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igmatism Axi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3초

근시성 난시안에서 난시축 변화가 시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sual acuity for Change of Astigmatism axis in Myopic astigmatism)

  • 최준규;김보연;이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85-290
    • /
    • 2015
  • 본 연구는 근시성 난시안에서 난시축의 변화에 따른 시력상태를 비교분석하고, 정확한 시력검사와 처방서에 따른 난시 교정용 안경의 조제 가공 오차를 최소화 하고자 한다. 안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는 근시성 난시를 가지고 있는 남 녀 93명(186안)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완전교정상태에서 난시축의 $5^{\circ}$, $10^{\circ}$, $15^{\circ}$ 변화하였을 때의 시력을 비교하였다. 난시의 종류는 186안 중에서 중에서 직난시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1.0으로 완전교정시 난시축의 변화에 따른 시력의 변화는 난시축 변화가 크면 클수록 시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시의 형태는 연령의 증가와 함께 직난시에서 도난시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난시의 교정축 변화가 클수록 교정시력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시의 굴절검사를 실시할 때는 난시도수와 난시축을 정확히 검사하고 교정하는 것이 융합되어야 할 것이다.

작업환경에서 오는 시력분포 및 고찰 (A study of Frequency Distributions by the Action styles)

  • 강향녀;김성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9-105
    • /
    • 2000
  • 작업환경에서 시력저하가 나타나는 굴절이상의 종류별 분포는 안경사 100명, 사진기사 100명, 대학생 100명중 단성근시 35% 근시성 단난시 2% 근시성 복난시 30.6% 혼합난시 6.26% 원시성 복난시 3.74% 정시 22.4%의 순으로 나타났다. 양안 굴절이상의 근시도수 분포는 -0.50~-2.00 Dptr가 전체 대상자중 14%, -2.00~-6.00 Dptr 이상이 16% -6.00 Dptr 이상이 5%로 나타났으며, 근시성 단난시의 분포는 C-0.25(90, 180)~C-2.00 Dptr Axis(90, 180) 2%, 근시성 복난시의 분포는 S-0.25 C-0.25 Dptr Axis(90, 180)~S-1.00 C-1.00 Dptr Axis(90, 180)이 22.6%, S-1.00 C-1.00 Dptr Axis(90, 180)~S-2.00 C-2.00 Dptr Axis(90, 180)이 8%로 나타났다. 혼합난시의 분포는 S+0.25 C-0.25 Axis(90, 180)~S+2.00 C-2.00 Axis(90, 180)가 6.26%, 원시성 복난시의 분포는 S+0.25 C+0.25 Axis(90, 180)~S+1.00 Dptr Axis(90, 180)가 3.4%, S+1.00 C+1.00 Axis(90, 180)~S+2.00 C+2.00 Dptr Axis(90, 180)가 0.34%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편심된 안경렌즈의 산각 위치에 따른 비점수차 계산: 편심에 의한 프리즘 처방 (The Astigmatism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Bevel Position of Decentered Spectacle Lens: Prism Prescription Lens by Eccentricity)

  • 김상현;서지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7-8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프리즘 처방을 위해 편심된 안경렌즈의 산각위치에 따른 수차와 경사각에 따른 수차를 계산하였다. 프리즘 처방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일반 렌즈를 편심시켜 만든다. 광축과 주시축 사이의 차이는 수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런 경우 산각의 위치가 중요하다. 우리는 계산을 통하여 산각 회전 띠의 축이 (+)렌즈의 전면 곡률 중심을 지나는 것이 후면곡률 중심을 지나는 것보다 비점수차가 적게 발생하였고, 산각 회전 띠의 (-) 렌즈의 후면곡률 중심을 지나는 것이 전면보다 비점수차가 적게 발생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렌즈의 굴절력이 클수록 비점수차가 작았다.

