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ive softwar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장애인 직무적응에 대한 재활보조공학 이용 효과 연구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in adaptation to disabled job Effect on the use of research)

  • 정세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9-66
    • /
    • 2013
  • 본 연구는 장애인이 재활보조공학시스템을 이용하여 취업한 기업의 직종 및 직업분야에 적응 만족을 갖게 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재활보조공학지원(재활보조공학의 H/W와 S/W)과 서비스품질의 질을 기반으로 취업생이 직장생활에 편리하게 활동할 수 있게 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취업생 적응에 대한 행동의도에 미치는 전반적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도, 인천 지역에 소재한 기업체에서 직업교육훈련을 받고 취업한 장애인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적으로 유효한 설문지 594부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EM(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이용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보조공학H/W(하드웨어)의 질은 재활보조공학S/W(소프트웨어)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재활보조공학S/W의 질은 서비스품질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재활보조공학H/W의 질은 서비스품질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서비스품질의 질은 취업생 적응에 대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재활보조공학S/W의 질은 취업생 적응에 대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재활보조공학H/W의 질은 취업생 적응에 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매개변수(서비스품질의 질)로도 간접효과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재활보조공학지원(재활보조공학 H/W와 S/W) 기반으로 한, 서비스품질의 질과 융합적인 형태로 수용할 경우, 취업생 적응에 대한 행동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PDF

실시간 영상처리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 보조기구 (Walking Assistive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eal-Time Image Processing)

  • 권혁민;고석환;이경형;이우재;박해준;정영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57-45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영상처리 라이브러리인 OpenCV와 YOLO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횡단보도 보행 시 안전을 제공해 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객체 인식 알고리즘인 YOLOv4-tiny를 이용하여 Ubuntu 환경에서 구현하였다. 데이터 셋은 인도 보행 영상 데이터 셋을 이용하였고 하드웨어는 Jetson Nano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신호등의 색에 따른 보행 가능 여부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의 장애물을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횡단보도와 신호등, 자동차와 같은 도로 위의 객체들로 설계된 알고리즘을 이용해 다양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ssistive Technologies (AT) Preferences of People Living with Visual Disability as Information Access Tools in Academic Libraries

  • Adefunke Olanike Alabi;Olatokunbo Christopher Okik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35-50
    • /
    • 2023
  • Assistive technologies are necessary for ensuring independent living and equal participation in an information-based society for people living with disabilities (PLW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istive technology preference of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approach academic libraries should adopt in procuring assistive technologies. The study adopt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ith a survey as the research design.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visually disabled students in four public universities in Nigeria. Using the total enumeration metho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information from 151 student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ake in the survey. The study found that access to electronic resources, scanning/conversion of print resources to electronic formats and access to information on the Web were among the technology-based services provided to visually disabled students. COBRA, ZoomText, Supernova and Dragon Naturally Speaking are the most preferred assistive technologies (software). At the same time, handheld scanners ($\bar{x}=4.40$) and braille keyboards ($\bar{x}=4.60$) are the most preferred assistive technologies in the hardware category by visually challenged students. The study further revealed that the library management should consult with students living with a visual disability before procuring assistive technology. Findings from this study thus provide further evidence of the need for librarians to fulfil their moral and legal obligation in advocating the provision of assistive technologies. Library administrators and university stakeholders should expedite actions on meeting the assistive technology needs of people living with visual disabilities. These actions should transcend mere policy formulation on the provision of assistive technologies to restructuring their services and spaces to accommodate assistive technologies as information service delivery tools for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장애인을 위한 데이지 도서 기반 독서보조기기 개발의 경제적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eveloping Daisy Book Based Reading Assistive De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임순범;박주현;이종우;육주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9-285
    • /
    • 2017
  • 본 연구는 데이지 독서보조기기 개발 사업 추진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과 효과를 추정하여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수 기능만을 탑재한 저가의 데이지플레이어기기의 경우 하드웨어/시제품 및 소프트웨어 개발비용은 총 \307,101,664원으로 추정 되며, 생산비는 대당 \112,000원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데이지뷰어소프트웨어 및 입출력 보조기기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개발비용은 총 \284,294,080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입출력보조기기는 대당 \6,600원에 구매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적 파급 효과를 파악하여 데이지 독서보조기기 개발 사업 추진이 장애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사업의 추진여부에 대한 검토의 근거 자료로 향후 사업 진행 시 환경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를 위해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기대한다.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장애인 및 노령 인구를 위한 보조 소프트웨어의 개발 - 작업용 특수 전동의자를 위한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 (Development of Assistive Software for Disabled and Aged People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 Unified User Interface for Special Work Chair)

  • 김상철;전문진;이상완;박광현;변증남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4권4호통권316호
    • /
    • pp.8-14
    • /
    • 2007
  • 사회제도가 개선되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고령인구와 장애인의 사회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능 로봇 및 지능형 주거공간 등의 여러 시스템들의 이들의 사회 참여를 돕기 위해 개발되었고, 실제 고령 인구와 장애인의 독립적인 생활 영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시스템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고가의 특별한 하드웨어가 요구된다. 실제 시스템을 사용하게 될 계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고려하면 기존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일반적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사용에 익숙하지 않으며 신체의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운 사용자 계층을 위해 특수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건들을 만족시키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보조 시스템의 관련 이론을 포함한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결과물을 제시한다.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장애인 및 노령 인구를 위한 보조 소프트웨어의 개발 - 작업용 특수 전동의자를 위한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 (Development of Assistive Software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 Unified User Interface for Special Work Chair)

  • 김상철;전문진;이상완;박광현;변증남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22-224
    • /
    • 2007
  •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continuously becomes more active due to the improvement of social system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Various systems such as intelligence robots and intelligence home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support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those systems obviously contribute to the independent lives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ose systems, however, usually require special hardware, which make them very expensive. Considering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users, the problem should be tackled with software-oriented approaches using existing hardware such as laptops. The software should be adapted to users with limited capabilities by enabling them to utilize the system without much knowledge related to computers and also without keyboards and mice. This paper suggests software-oriented approaches to solve those problem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unified user interface for a special work chair, and introduces an actual development procedure of the program together with real application of related theories.

