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1초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술 후 재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 (Risk Factors for Recurrence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in Early Breast Cancer: Preliminary Report)

  • 서창옥;정은지;이희대;이경식;오기근;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31-337
    • /
    • 1997
  • 목적 : 연세의대 연세암센터에서는 1991년도부터 조기유방암에 대하여 유방보존술을 실시해오고 있으며 본원에서 사용하는 치료방법과 치료에 따르는 부작용 등에 대해서는 이미 보고한 바 있다. 아직 추적 관찰 기간이 짧기 때문에 치료결과를 평가하기는 어려운 시점이지만 치료 후 수년 이내에 재발하는 양상을 알아보고 그에 관련되는 위험인자를 알아봄으로써 본원에서 시행 되고 있는 유방보존술을 중간 점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AJCC 병기 1기, 2기 유방암으로 유방 보존적 수술을 받은 후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21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연령 분포는 23세에서 80세로 중앙값이 44세였으며, 40대가 86명$(39.8\%)$, 30대가 73명$(33.8\%)$, 50대가 38명$(17.6\%)$였다. T 병기 별로는 T1이 117명, T2가 99명이었으며 이 중 Tlc와 3cm 이하의 T2가 전체의 $79\%$를 차지하였다. 액와림프절은 73명에서 양성이었다. 따라서 stage 1이 89명$(41.2\%)$, 113가 81명$(37.5\%)$, llb가 46명$(21.3\%)$이었다. 모든 환자들은 유방부분절제술과 액와림프절 곽청술을 시행받은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며 96명의 환자들이 방사선치료 후, 또는 방사선치료 전후에 항암화학요법을 받았다. 추적 기간은 3-60개월로 정중앙 추적기간이 30개월이었다. 결과 : 추적 기간 동안에 19명이 재발하였는데 3명은 국소 재발(true recurrence;1, elsewhere; 1, skin;1)만 있었고 13명은 원격전이만 있었으며, 3명은 국소재발과 원격 전이가 동시에 있었다. 이 외 반대편 유방암이 1예에서 발생하였고, 3예에서 2차 원발암이 발생하였다. 국소 재발을 보인 예들 중, 유방의 피부에서 재발하였던 예는 곧 이어 원격전이를 보였지만, 나머지 2예는 유방전적출술을 받은 후 무병 생존중이다. 원격전이를 보인 예들은 대부분(12/16) 2년 이내에 재발하여 빠르게 진행되어 11명이 사망하였고 원격전이 후 정중앙 생존기간이 8개월이었다. 병기별 5년 생존율은 1기 $96.7\%$, IIa기 $95.2\%$, IIb기 $69.9\%$이었고, 5년 무병생존율은 I기, IIa기, IIb기가 각각 $97.1\%,\;91.7\%,\;59.9\%$이었다. 원격전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연령, 1병기, N병기,AJCC stage가 의미 있었으며, 병리학적 유형, 화학요법 여부, 수술절제연 침범 유무는 원격전이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결론 : 조기유방암의 유방보존술 후 수년 이내에는 유방내 국소재발은 적으나, 원격전이는 주로 3년이내에 발생하였는데 40세 이하의 젊은 연령층에서, 종양이 클수록, 침범된 액와림프절의 숫자가 많을수록 원격전이율이 높았다.

  • PDF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Lymphedema after Delayed Breast Reconstruction with an Extended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lap

  • Lee, Kyeong-Tae;Lim, So-Young;Pyun, Jai-Kyung;Mun, Goo-Hyun;Oh, Kap-Sung;Bang, Sa-I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54-157
    • /
    • 2012
  • Lymphedema is a common complication after mastectomy in breast cancer patients. Many treatment options are available, but no treatment results in a complete cure. We report a case of lymphedema that occurred after modified radical mastectomy in a breast cancer patient who showed objective improvement after delayed breast reconstruction with an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lap. A 41-year-old female patient with left breast cancer had undergone modified radical mastectomy with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12 years previously. Four years after surgery, lymphedema developed and increased in aggravation despite conservative treatment. Eight years after the first operation, the patient underwent delayed breast reconstruction using the extended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lap method. After reconstruction, the patient's lymphedema symptoms showed dramatic improvement by subjective measures including tissue softness and feeling of lightness, and by objective measures of about 7 mL per a week, resulting in near normal ranges of volume. At a postoperative follow-up after 3 years, no recurrence was observed. Delayed breast reconstruction with extended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laps may be helpful to patients with lymphedema after mastectomy. This may be a good option for patients who are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r aggravation of secondary lymphedema.

