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nomous driving car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4초

고속도로 주행 시 선행차량의 전방 긴급 장애물 회피에 따른 Car-to-Car Cut-out 시나리오 기반 AES 성능평가 방법 연구 (A Study on AES Performance Assessment Protocol based on Car-to-car cut-out Scenario According to front Emergency Obstacle Avoidance of Preceding Vehicle during Highway Driving)

  • 김진석;이동훈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84-90
    • /
    • 2022
  • With the popularization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safety has emerged as a more important criterion. However, there are no assessment protocol or methods for AES (Autonomous Emergency Steering). So, this study proposes AES assessment protocol and scenario corresponding to collision avoidance Car-to-Car scenario of Euro NCAP in order to prepare for obstacles that appear after the emergency steering of LV (Leading Vehicle) avoiding obstacles in front of. Autoware-based autonomous driving stack is developed to test and simulate scenario in CARLA. Using developed stack, it is confirmed that obstacle avoidance is successfully performed in CARLA, and the AES performance of VUT (Vehicle Under Test) is evaluated by applying the proposed assessment protocol and scenario.

자율주행자동차의 도로 주행에 대한 법적 근거 및 개선 방안 (Legal Basis and Suggestions on Road Driving Eligibility of Autonomous Cars)

  • 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342-345
    • /
    • 2019
  • 자율주행자동차는 기술적 측면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왔으나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법적 문제를 해결하는 작업은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에서 대표적인 법적 이슈인 도로 주행 근거를 분석하고 현행 법/규정상의 문제점을 파악하며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자율주행자동차에서 기술 개발과 법/규정 정비는 상호 협력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법적 이슈를 이해하는 것은 자율주행자동차를 개발하는 기술자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자율주행자동차 탑승객의 편의자세 연구를 위한 실험기구 설계 (Design of Experimental Equipment for Evaluating Relaxed Passenger Postures in Autonomous Vehicle)

  • 김성호;방승환;조영주;신재호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1
    • /
    • 2024
  • The advancement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is expected to transform cars beyond mere transportation into multifunctional spaces for relaxation and entertainment. As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becomes more sophisticated, with no need for direct driver control, the interior space of vehicles is anticipated to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car seats, the component most frequently interacted with by passengers during travel,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rise. However, existing car seats are designed according to a seated posture, necessitating verification for passenger safety and seat structure considerations in the context of autonomous driving, where comfortable postures may differ. For these reason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eats of future autonomous vehicles will evolve with the incorporation of additional safety and convenience features. In this study, a three-axis car simulator was employed to investigate seat angles for comfortable postures of passengers in autonomous driving scenarios. Representative postures were identified to enhance passenger convenience. Furthermore, functional design factors contributing to passenger comfort were applied to conduct seat design, seat structure, and collision analysis, with an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design factors.

자율주행차 현황분석과 한국의 경쟁력 확보 전략 (Analysis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Korea's Competitiveness Strategy)

  • 양은지;강수진;권소이;김다연;김지원;이유정;황혜정;장영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2호
    • /
    • pp.49-54
    • /
    • 2017
  • 한국의 제네시스G80, 티볼리2017등이 부분적 자율주행차 시연을 진행 중이며 상용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세계에서는 테슬라 'X'가 완전자율주행차를 구현하면서 테스트 과정을 완료하였다. 자율주행차가 점차적으로 상용화가 되면서 운전 취약자에 대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편의성도 증가하면서 교통사고 비율도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에 자율주행차 사고 시, 윤리적 책임 문제 등 준비되어야 할 관련 법률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자율주행차의 보안문제와 개인사생활의 침해도 매우 우려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자율주행차에 대한 국내외 관련연구와 분석현황을 제시하고,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과 활성화 모델을 제안한다.

