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ed Irriga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자동물꼬장치에 대한 농업인의 수용의도 분석 (Farmers' Acceptance Intentions for Automated Irrigation Systems)

  • 서지민;안주영;황금영;엄지범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1권2호
    • /
    • pp.85-101
    • /
    • 2024
  • Globally, technologies and policies are being develop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agriculture, there's increasing interest in reducing methane emissions from paddy fields by improving water management practices. While automated irrigation systems are being developed, research on farmers' adoption intentions is lack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farmers' acceptance of these systems using the UTAUT2 model. Results show that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price value, and user innovativeness positively influence acceptance intention, while perceived risk and innovation resistance negatively impact it. User innovativeness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s of facilitating conditions, price value, perceived risk, and innovation resistance on acceptance intention. Policy implications are proposed to promote the adoption of automated irrigation systems.

토마토 암면재배에서 정전용량 측정장치를 기반으로 한 급액방법 구명 (Determination of Proper Irrigation Scheduling for Automated Irrigation System based on Substrate Capacitance Measurement Device in Tomato Rockwool Hydroponics)

  • 한동섭;백정현;박주성;신원교;조일환;최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6-375
    • /
    • 2019
  • 본 실험은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Hoyong' 'Super Doterang') 암면재배에서 배지 전체의 정전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Substrate capacitance measurement device, SCMD)를 기반으로 한 적정 급액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누적일사량 제어구(Integrated solar radiation automated irrigation, ISR)와 물관수액흐름 제어구(sap flow automated irrigation, SF)를 대조구로 비교하면서 봄부터 여름철과 겨울철에 재배를 실시하였다. SCMD 제어구는 급액 개시 후 배지 한 개당 설정된 배액 목표량이 처음 발생하는 시점까지 10분간격으로 급액하였고 첫 배액이 배출되면 그 때의 배지의 정전용량(Capacitance)을 100%로 간주하고 그 기준치의 급액제어점(Capacitance threshold, CT)에 도달하면 급액 되었고 그 뒤 목표 배액량이 발생하면 급액이 멈추는 방식으로 제어되었다. 봄부터 여름재배에서 실험 처리를 위해 SCMD제어구의 일회 급액량 (Irrigation volume per event)을 50, 75, 또는 100mL로 설정하였고 겨울철 재배에서는 CT가 0.65, 0.75, 또는 0.90가 되면 급액 되도록 설정하였다. 봄부터 여름철 재배에서 일회 급액량을 50, 75, 100mL로 설정하였을 때 급액 횟수는 각각 39, 29, 19회였고 배액율은 각각 3.04, 9.25, 20.18%였다. 겨울철 재배에서 CT를 0.65, 0.75, 0.90로 설정하였을 때 급액횟수는 각각 5.67, 6.50, 14.67회였고 배액율은 9.91, 10.78, 35.3%였다. 봄부터 여름철 재배에서 일회 급액량 처리에 따른 물관수액흐름속도(SF) 변화는 1회 급액량과 배액량을 각각 50과 75mL로 제한한 경우 100mL로 제한한 경우와 비교하여SF 신호가 외부 광량 신호 (SI) 보다 늦어지는 경향(time lag)을 보였고 겨울철 재배에서 CT를 0.65로 설정한 경우는 물관수액흐름 속도나 함수율이 매우 낮아졌고 CT를 0.90로 설정한 경우는 함수율과 물관수액흐름 속도는 매우 높았으나 많은 배액이 배출되었다. 따라서 토마토 봄부터 여름철 재배에서 SCMD를 활용하여 CT를 0.9로, 배지 한 개당 배액 목표량을 100mL로 설정하였을 때 일회 급액량은 75~100mL 범위가 적합하고 겨울철 재배에서는 1회 급액량을 75mL로, 배액 목표량을 70mL로 설정하였을 때 CT는 0.75이상 0.9이하 범위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앞으로 정전용량 값과 배지 용적수분함량의 관계성을 구명하고 보정계수를 구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ully Automated Solar Powered Irrigation System

  • Mohammad Fawzi Al Ajlouni;Essam Ali Al-Nuaimy;Salman Abdul-Rassak Sultan;Ali Hammod AbdulHussein Twaij;Al Smadi Takialdd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4호
    • /
    • pp.197-205
    • /
    • 2024
  • This paper presents a fully automated stand-alone irrigation system with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module. Solar energy is utilized to power the system and it is aimed to conserve water by reducing water losses. The system is based on a DC water pump that draws energy from solar panels along with automated water flow control using a moisture sensor. It is also fitted with alert and protection system that consists of an ultrasonic sensor and GSM messages sender that transmits signals showing the levels of the water in the reservoir and the battery charge. The control system is designed to stop the water pump from pumping water either when the battery level drops to equal or less than 10% of its full charge, or when the water level becomes less than 10 cm high in the reservoir.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the system is appropriate to use in remote areas with water scarcity and away from the national grid.