Tumor bed volumetric changes during breast irradiation for th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 Chung, Mi Joo;Suh, Young Jin;Lee, Hyo Chun;Kang, Dae Gyu;Kim, Eun Joong;Kim, Sung Hwan;Lee, Jong Ho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228-233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breast tumor bed volume during whole breast irradiation (WBI).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11 to November 2012, thirty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conserving surgery (BCS) followed by WBI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simulation were enrolled. Simulation CT scans were performed before WBI (CT1) and five weeks after the breast irradiation (CT2). The tumor bed was contoured based on surgical clips, seroma, and postoperative change.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umor bed volumetric change. Results: The median tumor bed volume on CT1 and CT2 was 29.72 and 28.6 mL, respectively. The tumor bed volume increased in 9 of 30 patients (30%) and decreased in 21 of 30 patients (70%). The median percent change in tumor bed volume between initial and boost CT was -5%. Seroma status (p = 0.010)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umor bed volume reduction of 5% or greater. However, patient age, body mass index, palpability, T stage,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nd tumor location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for tumor bed volumetric change. Conclusion: In this study, volumetric change of tumor bed cavity was frequent. Patients with seroma after BCS had a significant volume reduction of 5% or greater in tumor bed during breast irradiation. Thus, resimulation using CT is indicated for exquisite boost treatment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seroma after surgery.

Risk Reducing Surgery in Carriers with Double Heterozygosity for BRCA1 and BRCA2 Mutations

  • Hong, Woo-Sung;Kim, Ku-Sang;Jung, Yong-Sik;Kang, Seok-Yun;Kang, Doo-Kyoung;Kim, Tae-Hee;Yim, Hyunee;Chun, Mi-Son;Park, Myong-Chul;Chang, Suk-Joo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9권1호
    • /
    • pp.25-30
    • /
    • 2012
  • Among the treatment options for BRCA mutation carriers, risk reducing surgery is the most effective. However, this procedure has been rarely performed in Korea. Interestingly, our case showed double heterozygosity for BRCA1 and BRCA2 mutation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left renal cancer and left breast cancer at 45-years-of-age, 4 years before risk reducing surgery. The patient received left radical nephrectomy and left partial mastectomy with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fter pretest counseling, the patient underwent genetic testing that identified BRCA1 and BRCA2 mutations. After post-test counseling, the patient decided on intensive surveillance. At 49-years-of-age, the patient was newly diagnosed with contralateral breast cancer. Treatment options were discussed once again. We performed bilateral total mastectomy with immediate reconstruction and prophylactic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after multidisciplinary discussion. The patient has been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surgery. We think this procedure is a recommendable treatment option for BRCA mutation carriers.

유방암 수술 후 동일측 유착관절낭염에 대한 관절강내 주사 치료의 안전성 및 효과 (Safety and Effectiveness of Intra-articular Injection on the Ipsilateral Adhesive Capsuliti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 조미경;김동민;김영모;양태웅;윤진아;이병주
    • Clinical Pain
    • /
    • 제20권2호
    • /
    • pp.99-104
    • /
    • 2021
  • Objective: To confirm the safety of Intra-articular (IA) injection on the ipsilateral adhesive capsulitis (AC) after breast cancer surgery. Methods: Between January 2017 and May 2020, we retrospectively studied 29 patient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who underwent IA injection in the glenohumeral joint for AC in aseptic procedure. Results: There were no side effects or complications such as lymphedema or cellulitis in the patients.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in score and range of motion (ROM) at the 1st, 3rd, and 6th months visits compared to the baseline (p<0.05). The presence or absence of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nd radiation therap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ovement of ROM. But, in rotator cuff syndrome (RC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ovement of shoulder IR in patients without RCS. Conclusion: IA Injection on the ipsilateral AC after breast cancer surgery was safe and even effective to improve pain and shoulder ROM. Ipsilateral IA injection can be a good treatment for breast cancer surgery patients suffering from AC.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수술 및 방사선치료후의 미용적 결과 (Cosmetic Results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Early Breast Cancer)

