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essment Category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34초

상급종합병원 비급여 진료비 변이에 따른 항목 표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ategory Standardization according to Non-benefit Medical Expense in Tertiary Hospitals)

  • 노옥희;안상윤;김용하;이종형;박아르마;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74-280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공개한 2015년 4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상급종합병원의 비급여 진료비 자료를 사용하여 비급여 진료비 항목별로 현황 및 평균 비용과 변이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4월 기준 상급종합병원 44개 기관 중 취소되거나 신규로 지정된 기관은 제외하고 최종 41개 상급종합병원의 비급여 진료비 현황이다. 연구방법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보공개창구에서 공개 자료를 요청한 후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과 연도별 비급여 항목 현황은 빈도분석, 연도별 변이 파악은 변동계수(C.V.)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급여 진료비 세부항목의 현황을 비교 분석한 결과 비급여 항목의 개수가 2015년에는 총 51개였지만, 2016년 53개, 2017년, 98개로 점점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2018년에는 총 193개 항목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상급종합병원 비급여 진료비 변이에 따른 항목 표준화를 위해서 정부는 비급여 진료비 표준화를 확대하고 의료기관은 표준화된 비급여 진료비 항목이나 명칭 등을 사용하도록 의무화하여야 한다.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 학업 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Logical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전성수;박종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47-655
    • /
    • 2014
  •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이 학업성취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SCST), 과학 탐구능력 검사(TSPS), 논리적 사고력 검사(GALT)를 실시하였으며, 과학교과지필 평가와 과학교과 서술형 평가, 전체교과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각각의 능력의 하위 요소별로 학업 성취도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영향을 주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업성취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아래세 가지 유형의 성취도평가와의 상관관계를 구조적인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세 능력은 학습자의 과학교과 지필, 과학교과 서술형, 전체교과 학업 성취도 수준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하위 요소별로 그 상관정도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주고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전체 교과에 대한 학업 성취도 수준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A Comparis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Gifted Child and Science Teacher about the Good Science Class)

  • 양일호;최현;임성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20
    • /
    • 2014
  • 이 연구는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들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 영재 수업이라는 공통의 경험과 그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문제는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과학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해 교사들은 첫째, 교육내용 및 방법의 범주면에서 학생 중심의 주제 선정과 교육과정의 비정형성, 개인차를 인정하는 학습 속도의 조절과 탐구 능력을 촉진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기술 및 태도 범주면에서는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만족도를 높이며,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것을 권장하였다. 셋째, 영재학생 지도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할 것을 포함하였다. 영재 학생들은 첫째, 수업 내용면에서 주제 선택의 자유와 심화된 탐구에 도전 의지를 갖고 해결하는 즐거운 수업을 좋은 과학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 활동면에서 탐구 방식의 자율적 선택과 과학자처럼 활동하기, 소통과 협력이 가능한 모둠활동, 과정 중심 프로젝트나 산출물에 대한 총합적인 평가를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환경면에서는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춰진 실험실에서 허용적인 분위기와 학생에 대한 존중을 요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학생과 지도교사 사이의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혀 영재학생을 위한 과학 영재 수업의 질 관리 및 효과적인 좋은 과학 영재 수업 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천 수질의 오염도평가 방법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Method of Pollution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Stream)

  • 이호범;이중기;신대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98-403
    • /
    • 2005
  • This study is undertaken to find the optimal method to make the decision on the degree of water pollution by comparison of K-WQI, KOE-WQI that is made for index with the water quality index and water quality environment standard of the Frame Act on Environment Policy as the result of survey for water quality reality on the major point of the Yeongsan river from 2002 to 2004. The water quality of major rivers has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seasons. however, under the water quality standard by the $BOD_5$ density, most of rivers displayed the water quality level of $II{\sim}III$ grading, and on K-WQI that is classified by indexing for 10 categories of pH, DO, $BOD_5,\;COD,\;SS,\;T-N,\;NH_3-N,\;NO_{3^-}$ N, T-P, and E-Coli and classified into 5 groups from 100 points to 40 points, they displayed the score distribution of the first grade in water quality for $85{\sim}100$ points to the second grade in water quality for $70{\sim}84$ points. On KOE-WQI that is classified by indexing for 5 categories of pH, DO, $BOD_5$, COD and T-coli and classified into 5 groups from 90 points or above for outstanding and 29 points or below for very bad, and the water quality distribution is made ranged from the first grade in water quality for 90 points or more to the third grade in water quality for $69{\sim}50$ points. In addition, for the contribution of the water quality decline, the Environmental standard has significant dependency on the $BOD_5$ density, with K-WQI contributing in various water quality declin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round the river area of $BOD_5,\;T-N,\;NH_3-N,\;NO_3-N,\;T-P$, and E-Coli, and KOE-WQI acting os the factor contributing to lower the water quality decline by $BOD_5$, COD, and T-coli. As such, the current water quality environment standard has high dependency on $BOD_5$ and KOE-WQI excludes some nitrogen and phosphorus that considers the river environment that the grade in water quality is set by some category, and K-WQI reflected well of the ecology environment of rivers with the diversity of the assessment factor as well as to have the low dependency of specific factor to be objective.