농업용수관리자동화시스템의 용수절감효과에 대한 경제적 가치 평가 (Valuation of Saved Water by Automat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ystem: Alternative Cost Approach)

  • 지용근;김선주;김필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4호
    • /
    • pp.1-6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and evaluated the effect of agricultural water reduction by introducing automat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using alternative cost approach. The approach is possible to evaluate none market property as an asset. The saved agricultural water was evaluated as none market property. As the alternative goods, Seongju and Donghwa dam, typical irrigation dams in domestic, were employed. The economic benefit from water saving effect of an automat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was calculated as depreciation expense and maintaining cost of construction agricultural dam per saved agriculture water. As a result, the saved agriculture water was 8.5 million ton per year, and the economic benefit of it was $1.3{\sim}2.1$ million won.

A survey on the application of ICTs in automated water level gauges for agricultural reservoirs

  • Min-Gi Jeon;Jin-Taek Kim;Won-Ho Nam
    • 농업과학연구
    • /
    • 제51권2호
    • /
    • pp.217-225
    • /
    • 2024
  • Timely and appropriate water supply to paddy fields is crucial for efficient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 South Korea, 17,240 agricultural reservoirs supply approximately 60% of the agricultural water and play a pivotal role in irrigation and drought mitigation. These reservoirs are managed by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which oversees 3,411 reservoirs, and various local governments, which manage 13,829 locations. Guidelines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mandate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ater level measurement instruments. Currently, automated water level facilities are installed in 1,734 reservoirs and 1,880 irrigation canals, generating water level data at ten-minute interval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manage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by integrating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into existing automated water level gauge systems. We propose directions for enhancing the automated water level gauges in agricultural reservoirs. The findings woul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stable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these gauges.

DEVELOPMENT OF TRANSPLANT PRODUCTION IN CLOSED SYSTEM (PART II) - Irrigation Scheduling based on Evapotranspiration Rate-

  • Tateishi, M.;Murase, H.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0년도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V.III
    • /
    • pp.764-769
    • /
    • 2000
  • A new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that produces high quality plug seedlings of specific crop has been studied. It is a plant factory designed to produce massive amount of virus free seedlings. The design concept for building this plant factory is to realize maximum energy efficiency and minimum initial investment and running cost. The basic production strategy is the sitespecific management. In this case, the management of the growth of individual plantlet is considered. This requires highly automated and information intensive production system in a closed aseptic environment the sterilized specific crops. One of the key components of this sophisticated system is the irrigation system. The conditions that this irrigation system has to satisfy are: 1. to perform the site specific crop management in irrigation and 2. to meet the no waste standar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rrigation scheduling that can implement the no waste standard.

  • PDF

Growth Monitoring for Soybean Smart Water Management and Production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 JinSil Choi;Kyunam An;Hosub An;Shin-Young Park;Dong-Kwan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8-58
    • /
    • 2022
  •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automation of agricultural work is spreading. In association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based technology, research on field smart farm technology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 state-of-the-art unmanned automated agricultural production demonstration complex was established in Naju-si, Jeollanam-do. For the operation of the demonstration area platform, it is necessary to build a sophisticated, advanced, and intelligent field smart farming model. For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utomated agricultural production demonstration area platform, we are building data on the growth of soybean for smart cultivated crops and conducting research to determine the optimal time for agricultural work. In order to operate an unmanned automation platform, data is collected to discover digital factors for water management immediately after planting, water management during the growing season, and determination of harvest time. A subsurface drip irrigation system was established for smart water management. Irrigation was carried out when the soil moisture was less than 20%. For effective water management, soil moisture was measured at the surface, 15cm, and 30cm depth. Vegetation indices were collected using drones to find key factors in soybean production prediction. In addition, major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stem length, number of branches, number of nodes on the main stem, leaf area index, and dry weight were investigated. By discovering digital factors for effective decision-making through data construction, it is expected to greatly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utomated agricultural production demonstration area.

