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yloliquefaciens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6초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을 이용하여 발효한 청국장의 항산화효과 (The Antioxidant Effect of Cheonggukjang, Fermented Using the New Strain,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 김한수;윤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343-535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나무 줄기표면에서 처음 발견 하였으나, 아직까지는 연구가 미흡한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의 생리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청국장 전통 발효 균주인 Bacillus subtilis NG24를 대조군으로 하여 항산화효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청국장 추출물의 항산화 실험 결과에서 Total Polyphenol 추출물 함량의 측정 결과는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 시료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32). SOD 유사활성과 DPPH radical 소거능 및 NO radical 소거능에서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을 포함한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추가적으로, 각 항산화 실험의 $IC_{50}$은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 시료에서 SOD 유사활성(p=0.045), DPPH radical 소거능(p=0.041), NO radical 소거능(p=0.019)과 같이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다.

면역조절능과 유전독성 억제능을 가지는 Bacillus amyloliquefaciens KU801 (Immunomodulatory and Antigenotoxic Properties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KU801)

  • 이나경;김소연;장효일;박은주;백현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49-252
    • /
    • 2013
  • 닭분변으로부터 면역활성능이 뛰어난 KU801 균주를 분리하고 16S rRNA 서열분석을 통해 Bacillus amyloliquefaciens KU801로 동정하였다. B. amyloliquefaciens KU801의 영양세포와 아포세포는 인공위액 (pH 2.5, 1% pepsin)과 인공담즙 (0.3% oxgall)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B. amyloliquefaciens KU801은 산화질소 (NO)의 생산을 감소시켰으나 인터루킨-$1{\alpha}$ (IL-$1{\alpha}$)의 생산은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Commet assay를 통한 유전독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B. amyloliquefaciens KU801을 첨가하였을 때 DNA 손상을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B. amyloliquefaciens KU801은 사료용 정장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로부터 생산된 protease 특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protease characteristics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 이래현;양수진;황태영;정신교;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27-73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프로바이오틱스를 선발하고자 protease를 생산하는 GRAS균주를 된장 및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균주를 분리 동정한 결과 각각 B. amyloliquefaciens CDD5, B. amyloliquefaciens CPD4 및 B. amyloliquefaciens CGD3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주의 생육은 12시간 배양 시, 7.13~7.32 log CFU/mL로 최대 생육도를 보였으며 24시간까지 유지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그 중 B. amyloliquefaciens CGD3의 protease 활성이 9.21 U/mL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B. amyloliquefaciens이 생산하는 protease 활성은 pH 7.0~10.0, 온도는 $50^{\circ}C$에서 최적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asein에서 protease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pH, NaCl, glucose 농도를 달리한 배양조건에 따른 B. amyloliquefaciens의 생육특성으로는 pH 5.0~10.0의 넓은 범위에서 생육하였고, NaCl은 12% 농도까지 증식하였으며 glucose 5%까지는 생육하나 10% 농도부터는 현저하게 생육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혈당저하를 유도하는 ${\alpha}$-glucosidase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B. amyloliquefaciens CPD4 및 B. amyloliquefaciens CGD3에서는 각각 96.65% 및 97.85%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protease활성이 가장 우수하고 ${\alpha}$-glucosidase 또한 높은 저해활성을 가진 B. amyloliquefaciens CGD3 균주의 생육특성을 고려하여 단백질 분해 분야의 프로바이오틱 적용 및 당뇨예방용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의 항균 활성 (Antipathogenic Activity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 심현수;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8-105
    • /
    • 2016
  • 강원도를 비롯한 전국에서 발효식품 44점으로부터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이 우수한 고초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생육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던 Bacillus amyloliquefaciens MBE1283로 명명된 균주의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 전분분해 효소활성 및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Escherichia coli O157:H7 KCCM40406을 비롯한 8종류의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 막걸리에서 분리된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는 다른 B. amyloliquefaciens 균주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유해균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의 ${\alpha}$-amylase 효소활성은 대조구 균주들과 비교하였을 때 현저히 낮았으나 glucoamylase 효소활성은 대조구로 사용한 균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의 최적 생육온도는 $45^{\circ}C$로서 대조구 균주보다 온도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균체 성장에 적합한 최적 배지는 pH 6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는 여러 종류의 유해균에 항균활성을 지니며 높은 온도와 낮은 pH에 대하여 내성을 지닌 것을 알 수 있었다.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D4-7이 분비하는 혈전용해효소의 특성 및 열안정성에 미치는 첨가물의 효과 (A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D4-7 Isolated from Chungkook-Jang; It′s Characterization and Influence of Additives on Thermostability.)

