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logous transfus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Functional Outcomes of Subaxial Spine Injuries Managed With 2-Level Anterior Cervical Corpectomy and Fusion: A Prospective Study

  • Jain, Vaibhav;Madan, Ankit;Thakur, Manoj;Thakur, Amit
    • Neurospine
    • /
    • 제15권4호
    • /
    • pp.368-375
    • /
    • 2018
  • Objective: To evaluate the results of operative management of subaxial spine injuries managed with 2-level anterior cervical corpectomy and fusion with a cervical locking plate and autologous bone-filled titanium mesh cag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3 patients with a subaxial spine injury who matched the inclusion criteria, underwent 2-level anterior cervical corpectomy and fusion at our institution between 2013 and 2016, and were followed up for neurological recovery, axial pain, fusion, pseudarthrosis, and implant failure. Results: According to Allen and Ferguson classification, there were 9 cases of distractive extension; 4 of compressive extension; 3 each of compressive flexion, vertical compression, and distractive flexion; and 1 of lateral flexion. Sixteen patients had a score of 6 on the Subaxial Injury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rest had a score of more than 6.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9 months (range, 12-48 months). Neurological recovery was observed in most of the patients (78.21%). All patients experienced relief of axial pain. None of the patients received a blood transfusion. Twenty-one patients (91.3%) showed solid fusion and 2 (8.69%) showed possible pseudarthrosis, with no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cage or plate. Conclusion: Two-level anterior cervical corpectomy and fusion, along with stabilization with a cervical locking plate and autologous bone graft-filled titanium mesh cage, can be considered a feasible and safe method for treating specific subaxial spine injuries, with the benefits of high primary stability, anatomical reduction, and direct decompression of the spinal cord.

역행성 자가혈액 충전법: 체외순환 중 동종적혈구 수혈량을 줄일 수 있는가? (Retrograde Autologous Priming: Is It Really Effective in Reducing Red Blood Cell Transfusions during Extracorporeal Circulation?)

  • 임청;손국희;박계현;전상훈;성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73-479
    • /
    • 2009
  • 배경: 역행성자가혈액충전(RAP)은 체외순환으로 인한 과도한 혈희석을 예방하여 심장수술과 관련된 수혈량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한 반론도 여전하다. 저자들은 RAP의 혈액보존효과를 분석하고 보조적 수단으로서 자가수혈과, 초여과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심폐기를 사용한 단독 관상동맥우회수술을 시행한 1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나이는 63.9$\pm$9.1세(범위 36$\sim$83세), 남여 성비는 83 : 34였고 RAP군은 62명, 대조군은 55명이었다. RAP는 체외순환 시작 전 동맥 및 정맥라인을 통해 정질성 충전액이 배액되도록 하였다. 초여과법은 체외순환 중 시행하는 고전적방법과, 체외순환 직후 시행하는 변형법을 적용하였다. 동종적혈구의 수혈기준은 적혈구용적량 20% 미만으로 하였다 결과: 79예(67.5%)에서 수술 중 자가수혈을 시행하였고 채혈량은 평균 142.5$\pm$65.4 mL (범위 30$\sim$320 mL)였다. 체외순환 중 동종적혈구 수혈은 47예(40.2%)에서 시행되었으며 평균 수혈량은 404.3$\pm$222.6 mL였다. 수혈의 위험인자는 체표면적(OR 0.01, 95% CI 0.00$\sim$0.63, p=0.030)과 심폐기 가동시간(OR 1.04, 95% CI 1.01$\sim$1.08, p=0.019)이었다. RAP는 수혈빈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없었지만(34.5% vs 45.2%, p=0.24), 수혈량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고(526.3$\pm$242.3 mL vs 321.4$\pm$166.3 mL, p=0.001) 자가수혈과 초여과법을 병합 적용할 경우 누진적으로 수혈량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가지; 600.0$\pm$231.0 mL, 두가지; 533.3$\pm$264.6 mL, 세가지; 346.7$\pm$176.7 mL, 네가지; 300.0$\pm$146.1 mL, p=0.002). 결론: RAP는 체외순환 중 동종적혈구 수혈빈도를 감소시키지는 못했지만 수혈량은 의미있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자가수혈과 초여과법은 추가적인 수혈량 감소효과를 보였다. 체외순환 중 수혈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수혈기준이 되는 적혈구용적량을 낮추고 정질성 수액의 투여를 제한하는 등의 적극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개심술시 Cell Saver를 이용한 자가수혈의 효과 (Effects of Autotransfusion using Cell Saver in Open Heart Surgery)

  • 윤경찬;최세영;유영선;이광숙;박창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28-31
    • /
    • 1998
  • 개심술시 출혈에 따른 동종수혈은 응혈이상증, 간염, 후천성면역결핍증, 과민반응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동종수혈을 줄이는 한 방법으로 자가수혈기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있다. 계명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93년 7월부터 1996년 7월까지 개심술을 받은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cell saver를 이용하여 자가수혈을 받은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20명으로 나누어 수혈량, 흉관을 통한 출혈량, 혈액학적 소견, 혈액응고상태 등을 비교하였다. 술후 출혈량은 양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수혈량은 실험군에서 2.91$\pm$1.72 units로 대조군의 4.82$\pm$1.72 units에 비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cell saver를 이용하여 얻어진 처리혈의 구성성분은 hemoglobin 17.4gm%, hematocrit 56.4%, RBC 5,780,000/ul, WBC 9,900/ul, platelet 33,000/ul, sodium 147.4mEq/L, potassium 2.9mEq/L로 나타났다. 처리혈을 세균배양한 결과 20례중 1 례에서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배양되었으나 감염에 따른 합병증은 없었다. 그리고 자가수혈기 사용에 따른 합병증예도 없었다.