  • 김보경;신성수;김성덕;하성환;노동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21-26
    • /
    • 2001
  • 목적 : 보존적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인에서의 조기 유방암의 보존적치료의 전반적인 미용적 결과와 유방의 대칭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2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조기유방암으로 보존적수술 후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추적관찰 기간은 16개월에서 74개월로 중앙값은 33개월이었다. 유방보존수술은 사분위절제술 및 액와림프절절제술 108례, 종양절제술 및 액와림프절절제술 4례, 종양절제술 2례, 전절제 생검술 4례, 피하유방절제술 및 액와림프절 절제술이 2례였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4 MV, 6 MV 또는 10 MV X 선을 이용하여 1 일 1.8 Gy 씩 50.4 Gy를 유방전체에 접선조사야로 조사한 후 원발부위에 7 또는 9 MeV 전자선으로 1일 2 Gy 씩 10 Gy를 추가조사하였으며 21례에서 액와림프절과 쇄골상 림프절을, 9례에서 액와림프절, 쇄골상림프절, 내유림프절을 치료범위에 포함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총 46례에서 시행하였으며, 45례에서 CMF (cyclophosphamide, methotrexate, 5-fluorouracil) 복합요법 6회를, 1례에서 CAF (cyclophosphamide, doxorublcin, 5-fluorouracil) 복합요법 12회를 시행하였다. 전반적인 미용적 결과는 유방의 부종(edema), 수축(retraction), 상승(elevation), 섬유화(fibrosis), 경화(induration) 및 피부변화 등을 고려하여 excellent, good, fair, poor 의 4 단계로 평가하였으며, 유방의 대칭성의 판정을 위하여 symmetry index를 사용하였다 전반적인 미용적 결과의 비교 및 분석을 위하여 polytomous logistic regression 방법을 사용하였고, 유방의 대칭성 평가를 위해 logistic regress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최종 추적관찰 시 전반적인 미용적 결과는 excellent가 29명$(24\%)$, good 62명$(52\%)$, fair 23명$(19\%)$, poor가 6명$(5\%)$으로 $76\%$의 환자에서 good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단변량분석 상 종양의 크기가 2 cm 이하인 경우 (p=0.04),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p:0.0002), 종양 절제술 또는 전절제생검술을 시행한 경우 (p=0.02), 방사선치료의 범위에 액와림프절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p=0.0005),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p=0.0001) 더 좋은 미용적 결과를 보였다. 다변량분석 상 종양절제술 또는 전절제생검만을 시행한 경우(p=0.04),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p=0.0002)에 더 좋은 미용적 결과를 보였다. 유방의 대칭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단변량분석 상 종양의 크기가 2 cm 이하인 경우(p=0.0007),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p=0.005),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p=0.001), 방사선치료의 범위에 액와림프절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p=0.02) 에 더 좋은 유방의 대칭성을 보였으며 종양절제술 또는 전절제생검만을 시행한 경우(p=0.09) 대칭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다변량분석 상으로는 종양의 크기가 2 cm 이하인 경우(p=0.003),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p=0.007) 더 좋은 유방의 대칭성을 보였다. 결론 : 조기유방암에서의 보존적수술 및 방사선치료는 $76\%$의 환자에서 good 이상의 미용적 결과를 보였다. 또한 대상 환자 중 종양의 크기가 작은 경우,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및 수술의 범위가 작은 경우 미용적 결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 (Results of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Subseque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Cases of Breast Cancer)

  • 지의규;김규보;최진화;장나영;한원식;노동영;임석아;김태유;방영주;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142-148
    • /
    • 2008
  • 목 적: 조기유방암의 치료에 있어 과거에는 유방 전적출술이 주된 치료였으나 현재는 유방보존술이 표준 치료방법으로 정립되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유방보존수술 및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치료결과 및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2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침윤성 유방암으로 유방보존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42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환자는 사분절제술 및 액와림프절 청소술을 시행 받았다(396명, 93.4%). 302명이 T1이었고 122명은 T2 병기였으며, 림프절 전이는 107명에서 확인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전체 유방에 28회에 걸쳐 50.4 Gy를 조사한 후 종양이 있었던 부위에 10 Gy의 추가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역림프절 조사는 57명에서 시행되었다. 항암화학요법은 231명에서 시행되었으며, 그 중 170명이 cyclophosphamide, methotrexate 및 5-fluorouracil을 투여 받았다. 중앙추적기간은 64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 환자의 5년 국소제어율은 95.6%이었다. 추적관찰 중 15명의 환자에서 국소재발이 확인되었다. 5년 생존율은 93.1%이었고,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I기 94.8%, IIA기 95.0%, IIB기 91.1%, IIIA기 75.9%, IIIC기 57.1%이었다. 5년 무병생존율은 88.7%이었고, 병기별로는 I기 93.1%, IIA기 89.4%, IIB기 82.8%, IIIA기 62.0%, IIIC기 28.6%이었다. 예후인자 분석에서는 N 병기(p=0.0483)가 생존율에, 연령(p=0.0284)과 N 병기(p=0.0001)가 무병생존율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결 론: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우수한 국소제어율 및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Local and regional recurrence following mastectomy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1-3 positive nodes: implications for postmastectomy radiotherapy volume