침입외래생물의 사전예방 제도 및 개선방향 (Overview of Preventive Measures against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and Suggestions for their Improvement)

  • 길지현;김창기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239-246
    • /
    • 2014
  • 2014년에 시행된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외래생물의 사전예방적 관리 제도가 마련되었다. 아직 국내에 도입되지 않았으나 도입될 경우 생태계에 침입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래생물 중 포유류, 조류, 어류, 연체동물, 곤충, 식물을 포함한 24종이 위해우려종으로 지정되었다. 위해우려종을 국내로 수입 반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환경부장관으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제도는 기존의 법 체계에 비해 사전관리가 도입되었다는 측면에서 발전한 것이지만, 몇가지 개선해야 할 점이 있다. 첫째, 위해우려종의 범주 확대이다. 현재의 국내에 도입이 되지 않은 외래생물 대상에서, 국내에 도입되어 수족관, 식물원, 동물원 등의 사육 또는 재배시설 안에 제한적으로 존재하며 아직 생태계에는 정착되지 않은 외래생물까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에서는 수입 반입 신청자를 위하여 위해 우려종의 생태계위해성심사 세부 기준과 위해우려종이 자연 환경으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관리 지침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위해우려종의 탈출에 대한 조기 탐지 및 신속 대응 방법 및 프로토콜이 개발되어야 한다.

DNA Ploidy and S-phase Fraction Analysis in Paediatric B-ce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ases: a Tertiary Care Centre Experience

  • Kumar, Banothu Kiran;Bhatia, Prateek;Trehan, Amita;Singh, Ajit Pal;Kaul, Deepak;Bansal, Deepa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917-7922
    • /
    • 2015
  • DNA ploidy is an important prognostic parameter in paediatric B-ALL, but the significance of the S-phase fraction is unclear. In present study, DNA ploidy was assessed in 40 pediatric B-ALL cases by flow cytometry. The DI (DNA index) and percentage of cells in S-phase were calculated using Modfit software. Aneuploidy was noted in 26/40 (65%) cases. A DI of 1.10-1.6 (hyperdiploidy B) was noted in 20/40 (50%) and 6/40 (15%) had a DI>1.60 (triploid and tetraploid range). Some 14/40 (35%) cases had a diploid DI between 0.90-1.05. None of the cases had a DI <0.90 (hypodiploid) or in the 1.06-1.09 (hyperdiploid A) range. The mean S-phase fraction was 2.6%, with 24/40 (60%) having low and 16/40 (40%) high S-phase fractions. No correlation was noted with standard ALL risk and treatment response factors with DI values or S-phase data, except for a positive correlation of low S-phase with high NCI risk category (p=0.032). Overall frequency of hyperdiploidy in our cohort of B-ALL patients was very high (65%). No correlation between hyperdiploidy B and low TLC or common B-phenotype was observed in our study as 42% cases with DI 1.10-1.6 had TLC> $50{\times}10^9$ and 57.1% CD 10 negativity. The study also highlighted that S-phase fraction analysis does not add any prognostic information and is not a useful parameter for assessment in ALL cases. However, larger studies with long term outcome analysis are needed to derive definitive conclusions.

TV화질에 있어서 자연스러움의 새로운 접근-TV장르 (A New Approach to Naturalness for Still Images-Depending On TV Genre)

  • 박영경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251-258
    • /
    • 2010
  • 'Naturalness'의 경우 화질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진다. 'Naturalness'는 다른 감성이 부여되는 이미지의 컨텐츠에 의존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The Image Quality Circle은 한 단계에 해당하는 'ness' 단계를 두 가지로 나누었다. 두 단계 중 하나는 lightness, colourfulness, hue and contrast와 같은 지각 속성을 예측하는 단계이다. 다음 단계는 이미지의 컨텐츠에 따른 SSE를 찾는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 이미지들은 TV장르로 분류해 놓았다. 각각의 이미지들은 lightness, colourfulness, hue and contrast를 단계별로 변형시켰다. 각 변형된 이미지의 화질 점수와 SSE의 점수를 실험 참가자들에게 물었다. 정성적 항목에 7 점 단계의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장르에 따른 세 가지 SSE를 변수로 이용하여 화질 평가 모델을 수립하였다. 생생함 (vividness)은 모든 장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SSE이고 나머지 SSE들은 모두 모델에서 독립변수로 취급하였다. 그 후 색 속성을 이용하여 각 장르에 따른 생생함을 예측하는 모델을 수립하였다. 생생함은 각 장르에 따라 의미가 다르며 화질 평가와 자연스러움(Naturalness)룰 연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각 장르마다 생생함이 다른 의미로 여겨지기 때문에 각 장르에 생생함을 최적으로 표현하는 색 속성 또한 장르마다 다를 것이다.

