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igmatism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5초

여대생들의 각막기본 곡률, 난시, 굴절력 (The Corneal Base Curve, Astigmatism, and Power of Women College Students)

  • 김덕훈;최호성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3-57
    • /
    • 2001
  • 각막의 구조와 기능은 연령에 따라 다소 변화한다. 본 연구는 케라토미터를 이용하여 각막의 곡률, 굴절력, 난시축에 대해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피검자는 19세와 20세로 하였다. 19세의 우안 수직각막 곡률 반경은 약 7.64 mm이고 수평 곡률 반경은 약 7.81 mm이며, 좌안 수직각막, 곡률 반경은 약 7.65 mm이고 수평 곡률 반경은 약 7.83 mm이다. 한편 20세의 우안과 좌안의 수직각막 곡률 반경은 약 7.72 mm이고, 수평 곡률 반경은 약 7.75 mm이다. 19세의 우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4.21 diopter이고 수평굴절력은 약 43.32 diopter이며, 좌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4.23 diopter 이고 수평굴절력이 약 43.24 diopter이다. 한편 20세의 우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3.67 diopter이고 수평굴절력은 약 43.62 diopter이며, 좌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3.73 diopter이고 수평굴절력은 약 43.60 diopter이다. 축에 따른 각막난시의 형태는 19세 우안은 직난시가 약 83%, 도난시가 약 16%이고, 좌안은 직난시가 약 86%이고 도난시는 12%였다. 20세 우안은 직난시가 약 56%이고, 도난시가 약 44%이며, 좌안은 직난시가 56%이고, 도난사가 41%로 나타났다. 난시의 도수에 대해서 1 diopter 미만은 19세 우안은 36%이고 좌안은 31%이나 20세는 좌우안 모두 37.5%이다. l diopter 이상에서 2 diopter 미만은 19세 우안과 좌안은 42%이나, 20세의 우안은 34.4%이고 좌안은 43.8%이다. 한편 2 diopter 이상에서 3 diopter 미만은 19세 우안은 12%이나 좌안은 22%이고, 20세의 우안은 15.6%이고 좌안은 12%이다. 3 diopter 이상에서 4 diopter 미만은 19세 우안은 6%이고 좌안은 2%이나, 20세는 우안만 9%이다.

  • PDF

전북 지역 고등학생 비정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etropia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Province)

  • 두하영;심상현;최오목;강명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7-71
    • /
    • 2002
  • 본 연구는 전북지역 고등학생 비정시 182명 364안을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적 시력 검사를 시행하여 비정시의 정도 및 굴절 이상상태를 연구하였다. 1. 눈의 형태는 근시는 85.7%, 원시는 7.6%, 그리고 정시는 6.6%로 나타났다. 2. 굴절이상안은 단순근시 29.6%, 근시성 복난시 56.3%, 근시성단난시 7.2%, 원시성단난시 1.8%, 원시성 복난시 1.2%, 혼합난시 1.8%, 단순원시 1.8% 이었다. 3. 난시의 축은 직난시 78.7%, 도난시 13.9%, 사난시 7.4%이었다. 4. 난시의 굴절력은 0.50dptr에서 1.0dptr가 64.6%. 1.0dptr 에서 2.0dptr가 29.1%, 2.0dptr 이상이 6%이었다. 5. 근시성 굴절이상안의 등가구면굴절력은 -0.50dptr 에서 -2.0dptr 이하 40.1%, -2.0dptr에서 -6.00dptr 이하 56.6%, -6.00 이상이 36.8% 이였다. 6. 원시성 굴절이상안의 등가구면굴절력은 2.00dptr 이하 50%, 2.00dptr 이상이 50%이었다.

  • PDF

한국인 성인 남성의 굴절이상 (The Refractive Error Eye of the Korean Male Adult)

  • 신영수;김덕훈;문정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7-82
    • /
    • 1999
  • 한국성인 남성의 굴절이상안의 정밀한 이해를 위해서 본연구는 타각적 검사와 자각적 검사법으로 시력검사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눈의 종류는 각각 근시가 92.9%, 정시가 4.9%, 원시가 1.7%이다. 2. 굴절이상안은 복합성 근시성 난시가 62.6%, 단순근시가 32.4%, 단순 근시성 난시가 1.6%,단순원시가 1.4%, 단순원시성 난시가 0.5%, 그리고 혼합난시가 1.6%이다. 3. 난시의 축은 각각 직난시가 59.7%, 사난시가 25.3%, 그리고 도난시가 15%이다. 4. 전체 근시성 구면도수는 -2.0 diopter 이하가 41.8%, -2.00에서 -6.00 diopter 이하가 51.6% 그리고 -6.00diopter이상이 6.6%이다. 5. 전체 원시성 구면굴절력은 2diopter 이하가 75%이며, 2diopter이상은 25%이다. 6. 난시굴절력에서 0.5에서 1.0 diopter 미만이 79.3%, 1.0에서 2.0 diopter 미만이 17.4%, 그리고 2.00 diopter 이상이 3.3%이다.