  • PDF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 시 난시축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the Change of Astigmatism Axis When the Fixation Point Moved Far Distance to Near Distance)

  • 주석희;심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7-59
    • /
    • 2007
  • 이 연구는 원 근거리 상태에서의 난시 성분별, 연령별, 난시축의 분포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주시선이 이동 할 때 난시축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안질환이 없고 눈 수술의 경험이 없는 1,598안(남 698안, 여 900안)을 대상으로 양안개방형 자동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 시 난시 성분들의 변화는 전체난시에서 무변화안 1,020안 (63.8%), 변화안은 578안 (36.1%)을 나타냈으며, 직난시는 사난시로, 사난시는 직난시로, 도난시는 사난시로의 변화가 각각 가장 많았다. 각막난시에서는 무변화안 1,164안(72.8%), 변화안은 434안(27.1%)을 나타냈으며, 직난시는 사난시로, 사난시는 직난시로, 도난시는 직난시로의 변화가 각각 가장 많았다. 잔여난시에서는 무변화안 935안(58.5%) 변화안은 663안(41.4%)을 나타냈으며, 직난시는 사난시로, 사난시는 도난시로, 도난시는 사난시로의 변화가 각각 가장 많았다.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 시 난시축의 회전은 전체난시의 경우 무회전이 761안 (48.5%), $10^{\circ}$ 이상 회전이 837안(52.3%)으로 나타났으며, 각막난시의 경우는 무회전이 846안(52.9%), $10^{\circ}$ 이상 회전이 752안(47%)으로, 잔여난시의 경우는 무회전이 614안(38.4%), $10^{\circ}$ 이상 회전이 984안(62.5%)으로 나타났다. 전체난시의 평균 회전 정도는 반시계방향으로 $31^{\circ}$, 시계 방향으로 $20^{\circ}$로 나타났으며, 각막난시의 평균 회전 정도는 반시계 방향으로 $25^{\circ}$, 시계 방향으로 $27^{\circ}$로 나타났다. 잔여난시에서의 평균 회전 정도는 반시계 방향으로 $33^{\circ}$, 시계방향으로 $35^{\circ}$를 나타냈다.

  • PDF

남녀고등학생의 근시성 난시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Myopic Astigmatism Eyes on The Highschool Students)

  • 윤경한;강명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9-163
    • /
    • 2000
  • 17세에서 19세까지의 남녀고등학생 총 근시안 197안에 대해서 근시성 난시안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근시안중 난시안은 남학생이 61%, 여학생은 57%의 결과를 얻었다. 2. $-100{\geq}$cyl>0.00 난시안은 82%의 분포를 나타냈고 $-1.5{\geq}$cyl>-1.00 범위의 난시안은 12%의 난시안이 조사되어 이들 범위에서 전체 난시안 94%가 조사되었다. 3. -2.00>cyl 범위의 난시안은 6%의 비율로 조사 되었다. 4. 전체 난시중 직난시는 81%로 조사되었고 도난시와 사시는 각각 5%, 14%로 조사되었다.

  • PDF

근거리 주시 시 조절성 난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ommodative Astigmatism of Near Vision)

  • 이학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27-331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근거리 주시 시 눈의 조절로 인한 난시의 변화를 파악하여 근용 안경사용 시 조절성 난시 발생의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근거리 주시 기회가 많은 20세에서 40세까지 154명을 대상으로 포롭터를 사용하여 원거리 교정 굴절력을 측정한 다음 점군시표를 40 cm 거리에 두고 양안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두 눈을 동시에 뜨게 하고 한쪽 눈을 운무 시키고 다른 눈에는 크로스실린더 렌즈를 사용하여 근거리 난시축, 난시량을 측정하여 원거리 난시와 비교하였다. 결과: 근거리 주시 시 난시량이 감소 또는 변화가 없는 사람보다 증가한 사람이 많았고,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0.75D이상 증가한 눈이 총 30안으로 전체 대상자의 9.7%로 나타났다. 근거리 주시 시 직난시와 사난시가 증가 하였고 난시 축방향은 좌안, 우안, 모두 내회선 하였으며 ${\pm}$5$^{\circ}$ 이상 회전된 눈은 조사대상자의 66.9%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난시의 축방향 회전으로 인하여 잔류난시의 발생이 예상되어 눈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근거리 주시 시 난시량의 증가와 축방향 회전으로 교정이 안된 안경을 장용하고 근거리를 주시하면 새로운 잔류난시가 발생하여 눈의 안정피로가 증가할 수 있어 근용 굴절검사에서 근거리주시에 의한 난시 변화를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도체 레이저용 홀로그래픽 시준 렌즈 설계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Holographic Collimating Lens for Semiconductor Laser)

