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 schmidtii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박달나무의 반형매 가계간 Cd Phytoremediation과 축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Cd Accumulation and Phytoremediation among Three Half-sib Families of Betula schmidtii)

  • 오창영;이재천;한심희;김판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4-209
    • /
    • 2004
  • Cd 처리에 대한 박달나무의 반형매 차대간의 Cd 흡수 및 이동 패턴을 알아보고자 수행한 결과, 잎의 주간내 위치에 따른 Cd농도는 지제부에서 높게 나타나고 정단부로 올라 갈수록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대체로 식물체내에서 Cd의 농도 분포는 뿌리>줄기>잎의 순으로 나타났지만, 가계별, 처리별로 상이한 결과가 나타나 가계간 유전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모든 가계의 처리구에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Cd 농도 비율이 1.26으로 나타나 박달나무는 Cd을 흡수하여 지상부로 보내는 축적종의 경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토양 중금속 농도와 식물체내 중금속 농도의 비도 가계간 차이는 있지만, Cd을 능동적으로 흡수하여 지상부로 이동시키는 Cd 정화 수종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박달나무는 Cd에 대한 반응이 가계간 다양하므로 토양 중 Cd정화를 위해 이용할 경우, 정화 능력이 우수한 수종을 선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같은 수종 내에서도 내성 능력과 정화능력이 차이가 있으므로 가계 선발이 필요할 것이다.

폐탄광 경석지 식생 복원을 위한 식물군집 조사·분석 - 강원도 태백시 함태탄광 폐탄광지를 사례로 - (Plant Community Survey and Analysis for Restoration of Vegetation in Coal-mined Spoil Lands - A Case Study of Hamtae Coal-mined Spoil Lands in Taebaek City, Kangwondo -)

  • 김보현;김경훈;김혜주;김두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3-42
    • /
    • 2000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lant community structure, actual vegetation map and flora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ly introduced vegetation and surrounding vegetation in Hamtae coal-mined spoil land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egetation, surrounding vegetation was divided into five plant community groups : Pinus koraiens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 - Deciduous broadleaved trees community, Betula schmidtii - B. davurica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which had been planted, was dominant species in coal-mined spoil lands. Young trees, which were naturally introduced, such as B. schmidtii, B. davurica etc., partially appeared with the high density($15{\sim}19ea/100m^2$) in coal-mined spoil lands. The flora of this area was listed as 54 taxa; 22 families, 42 genus, 50 species, 3 varieties and 1 forma. Especially Spodiopogon sibiricus, Miscanthus sinensis, Arundinella hirta,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iwayomogi and Youngia denticulata appeared with the high frequency. It is estimated that the proper way for harmonious and effective revegetation is to target B. schmidtii - B. davurica communities and to seed B. schmidtii - B. davurica mixing highly frequent herbaceous species.

  • PDF

Growth, Physiological Responses and Ozone Uptake of Five Betula Species Exposed to Ozone

  • Lee, Jae-Cheon;Han, Sim-Hee;Kim, Pan-Gi;Jang, Suk-Seong;Woo, Su-Yo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4호
    • /
    • pp.165-172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to ozone and to measure ozone uptake rates of Betula species exposed to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t the end of the growing season, photosynthesis, pigments contents, antioxidants (SOD and GR) and ozone uptake rates were measured or estimated at the leaves of five Betula species (Betula costata, B. davurica, B. platyphylla var. japonica, B. schmidtii and B. ermanii) exposed to 100ppb ozone concentration. On the termination of the experiment, growth effect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leaf area and dry weights of leaf, stem and root. Ozone treatment showed the significant reduction the leaf area and dry weight of four Betula species, except for B. ermanii. Shoot / root (SR) ratio of five species represented two different types. SR ratio of B. costata and B. davurica were lower than control, in contrast, SR ratio of B. platyphylla var. japonica, B. schimidtii and B. emani,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photosynthetic responses of five species were different in responses to ozone exposure. Four species, except for B. emanii, maintained or increased the stomatal conductance, but B. emanii decreased both stomatal conductance and photosynthesis. SOD activities of five species decreased by the ozone exposure, especially B. ermanii showed the largest reduction, GR activities of B.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B. schmidtii increased, B. costata and B. emanii decreased. Instantaneous ozone uptake rate was the highest at the leaves of B. ermanii and B. costata, ozone uptake per seedling was the highest at the leaf of B. schmidtii and B. emanii. It was concluded that B. costata, B. davurica and B. platyphylla var. japonica, appeared the growth reduction and visible ozone injury, were sensitive species to ozone, and B. schmidtii with the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and B. ermanii without the growth reduction were relatively resistant species to high ozone concentration at the early growing stage.