  • PDF

대구지역 초등학생 굴절이상안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Abnormal Refraction Eye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 in Daegu)

  • 김대년;김혜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3
    • /
    • 2001
  • 초등학생들의 시력을 조사하기 위해서 시력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눈의 형태는 근시 94.8%, 정시 1.2%, 원시 4.0%였다. 2. 굴절 이상안은 단순 근시 71.3%, 근시성 복합 난시 17.9%, 근시성 단순 난시 6.9%, 단순 원시 2.5%, 원시성 복합 난시 0.6%, 원시성 단순 난시 0.8%였다. 3. 난시의 축은 직난시 72.8%, 도난시 23.2%, 사난시 4%였다. 4. 전에 근시 구면 굴절력은 -0.5diopter에서 -2.00diopter이하 71.3%, -2.00diopter에서 -6.00diopter이하 27.3%, -6.00diopter이상이 4%였다. 5. 난시 굴절력에서 0.500diopter에서 1.00diopter 60.0%, 1.00diopter에서 2.00diopter 29.2%, 2.00diopter 이상 10.8%였다. 6. 전체 원시성 구면 굴절력은 2.00diopter 이하 66.7%, 2.00diopter 이상 33.3%였다. 7. 동공간 거리는 51mm 에서 65mm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빈도는 59mm 와 61mm였다.

  • PDF

안경도수를 근거로 한 굴절이상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Refractive Error on the Basis of Their Glasses Power)

  • 정한섭;홍동균;박상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31-437
    • /
    • 2004
  • 본 연구에서 우리는 2002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목포 시내 S안경원을 2회 이상 방문한 6세 이상 50세 이하의 384명(남자 86명, 여자 298명)을 대상으로 안경원에 보관중인 처방전을 기준으로 굴절이상 변화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굴절이상에 따라 분류한 결과 단순근시안 191명(49.74%), 근시성 단성 난시안 2명(0.52%), 근시성 복성 난시안 180명(46.88%), 단순원시안 1명(0.26%), 원시성 단성 난시안 2명(0.52%), 원시성 복성 난시 8명(2.08%)로 조사되었다. 2. 근시 대상자 373명(남자 84명, 여자 289명)을 교정도수에 따라 분류한 결과 $$0.25D{\leq_-}2.00D$$는 166명(남자 36명, 여자130명), $$2.25D{\leq_-}6.00D$$는 194명(남자 46명, 여자 148명), 6.25D 이상의 교정도수가 13명(남자 2명, 여자 11명), 원시 대상자 11명(남자 2명, 여자 9명)은 $$0.25D{\leq_-}2.00D$$, 11명(남자 2명, 여자 9명)으로 조사되었다. 3. 난시 대상자 192명(남자 53명, 여자139명)의 난시의 종류에 따라 분류한 결과 직난시가 145명(남자 32명, 여자 113명), 사난시가 33명(남자 12명, 여자 21명), 도난시가 14명(남자 5명, 여자 9명)으로 조사되었다. 4. 구면도수 변화량은 근시 변화량이 $$0.00D{\leq_-}0.50D$$는 299명(남자 71명, 여자 228명), $$0.51D{\leq_-}1.00D$$는 64명(남자 11명, 여자 53명), $$1.01D{\leq_-}1.50D$$는 9명(남자 2명, 여자 7명), $$1.51D{\leq_-}2.00D$$는 1명(남자 X, 여자 1명), 원시 변화량이 $$0.00D{\leq_-}0.50D$$는 8명(남자 1명, 여자 7명), $$0.51D{\leq_-}1.00D$$는 3명(남자 1명, 여지 2명)으로 조사되었다. 5. 난시도수 변화량은 $$0.00D{\leq_-}0.25D$$는 181명(남자 48명, 여자 133명), $$0.26D{\leq_-}0.50D$$ 25명(남자 9명, 여자 16명), $$0.51D{\leq_-}0.75D$$ 6명(남자 X, 여자 6명)로 조사되었다.

  • PDF

각막의 곡율반경, 굴절력, 난시에 대한 성인 남녀의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le and Female of Adult on the Base Crve, Power and Astigamtism of the Cornea)