  • PDF

토마토 암면 고형배지경에서 급액방식에 따른 급배액량, 생육 및 과실 수량 비교 (Comparison of Irrigation and Drainage Volumes, Growth and Fruit Yield under Different Automated Irrigation Methods in Tomato Rockwool Hydroponics)

  • 윤범희;조은경;백정현;조일환;우영회;최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8-35
    • /
    • 2020
  • 본 연구는 봄에서 여름 재배기에 토마토를 암면배지 재배에서 누적일사량급액방식(ISR)과 물관수액흐름 속도에 따른 급액방식(SF)에서 급배액량, 수분흡수량, 과실 생육 및 과실 생산량, 과실비대속도를 관찰하였다. 정식 후 28일에서 82일까지 총급액량은 SF 제어구에서 약 5.0L 적게 소비되었으나 지상부와 과실 생체중은 유의차가 없었고 수분이용효율(WUE)과 과실 200g을 생산하는데 소요된 물량도 두처리 간 유의차가 없었다. 정식 후 58일에서 82일까지 급액방식에 따른 실시간 광량과 물관수액흐름속도 상관관계를 관찰하였을 때 상관관계(r2)는 SF제어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정식 56일부터 82일까지 실시간 측정된 과경비대속도와 배지함수율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SF제어구에서 야간과 낮 시간대에 ISR제어구 보다 높았고 특히 야간 시간대에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SF제어구의 물관수액흐름속도와 수분부족분(Humidity Deficit: HD)과의 상관관계(r2=0.6286)도 광량과의 관계만큼 높게 나타났다. 더 많은 현장 연구를 통해 수확량, WUE 및 센서의 정확도과 같은 특성에 관한 결과들을 도출하였을 때 상업적 수경재배 농장 재배자의 관심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벼 재배용 사물인터넷 기반 물꼬 구현 (Implementation of IoT-Based Irrigation Valve for Rice Cultivation)

  • 이병한;성덕경;진영민;황연현;김영광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93-98
    • /
    • 2023
  • 벼농사에서 물 관리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벼의 생육 초기에는 잡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물을 깊이 대고, 모내기 후 뿌리가 활착하면 줄기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 물을 얕게 대며, 쌀알이 맺힐 수 없는 줄기가 생성되는 시기에는 물을 뗀다. 물 공급 상황은 논 위치, 농수로, 토양, 기상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농민은 수시로 논을 방문하여 수위를 확인하고 물의 유출입을 통제한다. 경작하는 논이 원격지에 분산되어 있다면 이러한 노력은 더욱 증가한다. 자동 물 관리 시스템은 노동력을 절감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2022년 국내 벼 생산으로 인한 순수익은 평균 32만원/10a 정도이다. 따라서 높은 단가의 고사양 장치를 적용하거나 공사를 추진하여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본 연구는 추가적인 기반공사 없이 국내 농업 인프라에 통합될 수 있는 물꼬 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며 세 가지 주요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물꼬를 구현하였다. 첫째, 기존의 농업용 관수 파이프에 빠르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물꼬를 설계하였다. 둘째, 저전력 통신 기능을 갖춘 Cat M1 통신 모뎀과 아두이노 나노 보드를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회로를 제작하였다. 셋째,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이용하여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구축하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작하였다.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센서를 활용한 무배액 시스템에 적합한 코이어 배지의 Chip과 Dust 비율 구명 (Scheduling Non-drainage Irrigation in Coir Substrate Hydroponics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Chips and Dust for Tomato Cultivation using a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Sensor)

  • 최은영;최기영;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8-255
    • /
    • 2013
  • 본 연구는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FDR) 센서를 활용한 무배액 시스템에 적합한 코이어 배지의 chip과 dust 비율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 실험으로 chip 함량에 따른 일일 급액량, 배액량, 배지의 용적당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 식물생육, 과실 수량과 수분이용효율 측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판 코이어 슬라브 중 chip과 dust 부피비율이 0 : 100%, 30 : 70%, 50 : 50%, 70 : 30%인 것과 대조구로 시판 rockwool 배지와 2층 슬라브, 즉 1층에 chip함량과 2층에 dust함량이 15 : 85%, 25 : 75%, 35 : 65%인 것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배지 중 0 : 100%와 rockwool 배지는 전 생육기간 동안 배액이 배출되지 않았고 나머지 모든 배지에서도 극소량의 배액이 배출되었다. 일일 평균 급액량은 시판 슬라브와 2층 슬라브 배지 모두에서 chip 함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식물 생육, 상품과 수량 및 수분이용효율은 chip과 dust의 비율이 0 : 100%인 시판 슬라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FDR센서에 의한 자동급액 방식으로 토마토 작물을 재배 할 때 chip과 dust 부피비율이 0 : 100%인 코이어 배지를 사용할 경우 식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수분을 이용하여 생산량이 증가되면서도 배액을 최소화하거나 배액을 창출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FDR 센서에 의해 자동 급액되는 시스템에서 1회 급액량과 급액간격 기능을 생육단계별로 조정하여 배지의 물리성에 따른 급액 일정에 대한 세밀한 실험이 앞으로 수행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