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essment of learning process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29초

교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의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for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Using Manipulatives -Focused on Middle School Mathematics-)

  • 고상숙;한혜숙;이창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581-609
    • /
    • 2013
  • 제 7차 교육과정이후 학생들의 수학 학습을 돕기 위해서 다양한 평가 방법으로 학습 과정 및 수학 수준 등에 대하여 진단해야하는 평가의 중요성이 꾸준히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인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구를 활용한 평가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선 교구를 활용한 평가에 적합한 평가원리를 설정하여 각 영역별로 문항과 채점기준표를 개발하고 예비 연구를 실시한 결과 관찰체크리스트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나아가 예비 연구를 바탕으로 수정된 평가모델을 사용하여 평가를 실시한 결과, 수학적 과정인 각 영역별 특성에 따른 채점기준표에 의해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목표지향평가가 용이해짐을 알 수 있었다.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건강사정 학습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 비판적 사고 성향, 수업참여도 및 수업몰입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Health Assessment Learning Programs using On-line Platfom on Problem Solving Proces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Flow of Nursing Students)

  • 김향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05-317
    • /
    • 2024
  • 본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건강사정 학습 프로그램이 간호 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 비판적 사고 성향, 수업참여도 및 수업몰입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적용한 원시실험연구(pre-experimental research)이다. 연구 대상자는 C북도 G군 소재 J대학교 건강사정 및 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간호학과 2학년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건강사정 학습 프로그램 참여 전·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과정(t=-2.569, p=.013), 비판적 사고 성향(t=-5.363, p<.001), 수업참여도(t=-4.429, p<.001), 수업몰입도(t=-3.747, p<.001)가 프로그램 참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사정 수업 시 간호 대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 비판적 사고 성향, 수업참여도, 수업몰입도 향상을 위해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등학교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수행평가 기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s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an Affective Domain of Mathematics in High School)

  • 이종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2호
    • /
    • pp.193-204
    • /
    • 2002
  • Performance assessment has been introduced to school education as an alternative measure of the former educational assessment which put much emphasis on the result rather than the process of learning, memorization than pursuit of knowledge, and passive than active study. As for the subject of mathematics, the change of the assessment came to replace multiple choice tests with descriptive- and statement-type tests. This means animprovement on the testing system, focusing on the process of finding out the answer. The main focus, however, is still on the intellectual domain without paying due attention to the emotional domain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assessment of emotional domain In mathematics have shown that there are stumbling blocks in the application of the assessment, such as the disputes on the reliability, objectivity, and fairness as well as the complicated procedure of applying the results to school records. The lack of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the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have also been pointed out.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with the intention of establishing an applicable standard of assessment on the emotional domain of high school matematics. As a result, detailed standards of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adopt oral examination, discussion, observation, and report have been developed. The problems which are likely to emerge In the course of the application of the newly developed assessment are under study as a continuing research project.

  • PDF

고등학교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에서 학생 평가활동이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on Reflective Thinking in High School Argument-Based Inquiry)

  • 이선우;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47-360
    • /
    • 2016
  • 이 연구는 학생 평가활동을 적용한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이 고등학생들의 반성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의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6개 학급의 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에 걸쳐 5개의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84명)은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의 주장과 증거 단계에 동료평가활동과 자기평가활동을 적용하여 논의의 질을 평가하는 경험을 제공하였으며 비교집단(82명)은 이 단계를 생략하였다. 학생 평가활동이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반성 글쓰기를 분석하였으며,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하여 학생 평가활동의 타당성과 활용 정도를 알아보았다. 반성 글쓰기 분석 결과, 1차 반성 글쓰기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3차와 5차 반성 글쓰기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성 글쓰기의 하위 요소에서 탐구과정 분석, 학습의 이해, 생각의 변화 요소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메타인지 수준의 반성을 나타내는 학생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메타인지 수준의 반성을 보이는 학생 비율이 더 높았다. 반성적 실천 요소의 분석 결과, 실험집단은 메타인지 수준의 반성적 실천 학생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비교집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학생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평가활동이 자신의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평가활동을 통해 자신이 무엇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를 깨닫게 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는 메타인지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메타인지적 반성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려 노력하였으므로 평가활동이 반성적 실천을 이끌었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학생 평가활동은 학습의 과정으로 통합되어 학생들을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시킬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향상시켜 학습을 스캐폴딩하는 도구로써 활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준별 수업에 적용한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CRESST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to the 7th Grade Level-Differentiated Math Classes)

  • 이봉주;변희현;양명희;류현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431-450
    • /
    • 2011
  • 효과적인 수학 교수 학습 방안의 하나로 형성평가에 주목하였으나 수업에서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피드백을 주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을 하나의 모형으로 채택한 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중학교 1학년 수준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수준별 수업에 따른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수 학습 방안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적 논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Development of Interactive Mobile Learning Media on Teaching Terms of Mental Status Examination (MSE) for Nursing Students