현사시와 박달나무의 Pb 흡수능력(吸收能力) 및 내성(耐性) (Uptake and Tolerance to Lead in Populus alba × glandulosa and Betula Schmidtii)

  • 여진기;김인식;구영본;이재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600-607
    • /
    • 2001
  • 본 연구는 Pb로 오염된 토양의 phytoextraction을 위해 현사시 (Populus alba ${\times}$ glandulosa)와 박달나무(Betula schmidtii)의 Pb의 흡수능력 및 이에 대한 내성을 조사하였다. 종자로 양묘한 박달나무 및 삽목으로 증식한 현사시 묘목을 화분에 식재 후 Pb를 함유한 수용액으로 관수하였다. 이들 2수종은 $Pb(NO_3)_2$ 농도 800ppm이상의 처리구에서 생장량 감소가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Pb는 식물체의 뿌리에 축적되었고, 극히 일부분만이 식물체의 지상부위로 이동되었다. 박달나무와 현사시의 Pb의 지상부 전위율은 각각 1.6~2.6%와 1.2~1.6%로 나타났다. 지상부 수체의 최대 Pb 함량은 현사시의 경우 468.0mg/kg, 박달나무는 602.0mg/kg 이었다. Pb에 대한 내성은 박달나무가 현사시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은 경향이었으나, 현사시 72-16호 클론은 전체 클론 중에서 가장 높은 내성을 보였다.Biomass 생산과 Pb 흡수능력을 고려하여 이들 두 수종의 phytoextraction을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카드뮴 처리에 대한 박달나무의 가계간 생장과 광합성 차이 (Differences in Growth and Photosynthesis among Three Half-sib Families of Betula schmidtii in Response to Cd Treatment)

  • 오창영;이경준;이재천;한심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3호
    • /
    • pp.147-153
    • /
    • 2004
  • 본 연구는 카드뮴 처리에 대한 박달나무 유묘의 가계간 생장 차이와 광합성 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카드뮴 처리는 3가계의 박달나무 1년생 묘목에 0, 0.4, 0.8mM의 CdSO4 · H2O 용액을 이용하여 3수준으로 2개월간 실시하였다. 박달나무의 가계간 및 처리간 생장과 생리적 반응은 건중량, 상대생장율, 순양자수율 및 탄소고정효율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0.4 mM과 0.8mM 카드뮴이 처리된 박달나무 유묘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건중량과 상대생장율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박달나무 유묘의 생장 감소는 광합성 능력의 감소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양자수율과 탄소고정효율은 카드뮴 처리로 감소하였으며, 모든 가계에서 카드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 폭이 커졌다. 한편 카드뮴 처리에 의한 생장과 광합성 반응은 박달나무 가계간 뚜렷한 차이를 보여 카드뮴 내성은 가계간 유전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daptation of Betula schmidtii Seedling in Coal-mine Field with Different Sewage Sludge Treatment Methods

  • Han, Sim-Hee;Lee, Jae-Cheon;Oh, Chang-Young;Kim, Pan-G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4호
    • /
    • pp.189-192
    • /
    • 2005
  • We tested the field adaptation of Betula schmidtii on the abandoned coal-mine soil with sludge amendment methods for promoting physiological activity of B. schmidtii seedlings under several environmental stress. Sewage sludges were amended to coal-mine soil with B. schmidtii seedlings which grown in the mixture of artificial soil and composted sludge soil before transplanting (before-fertilized treatment, BF) and fertilized with composted sludge after transplanting (after-fertilized treatment, AF). The percent of establishment of seedlings for AF (80.7%) was lower than that for BF (92.7%). Nitrate reductase activity and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were higher in AF than in BF, but malondialdehyde (MDA) content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were lower in AF than in BF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after-fertilized seedlings increase resistance against physiological stress at field condition using nitrogen source of composted sludge. On the contrary, before-fertilized seedlings were susceptible to environmental stress on abandoned coal-mine soil by exhausting of nitrogen source from composted sludge.