  • 최호성;김덕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31
    • /
    • 2000
  • 각막의 기능적인 검사로 사용되는 케라토 미터는 각막의 곡율, 각막난시의 크기와 방각막굴절 표면의 질 그리고 각막표면의 안전성의 결정을 객관적인 방법으로 평가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각막의 곡율반경, 굴절력, 난시에 대해 성인 남녀를 비교 분석하였다. 남성의 우안 수직각막곡율반경은 약 7.656 mm이고 수평곡율반경은 약 7.966 mm이며 좌안의 수직각막곡율반경은 약 7.714 mm이고 수평곡율반경은 약 8.026 mm이다. 한편 여성의 우안 수직각막곡율반경은 약 7.559 mm이고 수평곡율반경은 약 7.695 mm이며 좌안의 수직각막곡율반경은 약 7.444 mm이고 수평곡율반경은 약 7.742 mm이다. 남성의 우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4.063 diopter이고 수평각막 굴절력은 약 43.738 diopter이며 좌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4.082 diopter이고 수평각막 굴절력은 약 42.304 diopter이다. 한편 여성의 우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4.082 diopter이고 수평각막 굴절력은 13.77 diopter이며 좌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4.347 diopter이고, 수평각막 굴절력은 43.495 diopter이다. 축에 따른 각막난시의 형태는 남성은 우안인 경우에 직난시가 89.19%이며, 도난시가 8.1%이고 좌안은 직난시가 91.89%이며, 도난시가 8.11%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의 경우는 우안의 직난시가 76.92%이고, 도난시가 23.08%이며, 좌안은 직난시가 80.76%이고 도난시가 17.31%이다. 각막난시의 도수에 대해서 1 diopter 이상에서 2 Diopter 미만이 44.89%이고 1 diopter 미만이 25.57%이며 2 diopter 이상에서 3 diopter 미만이 18.18% 순으로 나타났다.

  • PDF

4 반사경 ANASTIGMAT 의 ZOOMING 에 관한 연구

  • 나승유;이상수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88년도 광학 및 양자전자학 워크샵
    • /
    • pp.59-67
    • /
    • 1988
  • 연속적으로 aplanat 조건을 만족하는 4 반사경의 zooming에서 aplanat 4구면 반사광학계가 갖는 astigmatism을 줄이기 위하여 4구면 중 하나의 반사경에 원추곡면을 사용함으로써 줌 궤적상의 한점에서 anatsigmat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이방법에 의한 astigmatism 의 보정효과는 제 1 면에 ellipsoid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 PDF

도시와 농촌의 13세 어린이에 대한 굴절상태 분석 (Analysis of Refractive Status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 in 13-year-old Children)

  • 김덕훈;김정숙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08-815
    • /
    • 2017
  • Purpose. To analyze the refractive status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of children in Korea, in the age group of 13. Methods. From October 2016 to January 2017, forty subjects( 20 male subjects, 20 female subjects; 13 years) were performed in refraction test using the Auto-Refraction. Myopia, hyperopia, astigmatism, and anisometropia were defined as spherical equivalent(SE)${\leq}-0.50$ diopters, SE ${\geq}+1.00D$, cylinder error ${\geq}0.75D$ and SE difference${\geq}1.00D$ between binocular eyes, respectively. Results. The refractive error by spherical equivalent among all subjects was myopia 76.25%, astigmatism 35%, emmetropia 16.25%, anisometropia 8.75%, and hyperopia 5%. The prevalence of myopia and astigmatism were much more common in urban than rural region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Emmetropia and astigmatism were much more common in rural region than urban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 prevalence of spherical equivalent was much common from -1.00 diopter to -4.00 diopter. On the other hand,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much more than hyperopia.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OD and OS of rural region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0). Also,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OD and OS of urban region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4). Therefore,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similarity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on the OD and OS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similarity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of the OD and OS in the astigmatism power(p<0.000). However, in the rural and urban regions there was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OD and OS concerning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 and astigmatism power (p>0.1). Conclusions. Myopia was the most common refractive error in Korea young children. while hyperopia was few. There was not a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ge between rural and urban at spherical equivalent power( P> 0.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the refractive status at young children can give the useful diagnosis data for the correction of visual acuity.

각막형상, 각막난시 및 렌즈 피팅상태와 구면 RGP렌즈의 중심안정위치와의 상관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Corneal Type, Corneal Astigmatism and Lens Fitting States and the Stable Centration of Spherical RGP Lens)

  • 임신규;이민하;최선미;박상희;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3-151
    • /
    • 2012
  • 목적: 각막형상이나 각막난시도, 피팅상태가 구면 RGP 렌즈를 피팅함에 있어서 각막 중앙안정위치(stable centration)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각막난시가 0.00~2.75 D인 원형 각막 29안 및 대칭나비형 각막 45안을 대상으로 RGP 렌즈를 양호한 피팅상태, 스팁한 피팅상태, 플랫한 피팅상태로 착용시키고 각막에서의 렌즈 위치를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구면 RGP 렌즈의 수직방향 렌즈 안정 위치는 모든 경우에 아래 쪽으로 중심이탈되었으며 중심이탈 정도는 일관성이 없었다. 수평방향의 렌즈 안정위치는 렌즈의 베이스커브가 커짐에 따라 귀 쪽으로 렌즈 중심이 이탈되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커졌으며 각막형상과 난시도, 피팅상태에 따라 렌즈 중심의 이탈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동일한 난시도를 가진 원형 각막은 대칭나비형 각막에 비해 렌즈 중심이 귀쪽방향으로의 이탈 정도가 더 컸다. 결론: 구면 RGP 렌즈의 피팅상태, 난시도 및 각막형상에 따라 중심안정위치가 달라지며 이를 고려하면 RGP 렌즈 처방 시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