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or affiliations informa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FRAD 개념 모형 기반의 학술논문 전거데이터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ed on FRAD Conceptual Model based Authority Data Scheme for Academic Papers)

  • 이석형;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5-25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논문에 나타나는 저자명, 단체명, 학술지명 전거데이터 구조를 FRAD 개념 모형을 적용하여 설계하는데 있다. 학술정보에는 정보의 접근점이 되는 저자, 소속기관, 발행기관, 학술지 및 회의명과 같은 개체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개체들간 여러 관계들이 존재하고 있다. FRAD 개념 모형에 따른 학술정보 전거데이터의 표현을 통해 학술정보의 체계적인 관리 및 정확한 정보 검색,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지식 표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개체-관계형 학술정보 전거데이터는 학술문서와 연계되며, 개체 식별을 위한 여러 속성 정보 및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저자 식별을 위한 자질 비교 (Features for Author Disambiguation)

  • 강인수;이승우;정한민;김평;구희관;이미경;성원경;박동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11
    • /
    • 2007
  • 학술 정보에서 저자는, 실세계의 한 저자가 형태적으로 둘 이상의 저자명으로 출현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저자들이 동일한 저자명을 공유하기도 한다. 이는 각각 학술정보에 대한 검색 및 탐색에 있어, 재현율과 정확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이 연구에서는 후자에 해당하는 저자의 동명이인 문제에 있어, 그 중의성 해소를 위한 자질의 특성에 집중하고자 한다. 최근까지, 저자 식별을 위한 자질로, 공저자, 논문 제목, 게재지명과 같은 서지 내적 자질과, 논문 원문 텍스트로부터 획득되는 전자메일주소, 소속기관, 논문의 토픽 등과 같은 서지 외적 자질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자질들이 저자 식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한글 저자명에 대해 원문과 연계된 대용량 저자 식별 평가 셋을 구축하여, 동명 저자 중의성 해소에 있어 다양한 자질들의 특성을 비교한다.

  • PDF

국내 과학기술콘텐츠 저자의 소속기관명 식별을 위한 소속기관명 자동 식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Algorithm for Organization's Name of Author of Korean Science & Technology Contents)

  • 김진영;이석형;서동준;김광영;윤정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73-382
    • /
    • 2017
  • 과학기술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과학기술콘텐츠의 효율적인 검색을 지원하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저자의 소속기관명을 키워드로 사용할 경우 한 기관에서 생산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자, 용어를 키워드로 사용한 검색 결과의 식별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검색 키워드로 사용되는 데이터들의 중의성과 모호성으로 인해 검색 결과에 false negative, false positive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식별을 통한 통제는 중요하다. 저자의 소속기관명의 식별을 통한 통제 역시 기관의 이명, 약어 검색을 지원가능하게 하므로 매우 중요하지만 기존의 데이터 식별을 통한 통제에 대한 연구는 저자, 용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명 식별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국내 과학기술콘텐츠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보인다.

디지털 헬스 분야 지식생산기관 식별 정확도 제고 방안 연구 (Research on Improving the Identification Accuracy of Knowledge Production Institutions in the Digital Health Field)

  • 최성윤;문성욱
    • 기술혁신연구
    • /
    • 제32권2호
    • /
    • pp.23-58
    • /
    • 2024
  • 현대에는 개인 연구자 대부분이 지식생산기관에 소속되어 지식생산기관의 유형과 지식생산기관 간의 협력이 과학 지식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지식생산기관이 정확히 식별되지 않아 과학 지식생산 과정을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지식생산기관의 식별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헬스 분야의 PubMed 서지정보를 수집한 후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전 데이터 처리 단계에서 '맥락적 연결'을 활용하여 기관정보의 불완전성을 해소하고, 알고리즘 적용단계에서는 기관명 모호성(IND)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산출한 '지식생산기관 데이터셋'과 동일한 서지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기존 공개 데이터셋인 'PKG datasets'을 비교했을 때, 본 연구가 제시한 방법은 지식생산기관 데이터셋에 포함된 대상 데이터 수를 2배로 증가시켰으며, 국가별 순위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또한 한국 지식생산기관의 디지털 헬스 분야 기여도가 과소 또는 과대 평가되고 있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향후 과학지식을 생산하고 과학 혁신을 달성하는 데 있어 지식생신기관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자 소속과 표제어 분석을 통한 국내 인지과학 분야의 학제적 구조 파악 (Examining the interdisciplinary structure of Korean cognitive science through analyzing author affiliations and title words)

  • 이재윤;정주희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6년도 제1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3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인지과학 분야의 연구자 소속 정보와 논문의 표제어 분석을 통해 학제적 구조 파악을 시도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인지과학 분야에서 대표되는 학문 영역은 컴퓨터과학, 심리학, 언어학, 인지과학, 철학, 교육학, 의학, 경영학이었다. 두 시기(1기: 1989-1998, 2기: 1999-2003)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 인지과학 분야는 1기에서는 컴퓨터과학, 심리학, 언어학 순으로 우세한 학문분야가 나타났다. 이와 달리 2기에서는 심리학, 컴퓨터과학, 인지과학, 언어학의 순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컴퓨터과학의 비중이 초기에 가장 높다가 감소했다는 점에서 외국의 사례와 유사하지만, 외국에 비해서 언어학 분야 연구자의 비중이 다소 높은 것이 국내 인지과학 연구의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가 사용한 표제어를 분석한 결과 두 시기에서 모두 컴퓨터과학과 심리학은 인지과학분야에서 융합되기 보다는 독자적인 연구영역을 형성하였다. 또한 시기별 표제어 분석을 통해서 컴퓨터과학이나 심리학 소속 인지과학 연구자들의 관심사가 1기에서 2기로 넘어가면서 변화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ystematic Review on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Information Worlds