  • 임용석;곽종훈;최옥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1-198
    • /
    • 1998
  • 비점수차를 갖는 반도체 레이저에서 off-axis 흘로그램 렌즈를 이용하여 수차 제거 방법에 대해 논하였다. Dichromated gelatin 필름을 사용하여 높은 회절효율과 off-axis 방향으로 비점수차 없이 시준되는 반도체 레이저용 호로그래픽 시준 렌즈를 제작하였다. 홀로그램 렌즈는 홀로그래픽 회절과 광선추적(ray-tracing) 방법에 의해 계산 설게하였다. 비점수차의 제거는 기록 및 재생 각도를 적당히 선택하므로서 얻을 수 있다. 홀로그램은 488nm 파장인 Ar+ 레이저를 사용하여 기록하였고, 670nm 파장인 반도체 레이저광으로 재생하였다. 주요 피라미터인 기록 및 재생 각도, 파장, 그리고 비점수차 등을 계산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 PDF

Association between astigmatism and amblyopia.

  • Sapkota, Kishor;Kim, Douk Hoon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53-1558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tigmatism and amblyopia. Methods: It was a hospital based, cross-sectional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in Nepal Eye Hospital. Medical record of amblyopic children aged 13 years or younger from were reviewed. Children with amblyopic eyes due to simple astigmatism were included. Relation between depth of amblyopia with magnitude and types of astigmatism, orientation of axis was determined. Out of 139 amblyopic eyes of 82 children, 93 were simple myopic astigmatism and remaining 42 were simple hyperopic astigmatism. Results: Mean age of patients was 7.38±2.61 years. Visual acuity improved by at least one line in Snellen chart in 4/5th of eyes after astigmatic correction. Moderate amblyopia was found to be present in 45% eyes while severe amblyopia in 16% of eyes. With the rule astigmatism was found to be present in 88% eyes. Mean astigmatism was 2.47±0.98D and majority of eyes (67.7%) had high astigmatism. Depth of amblyopia was not associated with magnitude of astigmatism (p > 0.05) but number of lines improved with astigmatic correction was correlated with the magnitude of astigmatism (p < 0.001). Risk of amblyopia is more in high myopic astigmatism. Conclusion: Presenting age of amblyopic children was late in Nepal. Depth of amblyopia was not associated with magnitude of astigmatism.

구면렌즈와 비구면렌즈를 착용한 굴절이상안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fraction State on Spherical Lens and Aspherical Lens)

  • 강향녀;김진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47
    • /
    • 2001
  • 구면렌즈와 비구면렌즈를 착용한 피검자의 굴절이상을 중등도근시, 중등도 근시성 복난시, 중등도 혼합난시이상의 착용자를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양안 굴절이상의 구면렌즈 착용자는 S-3.00 ~ S-6.00Dptr 가 16%, S-6.00D Dptr 이상이 19%, S-3.00C-0.50(90.180) ~ S-6.00C-2.00DptrAxis(90.180) 이 57%, S-3.00C+0.50 ~ S-6.00C+2.00DptrAxis(90.180)이 8%로 분포되어 나타났으며, 비구면렌즈 착용자는 S-3.00 S-6.00Dptr이 31%,S-6.00Dptr 이상이 36%, S-3.00C-0.50(90.180) ~ S-6.00C-2.00DptrAxis(90.180)이 21%, S-3.00C+0.50(90.180) ~ S-6.00C+2.00DptrAxis(90.180)이 12%로 분포되었다.

  • PDF

연령에 따른 난시축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tion of Astigmatism Axis according to the Age)

  • 김정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76
    • /
    • 2001
  • 본 연구는 연령과 난시축 변화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안과적 질환이 없는 굴절이상안 4277안을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굴절이상안 가운데 난시안은 76.5%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32.1%로 가장 높게, 50대 이상에서는 10.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난시안의 분포는 직난시 51.4%, 도난시 31.7%, 사난시 16.9%로 직난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난시축의 분포에서 직난시 비율은 10대에서 68.3%로 가장 높았으며, 도난시 비율은 50대 이상에서 72.6%로 가장 놓게 나타났다. 30대에서는 직난시와 도난시의 비율이 비슷하였고, 30대를 기준으로 30대 이전에는 직난시의 비율이, 30대 이후에는 도난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직난시는 감소하는 반면, 도난시는 증가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젊었을 때의 직난시가 나이가 들면서 도난시로 변화되었다고 추정된다. 사난시는 연령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