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lacoseira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8초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II. 식물플랑크톤군집의 장기간 변화와 전망- (Environmental Studies i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VII. Long Term Variations and Prospect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 이진환;정승원
    • ALGAE
    • /
    • 제19권4호
    • /
    • pp.321-327
    • /
    • 2004
  •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erms of species composition, standing crops, abundant species and dominant species i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from 1940s to 2000s was conducted for the prospective prediction of their succession patterns. Total of 326 taxa were identified and they belonged to 47 blue-green algae, 139 green algae, 12 euglenoids, 126 diatoms, 6 din flagellates and 2 silicoflagellat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83.6% diatoms, 10.5% blue-green algae and 5.3% green algae in the middle of 1960s, whereas those were 43.2% diatoms, 40.7% green algae and 13.6% blue-green algae in the 1990s. Before 1990s, Synedra ulna, Melosira varians, Cymbella tumida, Synedra acus, Cymbella ventricosa, Navicula cryptocephala, Nitzschia palea, Aulacoseira granulata, Gomphonema parvulum and Cymbella affinis were most frequent, while those after 1990 were Asterionella formosa, Asterionella gracillima, Aulacoseira granulate,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Chlorella vulgare, Fragilaria crotonensis and Synedra ulna. Phytoplankton blooms were frequent from winter to the late spring and rare in summer due to heavy rain and discharge. Seasonal variations of the dominant species were fairly obvious; Asterionella gracillima and Aulacoseira granulata in spring, Aulacoseira granulate and Aulacoseira granulate var. angustissima in summer and autumn, Asterionella gracillima and Stephan discus hantzschii in winter. Recently blue-green algae, Microcystis, Aphanocapsa, Dactylococcopsis have been more abundant than those of the previous report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s, Stephan discus hantzschii f. tennis, Asterionella gracillima, Aulacoseira granulate and blue-green algae will be more abundant and blooms of those species will be more frequent.

한반도 남부지역의 저수지에서 계절 변화에 따른 규조류 변화 기록 (Modern diatom seasonal variation records from the bottom sediments of reservoirs, southern area in Korean Peninsula)

  • 박영숙;이상헌;김동욱;이은미;김용미;전창표;김진철;최한우;신문상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2권1_2호
    • /
    • pp.1-29
    • /
    • 2018
  • 한반도 남부에 분포하는 저수지로부터 규조의 계절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마지저수지, 죽토저수지, 월정소류지(남동부), 화영과 화동저수지, 월용저수지(남중부), 원선2제, 장동제와 만년1제(남서부)등 총 8곳으로부터 계절별로 수거한 저수지 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규조를 분석한 결과, 남동부 지역에서는 우점종으로서 Aulacoseira spp., Fragilaria crotonensis, Fragilaria tenera, Gomphonema gracile, G. parvulum, Gyrosigma attenuatum등이 산출되었다. 남중부 지역에서는 Aulacoseira spp., Cymbella tumida, Cymbella turgidula, Diploneis finnica, Fragilaria crotonensis등이 우점으로 산출되었다. 남서부 지역에서는 Aulacoseira spp., Fragilaria crotonensis, Gomphonema parvulum, Stenopterobia curvular가 역시 우점으로 산출되었다. 산출된 대부분의 우점종들이 청정수역에서 서식하는 종(Saproxenous taxa)들로서 이들 저수지의 수질 환경은 오염되지 않은 수역으로 생각된다. 계절별로 규조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더욱 풍부하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남동부의 저수지들에서는 2월보다 5월에 채취한 시료들에서 규조의 개체수 농도가 낮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지리산 왕등재습지의 담수조류의 분포와 역할 (Role and Distribution of Freshwater Algae at the Wangdeungjae Wetland in Mt. Jiri)