  • Park, Sungjae;Lee, Jisue;Hollister, Jonathan M.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4호
    • /
    • pp.87-109
    • /
    • 2022
  •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the use or development of theor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research is comparatively low and may be trending downward. LIS has also been criticized for relying on theories imported from other disciplines rather than applying or developing theories from within. The theory of information worlds, a social information behavior theory originally introduced in 2008, represents a newer LIS theory whose level of adoption is understudied. This study featur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peer-reviewed research articles which cited or used the theory of information worlds from 2008 to early 2022 to identify trends related to levels of theory use, publication venues, author affiliations, countries, and collaborations, as well as research methods, topics, and populations. Findings suggest that both awareness and use of the theory of information worlds are positively trending, though at slower rates for higher levels of theory use, such as full applications of the theory to guide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empirical data. The theory has also been used by researchers from around the world and across disciplines, most often with mixed and qualitative methods. While the growth of a new LIS theory is promising, the authors echo calls for increased use and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information worlds, and other LIS theories more broadly, and as mor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학술지 내용분석법에 의한 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in Educational Journal Articles: Content Analysis)

  • 이명희;김은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1-100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교육학 분야의 대표적인 두 학술지에 10년 동안 발표된 연구논문 913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발표논문 수와 연구주제별 발표논문 경향, 연구행태, 연구자 및 공동연구자의 수와 소속, 연구방법, 연구비 지원유무 및 지원기금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행정과 고등교육 분야의 논문발표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며, "교육학 연구"에서는 기초학문적인 연구가, 그리고 "한국교육"에서는 정책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 사례연구 등의 순서로 사용되었지만 실험연구가 널리 사용되는 연구방법임이 밝혀졌다. 연구수행 행태에서 67%의 연구가 단독연구이며, 85%의 연구가 교수와 연구원에 의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인 교육분야 연구, 국제지표와 현안에 대한 비교연구, 방법론의 정교화, 연구 분석단위의 다양화를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 연구경향 분석 (Past and Future of the Digital Divide: A Bibliometric Analysis and Review)

  • 김성욱
    • 정보화정책
    • /
    • 제18권4호
    • /
    • pp.103-137
    • /
    • 2011
  • 1990년대 이후 인터넷 등 정보화기기의 급속한 발전 및 보급으로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 : 정보격차)는 정보화 사회의 주요 정치, 경제,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또 정보격차 문제를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정책적 노력과 학문적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약 10년간 진행된 정보격차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Engineering Village 2(EV2)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정보격차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했으며 연구자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정리했다. 20여년 간의 관심과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보격차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이슈로 기존의 연구경향을 분석 정리한 본 연구는 향후 정보격차에 대한 후속연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국내에서 간행된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의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in English-Language Journals of Korean Studies Published in Korea)

  • 김민정;이혜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45-166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간행된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A&HCI 및 SCOPUS에 등재된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 4종으로, Korea Journal 768편,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466편,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285편, Acta Koreana 321편 등 총 1,840편을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내용 분석, 저자 분석, 저자 키워드 빈도분석,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학 연구는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체육학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세 영역 모두 2000년 이후 출판 논문의 수와 범위가 크게 성장하였다. 연구의 대상 시기는 현대, 조선 후기, 근대 일제강점기 순이었다. 논문 저자의 소속 기관은 국내 소속 기관의 저자가 73.34%였으나, 국외 소속 기관 저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저자 키워드는 'Korea'(41번), 'Buddhism'(20번), 'Koreanwar'(18번) 'Joseon'(18번) 등이 상위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토픽모델링에서는 '한국 문화, 문화 전파 현상', '한국 현대 정치사', '한국 사회 민주화 과정', '일제강점기 시대상', '한국 고유 종교철학', '한국 고대사' 등 총 6가지의 토픽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최근의 국제적인 한국학 학술 커뮤니티의 관심사와 연구영역을 파악할 수 있었다.

COVID-19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 MEDLINE 등재 국내 의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COVID-19: Focusing on Medicine Journals of MEDLINE in Korea)

  • 서미진;이지수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35-161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의학 학술지에 발행된 COVID-19(Coronavirus Disease 2019)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MEDLINE에 등재된 의학 분야 학술지 25종으로 총 800건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저자 분석, 빈도 분석, 주제 분석,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저자의 소속 기관은 국내 기관이 76.96%였으며, 국외 기관 저자의 비율은 소폭 감소하였다. 저자의 전공은 '내과학'(32.85%), '예방의학/직업환경의학'(16.23%), '방사선과학'(5.74%), '소아과학'(5.50%) 순이었으며, 공동 연구가 진행된 논문은 435건(54.38%)이었다. 저자 키워드는 'COVID19'(674번), 'SARSCoV2'(245번), 'Coronavirus'(81번), 'Vaccine'(80번) 등이 상위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전체 기간 등장한 단어는 'COVID19', 'SARSCoV2', 'Coronavirus', 'Korea', 'Pandemic', 'Mortality' 등 6개이다. MeSH 용어와 저자 키워드를 대상으로 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통적으로 'covid-19', 'sars-cov-2', 'public health' 등의 중심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토픽모델링에서는 '백신 접종', 'COVID-19 발생 현황',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정신 건강, 방역 조치', '국내 감염의 전파 및 관리' 등 총 5가지의 토픽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기간 동안 발행된 국내 COVID-19 논문의 연구 영역과 연도별 주요 키워드를 파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