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of traditionalit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소비자 성향과 패션브랜드 스토리에 나타난 역사길이와 정통성 계승이 브랜드 역사성 인지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in Brand Attitude and Brand Historicity Perception on History Length and Brand Legitimacy Succession in Fashion Brand Stories and Consumer Orientation)

  • 양진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6
    • /
    • 2013
  •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history length and brand legitimacy succession on Brand Historicity (BH) in Fashion Brand Stories and Brand Attitude (BA) with Consumer Orientation (CO). The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here participants were surveyed after reading a manipulated brand story composed of 2 kinds of brand historicity, brand establishment year (150 years, 70 years, and 20 years) and legitimacy succession (legitimacy succession and legitimacy handover).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sub-dimensions of Brand Historicity appeared to be brand uniqueness, traditionality, symbolism, and managerial traits. Second, brand legitimacy succession types influenced the perceptions of BH with CO. Third, brand legitimacy succession types influenced the perceptions of BA1 (rational brand attitude) and BH1 (brand uniqueness), BH2 (brand traditionality) with CO, which were BA's sub-dimension. Forth, the consumer orientations that influenced BH and BA appeared to be nostalgia orientation, conspicuous consumption orientation, and fashion orientation; however, uniqueness pursuit orientations influenced only BH.

한국전통정원의 해외 조성 현황 및 문제점 양상 (Current State of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Problems Aspects, in Overseas Countries)

  • 박은영;윤상준;홍광표;황민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5-82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을 조성할 수 있는 기준점 마련과 기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해외에 조성된 사례를 바탕으로 조성내용과 표현방식에 있어서 현황과 문제점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9개의 사례지를 선정하여 직접 현장조사와 모니터링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전반적으로 전통의 단순한 재현으로 인한 대중적 보편성과 시대성이 결여되고 있으며, 전통성과 실험적 해석에서의 오류가 나타나고 있었다. 디자인측면에서는 전통정원의 점경물, 장식물 위주의 편집된 디자인 형태로 나타나며, 경관적인 면에서는 전통정원의 공간규모 및 체험위계에 대한 전달이 미흡하고, 주변 경관의 맥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안내 및 정보전달측면에서는 다양한 명칭으로 인하여 한국정원에 대한 인지성이 결여되어 있어 명칭에 대한 통일이 요구된다. 조성 관리 및 이용측면에서는 공간성격에 적합한 식재 수종과 유사 대체수종에 대한 제안이 필요하고, 이용행태를 고려한 수용적 자세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