  • 박정원;박재충;김진희;송재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22
    • /
    • 2008
  • 고산습지인 지리산 왕등재습지에서 담수조류의 분포와 역할을 조사하였다. 환경요인(평균)은 수온 $17.6^{\circ}C$, pH 6.3, 전기전도도 $24.6{\mu}S/cm$, 총질소 0.6 mg/L, 총인 0.09 mg/L 그리고 Chl-a는 $11.9{\mu}g/L$였다. 담수조류는 총 159종이 출현하였으며 녹조강 87종, 규조강 56종, 유글레나강 11종 그리고 남조강이 5종이었다. 이 중에서 녹조강의 물먼지말(desmid)이 56종으로 가장 많았고, 우점종은 규조강의 Aulacoseira distans이었다. 왕등재습지의 먹이사슬 분석을 위해 올챙이의 채식물을 분석한 결과 주로 담수조류를 섭식하였으며, 수중 우점조류인Aulacoseira distans가 최대로 존재하였다. 왕등재습지의 수중생태계에서 담수조류는 1차 생산자이자 상위 포식자의 먹이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팔당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와 수질과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Phytoplankton Dynamics and Water Quality in Paldang Reservoir)

  • 한명수;정원화;박준대;김종민
    • 생태와환경
    • /
    • 제38권2호통권112호
    • /
    • pp.217-224
    • /
    • 2005
  • 본 연구는 4년에 걸쳐 조사된 팔당호 식물플랑크톤 조사자료를 토대로 각 분류군별 세포수 및 점유율 그리고 우점 조류속의 장기변동 패턴을 평가하고, 아울러 이들과 수질과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시도되었다. 규조류는 조사기간 중 비교적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남조류는 매년 6 ${\sim}$ 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보였고 7월경 가장 높은 세포수를 나타냈다. 녹조류의 경우 높은 세포수를 나타내는 시기는 6 ${\sim}$ 8월로서 남조류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기타 조류는 Cryptomonas속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5 ${\sim}$ 8월에 높은 세포수가 관찰되었다. 조사기간 중 우점속 (매년 조사기간 중 출현 세포수 총계가 평균 7,000 cells $mL^{-1}$ 이상인 것을 대상으로 함)은 Aulacoseira 및 Cyclotella속(규조류), Microcystis와 Anabaena속 (남조류), Scenedesmus속 (녹조류) 그리고 Cryptomonas속 (은편모조류) 이었다. 각 분류군별 세포수와 수질조사 자료 간의 상관관계는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유의성이 있는 것 (p<0.05)으로 나타난 항목 중 상관계수 0.3 이상을 나타낸 분류군은 규조류의 경우 수온과 총인, 남조류는 수온, pH, DO포화도, COD, 총인, 녹조류는 수온, pH, DO포화도, COD, SS, 총인이었다. 속(genera)별 상관계수 0.3 이상을 나타낸 것은 Aulacoseira속의 경우 총질소와 총인, Anabaena속은 수온, DO포화도, COD, 총인, Microcystis속은 수온, pH, DO포화도, 총인, Coelastrum속은 COD와 SS, Scenedesmus속은 수온, COD, 총질소, 총인, Cryptomonas속은 DO포화도와 총질소였다. 팔당호에서의 남조류 bloom에는 유입량에 의한 1차적인 영향을 제외하면, 수온조건이 인 농도 증가에 의한 영향보다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강수계 호수에 출현하는 가을철 식물플랑크톤의 생태적 현황 연구 (Identification of Autumn Phytoplankton in the Lakes of Han River system)

  • 김윤정;김민경;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29-438
    • /
    • 2012
  • 한강은 수도권의 상수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강 수계 7개 호수 (파로호, 춘천호, 소양호, 의암호, 청평호, 팔당호, 충주호)의 식물플랑크톤의 역동성과 군집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8년 11월 분류학적 동정에 의해 총 76속 121종이 분석되었다. Cyclotella sp. and Microcystis sp. 는 각각 파로호와 충주호에서 우점종이었다. Aulacoseira granulata 는 춘천호, 팔당호, 청평호에서 우점하였고, Fragilalia crotonesis 는 소양호와 의암호에서 우점종이었다. 같은 샘플의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분류학적 동정과 분자생물학적 방법은 서로 상호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중.하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Middle-Lower Part of the Naktong River)

