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essment of spatial neglec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편측 공간무시 환자의 평가: KF-NAP(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과 지필검사의 비교 (Assessments of Spatial Neglect : Comparison of KF-NAP (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 and Pencil-Paper test)

  • 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27-35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편측 공간무시 환자의 평가도구 중 KF-NAP (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과 지필검사 (직선이분검사, 글자소거검사, 알버트 검사) 사이의 상관관계와 편측 공간무시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평가도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4년 9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서울 소재의 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32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 19명, 여성 13명, 평균연령 61.8세). KF-NAP과 지필평가는 입원 7일 이내에 시행하였으며, 각 평가도구의 결과 값으로 편측 공간무시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편측 공간무시 정도는 KF-NAP 93.8%, 직선이분검사 53.1%, 글자지우기 53.1%, 알버트 검사 37.5%로 편측 공간무시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높은 평가도구는 KF-NAP이었다. KF-NAP은 직선이분검사(r=.430), 글자 지우기(r=.641), 알버트 검사(r=.398)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5). 결론 : KF-NAP은 환자의 일상생활 동안 편측 공간무시를 평가하는 도구로써 지필검사에 비해 편측 공간무시의 진단에 더 민감할 뿐 아니라 편측 공간무시의 중증도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따라서 편측 공간무시의 평가에 KF-NAP이 유용하게 사용되어져야 한다.

편측 공간무시에 관한 고찰: 유형 및 이론, 해부학적 영역, 평가와 치료 (A Review of Spatial Neglect: Types, Theories, Neuroanatomy, Assessments and Treatment)

  • 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1호
    • /
    • pp.11-23
    • /
    • 2017
  • 편측 공간무시는 주로 우측 대뇌반구의 병변으로 인한 뇌졸중 이후 발생하는 신경학적 질환으로, 병변 반대 측 신체와 공간에 대한 처리 기능과 주의집중에 문제가 발생한다. 기능적 신경이미지 연구에서 편측 공간무시는 큰 수준의 중대뇌 동맥, 페리실비안 연결망, 주의집중 연결망의 손상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편측 공간무시는 부정적인 예후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중재를 위해 편측 공간무시의 유형과 이론 그리고 전통적 평가와 기능적 평가를 포함한 임상적 평가가 고려되어야 한다. 편측 공간무시의 치료는 하향식 접근방법과 상향식 접근방법으로 구분하며, 두 접근방법을 결합하는 형태가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편측 공간무시의 모든 최신 중재방법 중에서 프리즘 적응이 가장 적절한 중재법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편측 공간무시의 유형과 병변 위치 등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중재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내려치기 패턴 훈련이 편측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균형능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임상 시험 (Effect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Chopping Pattern on Neglect, Balanc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with Hemi-Spatial Neglect: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강태우;김범룡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7-11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hopping pattern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on the neglect, balance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with hemi-spatial neglect. METHODS: Twenty stroke patients with neglect volunteer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EG, n=10) or control group (CG, n=10). The chopping pattern of PNF and exercise therapy were applied in the EG and CG, respectively, for four weeks. Neglect,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evaluated at the pre-and post-intervention. The assessment tools included a line-bisection test, balance test using Space balance 3D, and modified Barthel index. The pre-and post-intervention values were compared in each group using a paired t-test and the between-group differences were assess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to ${\alpha}=.05$ for all variable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EG and CG in terms of neglect,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05).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neglect,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opping pattern of PNF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hemi-spatial neglect,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with neglect.

편측무시를 가진 뇌졸중 환자를 위한 동적 체간 평형 훈련이 편측무시,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ynamic Trunk Equilibrium Exercise on Neglect,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With Hemi-Spatial Neglect)

  • 강태우;오덕원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0-43
    • /
    • 2018
  • Background: Hemispatial neglect is defined as the failure to attend, report, respond, or orient toward meaningful stimuli provided in the contralateral side of a brain lesion. O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dynamic trunk equilibirum exercise for stroke patients with hemi-spatial neglect.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1 stroke subjects,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or the control group.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5 sessions of 20 minutes per week during 4 weeks. The line-bisection test, the Albert test, the balance function score, the Berg balance scale,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raining.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Between-group and within-group comparison was analyzed by using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both group (p<.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ine-bisection test, Albert test, balance function score, Berg balance scal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and modified Barthel index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Dynamic trunk equilibrium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patients' neglect, balance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