  • 김상숙;이주훈;안용선;김정환;강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1-276
    • /
    • 2003
  • 한국의 전통 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에서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이를 동정한 결과 B.amyloliquefaciens D4로 명명하였다. 혈전용해효소의 대량분비를 위해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을 사용한 돌연변이를 유도하여 B. amyloliquefaciens D4-7 변이주를 얻었으며, plasmin 1 U/ml 6.5배 정도의 높은 혈전분해능을 나타내었다. B. amyloliquefaciens D4-7는 분리대두단백배지에서 혈전용해효소 분비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B. amyloliquelaciens D4-7가 생산하는 혈전용해효소의 최적 활성조건은 pH 10, 5$0^{\circ}C$이었고, pH 7.0 에서 pH 11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하였으며, $50^{\circ}C$에서 30분간 방치하였을 경우 50%의 활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NaCl, glycerol 또는glucose 첨가에 의해 혈전용해효소의 저장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Growth and Toxin Production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RD7-7 in Fermented Soybean Products

  • Eom, Jeong Seon;Choi, Hye S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44-55
    • /
    • 2016
  • Bacillus cereus is a gram-positive, rod-shaped, spore-forming bacterium that has been isolated from contaminated fermented soybean food products and from the environment. B. cereus produces diarrheal and emetic toxins and has caused many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B. amyloliquefaciens RD7-7, isolated from rice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food, show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cereus and regulates its toxin gene expression. B. amyloliquefaciens RD7-7 exhibit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 cereus and inhibited the expression of B. cereus toxin-related genes (groEL, nheA, nheC, and entFM). We also found that addition of water extracts of soybean and buckwheat soksung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made in a short time) fermented with B. amyloliquefaciens RD7-7 significantly reduced the growth and toxin expression of B. cere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 amyloliquefaciens RD7-7 could be used to control B. cereus growth and toxin production in the fermented soybean food industry. Our findings als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andidate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B. cereus to improve the safety of fermented soybean food products.

신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을 이용한 청국장의 항균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eonggukjang, Using the New Strain, Bacil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Extract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 김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42-45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나무 줄기 마디 부분의 표면에서 처음 발견 되었으나, 아직까지는 연구가 미흡한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로 발효한 청국장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알아보려고 한다. 청국장 전통 발효 균주인 Bacillus subtilis NG24를 대조 군으로 하고,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항균 활성, 최소 억제 농도(MIC)와 열 및 pH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 실험 결과, 병원성 6종 균주에서 그람 양성 균주 C.perfringens, S.aureus와 그람 음성 균주 A.faecalis, E.coli에서 B.amyloliquefaciens NBF11-1이 B.subtilis NG24에 비해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소 억제 농도 실험 결과, C.perfringens, S.aureus, A.faecalis, E.coli에서 B.amyloliquefaciens NBF11-1이 B.subtilis NG24에 비해 0.01 %, 0.21 %, 0.45 %, 0.29 %의 농도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열과 pH 안정성 실험 결과, B.subtilis NG24와 더불어 B.amyloliquefaciens NBF11-1 청국장 추출물은 $121^{\circ}C$, 15분 간 열처리와 pH 2-10 처리에 의한 안정성에서 활성이 감소하지 않았고, 열과 pH 실험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PGPR균 EXTN-1 처리에 의한 벼의 생육촉진 및 벼줄무늬잎마름병(RSV)에 대한 유도저항성 발현 (Rice Plant Growth Promotion and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gainst Rice strip tenuivirus by a Selected PGPR, Bacillus amyloliquefaciens)

