernatants did not have a cytotoxic effect in the young mice. It was observed that the supernatants induced the increase of tumor cell proliferation at 150 $\mu$g/ml in the young mice, suggesting that the supernatants contain growth factors rather than cytotoxic molecules. In addition, NSRG alone had a direct cytotoxic effect on the B16 tumor cells. NSRG had no effect on the NO production by the macrophages in the young mice, while i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NO release in the aged mi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hagocytic activities of the macrophages by NSRG in both groups of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NSRG has differential effects on the macrophage functions in young and aged mice.

사삼 물 추출액의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of Adenophorae Radix on the Melanogenesis)

  • 강현정;임홍진;박민철;임규상;김남권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2-93
    • /
    • 2004
  • Recently many efforts were focused to understanding the mechanical insights of melanogenesis to develop the agents for hyper-pigmentation and hypo-pigmentation. In the melanin biosynthetic pathway, tyrosinase is the rate limiting enzyme, and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MSH) or cAMP-elevating agents stimulate melanogenesis and enhance the melanin synthesis and the tyrosinase activity. The author has analyzed the effects of Radix Trichosanthis on the basal Melanogenic activities of Bl6/F10 mouse melanoma cells, and on the ${\alpha}$-MSH or forskolin-induced melanogenesis. Radix Trichosanthis alone markedly suppressed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Radix Trichosanthis also suppressed the increase of ${\alpha}$-MSH(10 nM) or forskolin(20 ${\mu}$M)-induced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The decrease in the tyrosinase activity was paralled by a decrease in the abundance of tyrosinase protein and tyrosinase promoter activity.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Radix Trichosanthis also inhibited the increase of forskolin(20 ${\mu}$M) induced the amount of tyrosinase protein and tyrosinase promoter activity. The results of DOPA staining revealed that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Radix Trichosanthis showed less intensity than B16 melanoma cells stimulated with ${\alpha}$-MSH or forskol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dix Trichosanthis inhibits melanogenesis and abrogates ${\alpha}$-MSH and cAMP-induced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