  • PDF

4가지 선회보조 장치가 운전 성능에 미치는 영향: 장애 유무와 운전면허 유무에 따른 비교 (Influence of Four Types of Steering Assistive Devices on Driving Performance: Comparison of Normal and Disabled People with and without Driver's License)

  • 송정헌;김용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2-42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riving performance of Healthy and disabled groups (with or without driver's license) to control steering wheel by using steering assistive devices in the driving simulator. The persons with partial loss of use of all four limbs have problems in operation of the motor vehicle because of functional loss to operate steering wheel. Therefore, if steering assistive devices for grasping the steering wheel are used to control the vehicle on the road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isabled persons can improve mobility in their community life by driving a motor vehicle safely. Ten healthy subjects (with or w/o driver's license) and ten subjec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ith or w/o driver's license)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o evaluate driving performance to operate steering wheel by using four types of steering assistive devices (Single-pin, V-grip, Palm-grip, Tri-pin) in driving simulator. STISim Drive 3 software was used to test the steering performance in four scenarios: straight road at low and high speed of vehicle (40 km/h and 80 km/h), curved road at low and high speed of vehicle (40 km/h and 80 km/h). This study used two-way ANOVA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factors (type of steering assistive device and subject group) in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of driving performance (the lateral position of vehicle, standard deviation of lateral position representing the variation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he number of line crossing). The mean values of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lateral position, standard deviation of lateral position, the number of line crossing) of steering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maller for the healthy or disabled groups with driver's license than the other groups without driver's license on the curved road at high speed of vehicle compared to low speed of vehicle.

EEG 신호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Development of Simulation Software for EEG Signal Accuracy Improvement)

  • 정해성;이상민;권장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21-22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EEG 신호 기반 기기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본인의 EEG 신호 정확도를 확인하고, 훈련을 통하여 자신의 EEG 신호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제안한다. 실험 데이터로는 풍경사진을 보며 편안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신호와 수학문제를 풀며 집중 시에 발생되는 신호를 사용한다. 입력되는 EEG 신호는 독립 성분 분석(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을 적용하여 잡음을 최소화하고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를 통하여 베타파(${\beta}$, 14-30Hz)만을 취득한다. 취득한 베타파 대역 데이터에서 제곱평균제곱근(Root Mean Square, RMS) 알고리즘을 통하여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지지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에 적용하여 분류한다. 분류된 결과는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훈련 전 피험자의 평균 정확도는 79.21%이었던 반면, 연속적인 훈련으로 최고 91.67%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EEG 신호 정확도를 향상키기는 훈련을 통하여 정확도 향상이 가능하고, EEG 신호 기반으로 이루어진 BCI 시스템의 효율적인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

모바일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및 모바일 기기의 크기에 대한 선호도 조사 (Usability Testing for a Mobile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Software and Users' Preference for the Size of Mobile Devices)

  • 이희연;홍기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37-43
    • /
    • 2012
  • 본 논문은 안드로이드기반 모바일 보완대체의사소통시스템(AAC)의 기능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에 대한 사용성 평가에 대한 것이다. 시나리오를 사용한 평가를 통해 특정 기능실행의 용이성, 기능사용의 만족도, 정보찾기의 용이성 등을 살펴보았고, 설문조사를 통해 모바일 AAC의 개발목적, 내용, 교수학습 전략, 활용가능성, 편집/설정 기능과 사용자인터페이스 등이 무발화아동의 의사소통 요구에 적합한지를 평가하였으며, 자유 피드백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만족도, 요구분석 사항 등에 대한 피드백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5인치, 7인치, 4.3인치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안드로이드기반 모바일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 PDF

전자문서용 색각 장애 보정 소프트웨어 개발 (Development of Assistive Software for color blind to Electronic Documents)

  • 장영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5호
    • /
    • pp.535-542
    • /
    • 2003
  • 본 연구는 컴퓨터에서 칼라 전자문서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색맹 및 색약 장애자의 혼란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보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 기술을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즈를 256색 모드로 사용할 때로 제한하였으며, 여러 개의 창을 열었을 때 나타나는 색의 왜곡을 줄이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색맹 및 색약 장애자용 팔레트는 christine이 표준으로 제안한 웹에서 안전한 216색상의 팔레트론 기준으로 모든 전자 문서에 적용한 수 있도록 256색 팔레트로 확장하여 구현하였다. 구현된 색각 보정 소프트웨어를 적록색맹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시험한 결과 색각 보정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구현된 색각 보정 S/W는 전자문서의 설계과정에서 사용하면 좀 더 큰 색각 보정 효과를 거둘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