자율주행 차량의 다 차선 환경 내 차량 추종 경로 계획 (Car-following Motion Planning for Autonomous Vehicles in Multi-lane Environments)

  • 서장필;이경수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36
    • /
    • 2019
  • This paper suggests a car-following algorithm for urban environment, with multiple target candidates. Until now, advanced driver assistant systems (ADASs) and self-driving technologies have been researched to cope with diverse possible scenarios. Among them, car-following driving has been formed the groundwork of autonomous vehicle for its integrity and flexibility to other modes such as smart cruise system (SCC) and platooning. Although the field has a rich history, most researches has been focused on the shape of target trajectory, such as the order of interpolated polynomial, in simple single-lane situation. However, to introduce the car-following mode in urban environment, realistic situation should be reflected: multi-lane road, target's unstable driving tendency, obstacles. Therefore, the suggested car-following system includes both in-lane preceding vehicle and other factors such as side-lane targets. The algorithm is comprised of three parts: path candidate generation and optimal trajectory selection. In the first part, initial guesses of desired paths are calculated as polynomial function connecting host vehicle's state and vicinal vehicle's predicted future states. In the second part, final target trajectory is selected using quadratic cost function reflecting safeness, control input efficiency, and initial objective such as velocity. Finally, adjusted path and control input are calculated using model predictive control (MPC). The suggested algorithm's performance is verified using off-line simulation using Matlab; the results shows reasonable car-following motion planning.

RC카를 이용한 자율주행 기초 기술 연구 (A Study on Basic Technology for Autonomous-Driving Using RC car)

  • 신재호;유재영;한준희;황인준;박형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9-58
    • /
    • 2022
  • 최근 4차 산업혁명의 시작으로 인해 자율주행 관련 시장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빠르게 발전하는 자율주행 기술의 기술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자율주행의 Level 0부터 Level 5까지의 특징 및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자율주행 차량의 전반적인 구성, 인식기술, 보조기술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구조 및 알고리즘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초음파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모의 자율주행 RC카를 제작하여 인식기술과 보조기술의 필요성을 파악한다.

Implementation of Low-cost Autonomous Car for Lane Recognition and Keeping based on Deep Neural Network model

  • Song, Mi-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1호
    • /
    • pp.210-218
    • /
    • 2021
  •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 type of deep learning algorithm, is a type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used to analyze visual images. In deep learning, it is classified as a deep neural network and is most commonly used for visual image analysis. Accordingly, an AI autonomous driving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real-time image processing, and a crosswalk image of a road was used as an obstacl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low-cost model that can actually implement autonomous driving based on the CNN model. The most well-known deep neural network technique for autonomous driving is investigated and an end-to-end model is applied.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training and self-driving on a simulated road is possible through a practical approach to realizing lane detection and keeping.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사고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보안 윤리 모델 연구 (Enhancing of Security Ethics Model base on Scenario in Future Autonomous Vehicle Accident)

  • 박원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5_1호
    • /
    • pp.105-112
    • /
    • 2018
  • 최근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자율주행 자동차가 상용화가 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자율주행 자동차의 안전성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또한, 현재 명확한 법률과 보안윤리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정해져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이 정해지려면 많은 정보와 경험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사고 사례를 바탕으로 기본적으로 시나리오 기반의 모델을 정한다. 본 연구는 미래 자율주행 자동사 사고 시 보안윤리에 대한 사고 시나리오 사례를 통한 보안 고려 요소에 대한 모델을 제안 한다.

  • PDF

자율주행시대에 통근시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Commuting Time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 장재민;천승훈;이숭봉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72-185
    • /
    • 2021
  • 자율주행시대가 우리 삶에 다가오면서 삶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자율주행자동차가 등장하면 운전자의 부담을 줄임으로 차내에서 생산적 가치가 확장되는 만큼 이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개발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는 경기도 직장인 중 승용차를 이용하는 통근자를 대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가 통근시간 및 통근시간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통근시간 및 통근시간 만족도는 비선형 관계(V)가 도출되었다. 여기서, 자율주행시대에 영향받을 가능성이 높은 비선형 구간인 통근시간 70분 이상영역을 중심으로 이항로지스틱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율주행시대의 영향변수로는 건강도, 수면시간, 근무시간, 여가시간 등이 도출되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은 이러한 변수를 개선시킬 가능성이 높으므로 장거리 통근자의 통근시간 만족도는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