  • Park, Shin-Hyung;Lee, Jeeyeon;Lee, Jeong Eun;Kang, Min Kyu;Kim, Mi Young;Park, Ho Yong;Jung, Jin Hyang;Chae, Yee Soo;Lee, Soo Jung;Kim, Jae-Chu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6권4호
    • /
    • pp.285-294
    • /
    • 2018
  • Purpose: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postmastectomy radiotherapy (PMRT) and which regions would be at risk for recurrence, we evaluated local and regional recurrence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1-3 positive nodes and a tumor size of <5 cm.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ata of 133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with 1-3 positive nodes, and a tumor size of <5 cm who were treated with mastectomy followed by adjuvant systemic therapy between 2007 and 2016.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57 months (range, 12 to 115 months). Most patients (82.7%) were treated with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djuvant chemotherapy, endocrine therapy, and trastuzumab therapy were administered to 124 patients (93.2%), 112 (84.2%), and 33 (24.8%),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chemotherapy regimen was anthracycline and cyclophosphamide followed by taxane (71.4%). Results: Three patients (2.3%), 8 (6.0%), and 12 (9.0%) experienced local, regional, and distant failures, respectively. The 5-year cumulative risk of local recurrence, region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disease-free survival was 3.1%, 8.0%, 11.7%, and 83.4%, respec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linicopathologic factors associated with local recurrence. Lymphovascular invasion (univariate p = 0.015 and multivariate p = 0.054)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regional recurrence. Conclusion: Our study showed a very low local recurrence in patients with 1-3 positive nodes and tumor size of <5 cm who were treated with mastectomy and modern adjuvant systemic treatment. The PMRT volume need to be tailored for each patient's given risk for local and regional recurrence, and possible radiation-related toxicities.

1998, 1999년도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 현황 조사 (The 1998, 1999 Patterns of Care Study for Breast Irradiation After Breast-Conserving Surgery in Korea)