  • PDF

STS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견해에 관한 평가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High School Studen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 임재항;강순민;공영태;최병순;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43-1157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STS에 대해서 우리 나라 고등학생들이 가지는 견해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 도구인 HS-VOSTS(Korean Students' Views on STS)를 개발하는 것이다. HS-VOSTS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수행하였다. 우선, 문헌과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4가지 범주의 10가지 하위 범주와 관련하여 23개의 논제를 포함하는 STS 범주 체계를 설정하였다. STS 범주 체계는 정의 과학의 외적 사회학 과학의 내적 사회학 인식론의 네 가지의 커다란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STS 범주 체계를 기초로 4단계에 걸쳐 문항을 개발하였다. 1단계에서는 각 논제에 대한 짝진술문을 기초로 학생진술 문항지를 작성하여 772명의 고등학생들(16.3세)에게 투입하였다. 2단계에서는 짝진술문 중 하나를 제거하여 문항의 진술문으로하고, 분류된 공통견해를 답지로 하여 1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구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고등학생 28명(16.5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 분석을 통해 2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구성하였다. 4단계에서는 2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고등학생 306명에게 적용하여 낮은 반응비율을 보인 답지들을 제거하여 최종 검사도구를 완성하였다. HS-VOSTS는 학생들의 STS에 대한 신념 및 견해를 알아볼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서, 그 결과는 교사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개발자, 교과서 저자, 교육정책 입안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전당뇨병 성인에서 나트륨 섭취와 복부비만과의 상관관계 (Association between Dietary Sodium Intake and Abdominal Obesity in Pre-diabetes Korean Adults)

  • 임소영;양수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63-771
    • /
    • 2014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만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공복혈당에 따라 정상군, 전당뇨병군, 당뇨병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서 나트륨 섭취량과 복부비만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전당뇨병군에서 나트륨 섭취와 복부비만 관련 지표인 허리둘레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전당뇨병 고나트륨군의 경우 당뇨병 관련 임상지표인 공복혈당, 공복인슐린, HOMA-IR 수치가 높아질수록 복부비만 발병위험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당뇨병과 여러 관련 합병증으로 이행될 위험이 높은 전당뇨병 대상자에서 나트륨 섭취와 복부비만 간 상관성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전당뇨병 성인의 경우 나트륨 섭취 수준이 높다고 분석되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전당뇨병 대상자를 위한 지속적인 나트륨 섭취량 모니터링과 함께 나트륨 섭취가 복부비만과 당뇨병에 미치는 인과관계와 그 기전을 밝힐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당뇨병과 여러 관련 합병증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적절한 식사지침과 효과적인 영양교육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dentification of Patients with Microscopic Hematuria who are at Greater Risk for the Presence of Bladder Tumors Using a Dedicated Questionnaire and Point of Care Urine Test - A Study by the Members of Association of Urooncology, Turkey

  • Turkeri, Levent;Mangir, Naside;Gunlusoy, Bulent;Yildirim, Asif;Baltaci, Sumer;Kaplan, Mustafa;Bozlu, Murat;Mungan, Ayd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5호
    • /
    • pp.6283-6286
    • /
    • 2014
  • In patients with microscopic hematuria there is a need for better identification of those who are at greater risk of harbouring bladder tumors. The RisikoCheck(C) questionnaire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presence of urothelial carcinoma (UC) of the bladder and in combination with other available tests may help identify patients who require detailed clinical investigations due to increased risk of presence of bladder tumor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RisikoCheck(C) questionnaire together with NMP-22(R) (BladderChek(R)) as a point-of-care urine test in predicting the presence of bladder tumors in patients presenting with microscopic hematuria as the sole finding. In this multi-institutional prospective evaluation of 303 consecutive patients without a history of urothelial carcinoma (UC), RisikoCheck(C) risk group assessment, urinary tract imaging and cystourethroscopy as well as urine cytology and Nuclear Matrix Protein-22 (NMP-22 BladderChek) testing were performed where availabl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s (PPV) for the risk adapted approach were calculated. All patients underwent cystoscopy, and tumors were detected in 18 (5.9%). Urine cytology and NMP-22 was positive for malignancy in 9 (3.2%) and 12 (7.5%) of patients, respectively. A total of 43 (14%) patients were in the high risk group according to the RisikoCheck(C) questionnair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questionnaire in detecting a bladder tumor was 61.5 % and 84.0 % in the high risk group. In patients with either a positive NMP-22 test or high risk category RisikoCheck(C), 23.6% had bladder tumors with a corresponding sensitivity of 54.2% and specificity of 88.6%. If both tests were negative only 3.3% of the patients had bladder tumors.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the efficacy of diagnostic evaluation of patients with microscopic hematuria may be further enhanced by combining RisikoCheck(C) questionnaire with NMP-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