  • 문성기;정종문;최철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1-45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Naktong river from January to December in 1999. In water quality, average value of pH were 8.1, BOD 2.5mg/$\ell$, COD 5.0mg/$\ell$, Chl-a 41$\mu\textrm{g}$/$\ell$, and $NH_4^+-N$ 0.08mg/$\ell$, respectively.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42 genera 76 species. Among these, diatoms were 39 species(51.3%), green algae 25 species(32.9%), cyanobacteria 4 species(5.3%), dinoflagellates 4 repectively. The highest standing crops were 33,023 cells/$m\ell$ in February at the Mulgum and the lowest 79 cells/$m\ell$ in March at the Goryung. Also, Standing crops were increased with proceeding from middle part to lower part.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represented that Stephanodiscus hantzschii was dominant species in winter, Cyclotella menaghiniana and Synedra acus in spring, C. meneghiniana, S. acus,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in summer, and A. granulata var. angustissima and C. meneghiniana in autumn. Ecological important species were 4 species, that are Stephanodiscus hantzschii, Cyclotella meneghiniana, Synedra acus, and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In the community analysis, dominance indices ranged from 0.434(August, Namji) to 0.999(January, February, Mulgum) and diversity indices from 0.026(February, Mulgum) to 3.073(September, Namji).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dex among the stations, it was generally defind as two areas such as middle(Goryung, Namji and Samryangjin) and lower part(Mulgum).

  • PDF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식물플랑크톤 군집 대발생의 특징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V. Blooming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 정승원;이진환;유종수
    • ALGAE
    • /
    • 제18권4호
    • /
    • pp.255-262
    • /
    • 2003
  •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biweekly at 6 stations from Feb. 2001 to Feb. 2002 at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During the study, a total of 267 taxa which were composed of 114 green algae, 104 diatoms, 22 blue-green algae, 13 chrysophytes and 2 dinoflagellates were observed.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ranged from 1.30 ${\times}10^6$ cells ${\cdot}l^{-1}$ to 37.47 ${\times}10^6$ cells ${\cdot}l^{-1}$. The dominant species were 11 taxa including Pediastrum duplex, Scenedesmus quadricauda in green algae, Osillatoria limosa, Microcystis aeruginosa, Merisomorpedia sp., Phormidium sp. in blue-green algae, and Asterionella gracillima, Aulacoseira granulata, Fragilaria crotonensis, Stephanodiscus hantzschii f. tenuis, Synedra acus in diatoms. Asterionella gracillima and Stephanodiscus hantzschii f. tenuis were abundant at every station from winter to spring. Stephanodiscus hantzschii f. tenuis occupied the highest dominant ratio and standing crop. From summer to autumn, dominant species were Aulacoseira granulata at all stations and blue-green algae such as Osillatoria limosa, Microcystis aeruginosa, Merisomorpedia sp. at some stations. These 4 species were mostly present at the lower stations 4, 5, 6 and very few at the upper stations 1, 2, 3.

하계 임하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 (The Summer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Lake Imha)

  • 박정원;신종학;이갑숙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95-115
    • /
    • 1999
  • 본 조사는 임하댐을 대상으로 상.중.하로 구별하여 호수내에 16개 정점, 유입하천에 3개의 정점등 모두 19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1996년 8월 5일과 9월 10일에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성, 현존량, 우점종 그리고 각 지수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6강 13목 6아목 25과 66속 143종 27변종 1품종으로 모두 171종류였다. 현존량 변화에서 표층은 $47.350{\times}10^3 ~184.65{\times}10^3 individuals/ml, 중층은 1.08{\times}10^3~54.33{\tiems}10^3 individuals/ml, 하층은 0.69{\times}10^3~115.85{\times}10^3$ individuals/ml였다. 1992년에서 1994년의 조사에서 우점하였던 종은 거의 사라지고, Oocystis lacustris, Elakatothrix gelatinosa, Aulacoseira ambigua, Synedra acus 등의 종이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