  • 서창옥;신현수;조재호;박 원;안승도;신경환;정은지;금기창;하성환;안성자;김우철;이명자;안기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192-199
    • /
    • 2004
  • 목적: 유방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적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사선치료 기술 표준화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국의 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 형태 조사연구(Patterns of Care Study)를 계획하였다. 그 첫 단계로 유방보존적 수술 후 시행한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사하고자 하는 입력 문항을 개발하였고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Web 기반 입력 프로그램(www.pcs.re.kr)을 개발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1998년도와 1999년도에 유방보 존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전수 조사를 하지 않고 표본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입력 문항은 127개로 병력과 이학적 소견, 수술 소견과 병리 소견,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요법, 방사선치료계획, 방사선치료, 치료 중 부작용, 치료 효과, 합병증, 미용 효과 등 10군으로 나누어져 있다. 15개 병원에서 입력된 261명의 데이터를 분석 하였다. 결과: 연령은 24$\~$85세(중앙값 45세)였다. 병리학적 유형은 관상피암종이 88.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수질성암종이 4.2$\%$, 소엽상피암종이 1.5$\%$였다. 병기는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5판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T1이 59.7$\%$,T2가 29.5$\%$,Tis가 8.8$\%$였으며 전체의 42.5$\%$가 Tlc에 해당하였다. 전체 환자의 91.2$\%$에서 액와림프절 곽청술이 시행되었고 69.7$\%$의 환자들에서는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었으며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인 경우가 15.3$\%$, 4$\~$9개가 4.2$\%$, 10개 이상 전이된 경우가 1.9$\%$였다. 따라서 병기 0기가 8.4$\%$, I기, 44.9$\%$, IIA기, 33.3$\%$, IIB기 8.4$\%$였다. 에스트로겐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수용체 검사는 각각71.6, 70.9 $\%$에서 이루어졌다. 유방보존적 수술 방법은 단순절제술(excision/lumpectomy)이 37.2$\%$, 광범위절제술이 11.5$\%$ 사분원절제술(quadrantectomy)이 23$\%$, 부분절제술(partial mastectomy)이 27.5$\%$에서 시행되었다. 수술 후 10예 (3.8$\%$)에서 절제연이 양성이었고 10예는 절제연이 종양에서 2 mm 이내였다. 항암화학요법은 I기에서 54.7$\%$, IIA기에서 83.9$\%$, IIB에서 100$\%$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는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들이 계획된 방사선량의 90$\%$ 이상을 조사 받음으로써 순응도가 매우 높은 치료임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의 범위는 전체의 88$\%$가 유방만 치료받았고 5$\%$는 유방과 쇄골상부림프절을, 4.2$\%$는 유방, 쇄골상부림프절에 액와림프절후방추가 조사를 하였으며, 유방, 쇄골상부림프절과 함께 내유방림프절을 치료하였던 예는 1예(0.4$\%$) 뿐이었다. 유방 치료에 사용된 방사선의 종류는 Co-60가 8명(3.1$\%$), 4 MV X-ray가 115명(44.1$\%$), 6 MV X-ray가 125명(47.8$\%$)이었으며 11명(4.2$\%$)은 10 MV X-ray를 사용하였다. 조사된 방사선량은 유방 전체에 45$\~$59.4 Gy (중앙값 50.4), 원발 병소에 대한 추가 조사가 8$\~$20 Gy (중앙값 10 Gy)로 총 방사선 조사선량은 50.4$\~$70.4 Gy (중앙값 60.4 Gy)였다. 결론: 조기 유방암에 대한 진단과 병기 결정 과정, 유방보존적 수술 후 시행되는 방사선치료는 큰 편향이 없이 권고안대로 잘 시행되고 있었다. 다만 원발 병소에 대한 추가 치료는 비교적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이것이 치료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적조사연구가 필요하며 방사선치료 계획상의 세부 사항에 대한 분석과 평가가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유방 관상피내암의 유방 보존술 후 방사선 치료의 성적과 예후 인자 분석 (Treatment Outcome and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of Ductal Carcinoma in situ Treated with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Radiotherapy)

  • 김경주;허승재;박원;양정현;남석진;김정한;이성공;이지현;강성수;이정은;강민규;박영제;남희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11-16
    • /
    • 2004
  • 목적: 유방 관상피내암 환자들의 유방 보존술 및 방사선 치료 후 생존율과 국소 재발률, 재발 양상 및 국소 재발에 영향을 준 인자들을 분석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유방 관상피내암으로 유방 보존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국소 절제 또는 광범위 절제가 시행되었고, 일부에서 액와 림프절 곽청술이 시행되었다. 방사선 치료는 전 유방에 50.4 Gy /28회를 조사하였고, 절단면에 종양이 있거나 절단면에서 종양이 가까웠던 경우($\leq$ 2 mm) 일부에서 종양이 있었던 부위에 $10\~14$ Gy를 추가 조사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 추적 관찰기간은 43개월($12\~102$개월)이었다. 결과: 5년 국소 무병생존율, 생존율은 각각 $91\%,\;100\%$였다. 국소 재발은 6명($6.3\%$)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침윤성 유방암으로 재발한 환자는 1명이었다. 수술에서 재발까지의 기간은 1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2년 이상이었다. 주위 림프절 재발이나 원격전이는 없었다. 재발한 환자 중 5명은 유방 전절제술 후 무병생존 중이고, 1명은 구제 치료예정이다. 국소 재발에 영향을 준 인자들에 대해 분석했을 때, 연령, 절단면 상태, comedo type, 핵분화도 모두 국소 재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범위에 따라서도 국소 재발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30), 절단면이 종양에서 가까웠던 경우 초기 종양 부위에 추가 조사도 국소 재발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p=1.0). 결론: 유방 관상피내암의 치료로 유방 보존술 및 방사선 치료 시행 후 높은 국소 제어율과 생존율을 얻을 수 있었다. 종양이 절단면을 침범하지 않는 한 절단면과 종양과의 거리와 추가 방사선 조사는 국소 재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더 많은 환자로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