  • 박진우;박경석;이기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85-489
    • /
    • 2011
  •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EXTN-1 처리에 의해 생육촉진 효과와 함께 광범위한 식물 병 방제효과가 보고되었다. EXTN-1의 PGPR 효과는 생육초기에 PR-1a, PDF1.2 등의 저항성 관련 유전자 발현에 의한 oxidative burst의 증가나 SA, JA나 ethylene 대사에 의한 유도저항성의 발현에 기인한다. 이 연구의 목표는 B. amyloliquefaciens EXTN-1가 기존에 보고된 다른 작물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벼의 생육촉진이나 벼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에 관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벼 종자를 B. amyloliquefaciens EXTN-1에 침지한 후 파종하였을 때 생육촉진 효과와 병에 대한 저항성 발현이 확인되었다. B. amyloliquefaciens EXTN-1을 처리한 30일묘에서 벼의 초장, 생물중, 뿌리길이는 무처리구에 비해 각각 12.6%, 9.8%, 16.0% 증가하여 PGPR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SV 접종구에서도 B. amyloliquefaciens EXTN-1 20일묘는 초장, 생물중, 뿌리길이는 무처리구에 비해 각각 12.6%, 9.8%, 16.0% 증가하였다. 유도저항성 발현효과는 감수성 품종에서 저항성 품종에서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Comparative Study of Extracellular Proteomes for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 Lauan, Maria Claret;Santos, IlynLyzette;Lim, Jinkyu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30-37
    • /
    • 2013
  •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are closely related species that share a similar genomic background, and are both known to secrete large amounts of proteins directly into a medium. The extracellular proteomes of two strains of Bacillus subtilis and two strains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were compared by 2-D gel electrophoresis during the late exponential growth phase. The relative abundance of some minor protein spots varied among the four strains of Bacillus. Over 123 spots of extracellular proteins were visualized on the gel for B. subtilis CH 97, 68 spots for B. subtilis 3-5, 230 spots for B. amyloliquefaciens CH 51, and 60 spotsfor B. amyloliquefaciens 86-1. 2D gel electrophoresis images of the four Bacillus strain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rotein profiles. Consistent with the 2D gel electrophoretic analysis, most of the B. subtilis proteins differed from the proteases secreted by the B. amyloliquefaciensstrains. Among the proteins identified from B. subtilis, approximately 50% were cytoplasmic and 30% were canonically extracellular proteins. The secreted protein profiles for B. subtilis CH 97 and B. subtilis 3-5 were quite different, as were the profiles for B. amyloliquefaciens CH 51 and 86-1. The four proteomes also differed in the major protein composition. The B. subtilis CH 97 and B. amyloliquefaciens CH 51 proteomes both contained large amounts of secreted hydrolytic enzymes. Among the four strains, B. subtilis 3-5 secreted the least number of proteins. Therefore, even closely related bacteria in terms of genomic sequences can still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hysiology and proteome layout.

  • PDF

Isola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s with Antifungal Activities from Meju

  • Lee, Hwang-A;Kim, Jeong-H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64-70
    • /
    • 2012
  • Bacilli with fibrinolytic activities were isolated from traditionally-prepared Meju and some of these strains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ies. One isolate, MJ1-4, showed the strongest antifungal activity. MJ1-4 and other isolates were identified as B. amyloliquefaciens strains by recA gene sequencing and RAPD-PCR results. B. amyloliqufaciens MJ1-4 efficiently inhibited an Aspergillus spp.-producing aflatoxin B1 ($AFB_1$) and a Penicillium spp.-producing ochratoxin (OTA) in addition to other fungi. Antifungal activity of B. amyloliquefaciens MJ1-4 culture reached its maximum (40 AU/mg protein) in LB or TSB medium around 48 hr at $37^{\circ}C$. Antifungal activity of the concentrated culture supernatant w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by protease treatments, implying that the antifungal substance might not be a simple peptide or protein. Considering its antifungal and fibrinolytic activities together, B. amyloliquefaciens MJ1-4 can serve as a starter for fermented soyfoods such as Cheonggukjang and Doen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