  • PRIYONO, Djoko;Harlia PUTRI, Triyana;MAULANA, M. Ali;YANTI, Irma;PRABOWO, Thoriq Tri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3권2호
    • /
    • pp.183-205
    • /
    • 2022
  • Mental status examination is an important stage in the assessment process because it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nursing diagnosis and intervention. Until now many students still feel difficult to understand the terms in the assessment of mental status. Interactive Mobile Learning in one of the media that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The use of this media will provide more in-depth learning opportunities, and students can practice their skills in carrying out practicals because of the mobility principle possessed by smartph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martphone-based app and evaluate the app's effectiveness by measuri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of mental status examination. Design: A randomized trial with a pre-and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at a university in Indonesia. A total of seventy junior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a smartphone-based app,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e-time lecture-based learning. We offered the experimental group the app and information about how to use it, and we encouraged them to use it. The control group received classroom instruction.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n knowledge score (t = 19.40, p = 0.000) and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method (t = 0.640, p = 0.021)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martphonebased education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in nursing education for teaching mental status examinations.

수학과 수행평가의 이론적 기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 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1호
    • /
    • pp.67-75
    • /
    • 2001
  • Since performance assessment was introduced in Korea in the middle of 1990, many problems which include its definition, characters, methods and scorings etc., raised in mathematics education world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Contemporary teaching and loaming theories reject stimulus-response theory which emphasizes outcome. Performance assessment emphasizes the assessment which reveal learning process and various strategies. And it bases on constructivism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 This paper presents paradigms which guide the roles and purposes of assessment. The paradigms include conventional paradigm, constructivist paradigm and critical paradigm.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constructivist paradigm and performance assessment. Assessment has to grasp the development of present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future of the students. Performance assessment must be fixed the new paradigm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 PDF

시설물 상태평가를 위한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2-Step 시설물 손상 분석 (2-Step Structural Damage Analysis Based on Foundation Model for Structural Condition Assessment)

  • 박현수;김휘영;정동기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1호
    • /
    • pp.621-635
    • /
    • 2023
  • 시설물 상태평가는 시설물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진단 주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현재 수행되고 있는 인력 기반 방법은 안전, 효율, 객관성에 대한 문제를 안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영상을 이용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시설물 손상 데이터는 발견하기 어려워 다량의 시설물 손상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기 어렵고, 이는 딥러닝 기반 상태평가에 한계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기반 시설물 상태평가의 학습 데이터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 기반 2-step 시설물 손상 분석을 제시한다. 시설물 상태평가의 요소를 객체화와 정량화로 세분화하고, 정량화 단계에서 영상 분할(segmentation) 파운데이션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기존 영상 분할 방법 대비 10% 포인트 이상 높은 mean intersection over union을 나타냈고, 특히 철근 노출의 경우에는 40% 포인트 이상의 성능 개선을 보였다. 본 연구의 방법이 학습 데이터 구축이 어려운 도메인에 성능 개선을 가져올 것이라 기대한다.

The effects of a maternal nursing 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 on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aternal nursing performance in Kore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Kim, Sun-Hee;Lee, Bo Gyeong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0-242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aternal nursing 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nd assess the program's effectiveness in Korea. Methods: The maternal nursing 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 was developed following the ADDIE model. This study employed an explanatory sequential mixed methods design that applied a non-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nursing students (28 experimental, 33 control) followed by open-ended interviews with a subset (n=7). Data were analyzed by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Results: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 and time in maternal nursing performance; assessment of and intervention in postpartum uterine involution and vaginal discharge (F=24.04, p<.001), assessment of and intervention in amniotic membrane rupture (F=36.39, p<.001), assessment of and intervention in delivery process through vaginal examination (F=32.42, p<.001), and nursing care of patients undergoing induced labor (F=48.03, p<.001). Group and time improvements were also noted for problem-solving ability (F=9.73, p<.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 (F=4.32, p=.01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13.09, p=.001), but not over time. The three main categories derived from content analysis include "learning with a colleague by simulation promotes self-reflection and learning," "improvement in maternal nursing knowledge and performance by learning various countermeasures," and "learning of emotionally supportive care, but being insufficient." Conclusion: The maternal nursing 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 can be effectively utilized to improve maternal nursing performance, problem-solving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for nursing students.

Student Perceptions of Peer Assessment in an Action Research Context

  • Shin, Myeong-Kyeong;Yager, Robert-E.;Oh, Phil-Se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9-141
    • /
    • 2004
  • A peer assessment method was implemented as part of an action research project where the primary goal was to create constructivist science classrooms. Student reflective writings, which had been created in the process of action research,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concerning the peer assessment method employed in their earth science classrooms. Five perception categories and thirteen statements were developed from the student writings. These indicated that the students appreciated the positive nature of peer assessment and the effects of it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promoting learning. It was also revealed, however, that some students displayed inappropriate behaviors toward peer assessment which led to negative perceptions of the new assessment method. Implications for future use of peer assessment in science classrooms are discussed. Limitations founded in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possible solutions a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