  • PDF

다양한 악교정 술식 조합에 따른 실혈양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estimated blood loss follwing to orthognathic surgeries)

  • 장진현;김진우;박성호;김명래;김선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4호
    • /
    • pp.272-277
    • /
    • 201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stimated blood loss and determine the change in hemoglobin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each orthognathic surgery. Subjects an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who underwent orthognathic surgery among those diagnosed with a dentofaical deformity in Mok-Dong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from 2002 to 2009. One hundred patients (men - 36, women - 64, mean age of $24.5{\pm}4.6$)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1 - bilateral sagittal ramus osteotomy [BSSRO], group 2 - BSSRO+Genioplasty, group 3 - Lefort 1+BSSRO+genioplasty, group 4 -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on maxilla and mandible). A comparative study on the estimated blood loss (EBL), operation time, peri-operative changes in hemoglobin was performed using anesthesia records.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a Mann-Whitney U-test and Spearman's Rho test - SPSS 12.0 (SPSS Inc. Chicago, IL, USA). Results: In group 1 (BSSRO), the mean EBL, operation time and change in hemoglobin was $394.43{\pm}52.69$ ml, $184{\pm}42.33$ minutes, and 1.43, respectively, In group 2 (BSSRO+genioplasty), it was $556.32{\pm}63.42$ ml, $231{\pm}37.45$ minutes, and 1.80, respectively. In group 3 (Lefort 1+BSSRO+Genioplasty), it was $820.55{\pm}105.54$ ml, $320{\pm}15.41$ minutes, and 2.73, respectively. In group 4 (segmental osteotomy), it was $1025.39{\pm}160.21$ ml, $355{\pm}20.10$ minutes, and 3.33, respectively. In particular, in group 3,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method of the orthognathic surgery. The mean EBL in a Lefort 1 osteotomy with advancement was only 687 ml, whereas Lefort 1 osteotomy with canting correction (992 ml), even impaction (764 ml), and posterior nasal spine impaction (100 ml) showed a much higher EBL.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the EBL and peri-operation hemoglobin increased as treatment plans became more complicated and increasing operation time. Safe orthognathic surgery should be performed by applying proper autologous transfusion plans based on the average EBL of each orthognathic surgery type.

간엽줄기세포와 성장인자의 공급원으로서 제대 조직의 동결 보관 (Cryopreservation of Umbilical Cord as a Source of Mesenchymal Stromal Cells and Growth Factors)

  • 이혜련;노은연;신수;윤종현;김병재;전혜원
    • 대한수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5-126
    • /
    • 2012
  • 배경: 제대 조직은 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 MSCs)의 유망한 공급원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결 보관한 제대 조직에서 유래한 간엽줄기세포의 특성을 신선 제대 조직에서 유래한 간엽줄기세포와 비교함으로써, 제대 조직을 동결한 보관 후 해동하여 간엽줄기세포를 획득하기 위해 제대 조직의 동결 보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각각의 제대 조직을 두 가지 크기($1{\sim}2mm^3$과 0.5 cm)로 처리하여, 두 가지 동결 보존제(자가제대혈장과 RPMI 1640)를 사용하여 액체질소에 동결 보관하였다. $1{\sim}2mm^3$로 잘게 자른 신선 제대 조직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1주일 후 해동하여 세포 배양하였으며, 0.5cm 크기로 동결 보관한 제대 조직은 해동 후 $1{\sim}2mm^3$로 잘게 세포 배양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수확한 세포의 수와 생존율, 세포 증식능, 세포표면항원을 분석하였으며, 배양액에 존재하는 다양한 성장인자(EGF, IGF-1, PDGF, TGF-${\beta}$, bFGF, VEGF)를 측정하였다. 결과: 11개의 제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가제대혈장을 동결 보존제로 사용한 경우보다 RPMI 1640을 동결 보존제로 사용한 경우에 세포 획득율이 높았으며, 동결 전에 $1{\sim}2mm^3$로 잘게 잘라 동결 보존한 제대 조직보다는 0.5 cm 크기로 동결하였다가 해동 시 잘게 자른 제대 조직에서 세포 획득율이 높았다. 신선 제대 조직과 동결 제대 조직에서 유래한 세포들 간에 증식능의 차이는 없었다. 신선 제대 조직의 배양액보다 RPMI 1640을 이용하여 동결 보관한 제대 조직의 배양액에 성장인자가 더 많이 존재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동결 보관한 제대 조직에서 간엽줄기세포뿐만 아니라 배양액의 성장인자도 얻을 수 있었으며, 제대혈을 동결 보관하는 것처럼 향후에는 간엽줄기세포와 성장인자를 필요한 시점에 얻기 위해 제대 조직을 동결 보관하는 것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