한반도 풍혈지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Algific Talus in Korea)

  • 김진석;윤종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57-368
    • /
    • 2013
  • 본 연구는 한반도 풍혈지 식생에 대하여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통해 식물군락의 특성을 밝히고 풍혈지의 보전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풍혈지는 지하에 저온층이 존재하는 크고 작은 바위들의 집적지로서, 지표면에 열려진 공극으로부터 자연적인 냉풍이 불어 나와 국소적으로 저온환경이 형성된 지역이다. 63개 식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풍혈지의 식물군락을 구분한 결과, A. 굴참나무-한들고사리군락, B. 신갈나무-박달나무군락, B-1. 졸참나무-가는잎쐐기풀하위군락, B-2. 마가목-인가목조팝나무하위군락, B-3. 털댕강나무-개병풍하위군락, B-4. 전형하위군락의 2개 군락 4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DCCA분석 결과, 굴참나무, 쥐똥나무, 느티나무, 분꽃나무 등을 구분종으로 하는 굴참나무-한들고사리군락은 신갈나무, 쉬땅나무, 함박꽃나무, 당단풍나무, 민둥인가목 등을 구분종으로 하는 신갈나무-박달나무군락보다 온량지수와 강수량이 많은 지역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인가목조팝나무, 마가목, 흰인가목, 산앵도나무, 산겨릅나무, 퍼진고사리, 전나무을 구분종으로 하는 마가목-인가목조팝나무하위군락과 구분종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전형하위군락은 다른 하위군락에 비하여 높은 해발과 많은 강수량 지역에 분포하였으며, 당조팝나무, 털댕강나무, 개병풍, 산토끼고사리, 북분취, 일본잎갈나무 등을 구분종으로 하는 털댕강나무-개병풍하위군락은 인간활동에 의하여 일광 노출이 많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오대산 국립공원 노인봉지역 식물군집구조분석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Noinbong area of Odaesan National Park)

  • 최송현;권전오;민성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6-165
    • /
    • 1996
  • 극상림의 군집구조를 분석하고 국립공원의 식생경관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오대산 국립공원의 노인봉지역에 12개 조사구를 선정하고 군집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TWINSPAN 분석결과 군집은 서어나무-신갈나무군집(군집 1), 거제수나무-박달나무-서어나무군집(군집2)으로 분리되었다. 군집의 천이단계는 종조성, 유사도지수, 종다양성분석 결과 극상림단계 초기와 극상림으로 밝혀졌다. 종수 ? 개체수분석에서는 100m$^{2}$당 평균 120~130개체, 17종이 조사되었다. 흉고단면적과 흉고직경급별 분석에서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를 대신하여 서어나무, 거제수나무, 박달나무 등이 극상수종이 될 것이며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이 우점종을 이룰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낙동정맥 삼척시 용소골 계곡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Yongso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Samcheok-si)

  • 조현서;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82-590
    • /
    • 2010
  • 백두대간에 대한 관심은 현황조사 및 분석, 관리 및 복원 방안 등 다양한 연구결과를 도출한 반면, 지맥인 정맥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현황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향후 관리 및 복원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낙동정맥 중 용소골의 식생구조를 밝히고자 $10m{\times}10m(100m^2)$ 조사구 30개소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상대우점치 및 평균상대우점치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소나무군집, 박달나무군집, 황철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의 5개 유형이 용소골 계곡을 대표하는 군집이었다. 소나무군집은 능선부에 주로 분포하며 꼬리진달래가 출현하는 것이 특징이었고 박달나무군집은 참나무류와 경쟁을 피할 수 있는 능선부 급경사지와 완만한 전석지에 분포하였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는 0.7914~0.9442이었으며 수령은 30~115년으로 층위구조가 형성된 보호가치가 있는 숲이었다.

강원도산주요활엽수재(江原道産主要闊葉樹材)의 내후성(耐朽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durability of major deciduous tree species grown in Kangwon-do)

  • 정대교;이원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41
    • /
    • 1965
  • (1) The durability of fifteen species of hard woods grown in Kangwon-do in relation to Polystictus Versecolor L. Fr. and Irpex consors Berk was studied. (2) The least affected hard wood species by Polystutus Versecolor L. Fr. were Q. serrata, C. crenata, M. amurensis, F. rhynchophylla and J. mandschrica; the moderatly affected species were Q. Variabilis, U. Davidiana var japonica, B. latiforia, C. controversa, P. padus and A. mono; and the most highly affected species were P. serrulata var. spondanea, S. obassia, T. amurensis and B. schmidtii. The least affected hard wood species by Irpex consors Berk, were U. Davidiana var japonica, C. crenata, M. amurensis, F. rhynchophylla, and J. mandshurica; the moderatly affected species were Q. Valiabilis, Q. serrata, P. serrulata var. spondanea, C. controversa, and A. mono; and the most highly affected species were B. latiforia, P. padus, S. obassia, T. amurensis, and J-mandshurica. (3) No difference was obscured on the durabilities on effected by kind of fungus. (4) Cor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gravity and durability of the woods was not signific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