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ergillus parasiticu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Inhibitory Effect of Korean Fermented Vegetable (Kimchi) on the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s parasicitus-Part 1.

  • Kim, Jong-Gyu;Lee, Kyung-Mi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0-194
    • /
    • 2007
  • Aflatoxin $B_1$ is a mycotoxin produced by Aspergillus flavus and A. parasiticus and is a human carcinog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duction of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 parasiticus by kimchi. A. parasiticus was grown in a modified APT broth with the juice of kimchi (at a concentration of 7%) at $28^{\circ}C$ for 9 days. Aflatoxin $B_1$ was determined by use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addition of the juice of kimchi significantly reduced mycelial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p<0.05). Reduction of mycelial growth of A. parasiticus as the result of addition of the juice of kimchi was observed to range between 64.8 to 83.4% while reduction of aflatoxin production ranged from 62.2 to 73.0%. This study indicates that kimchi could be an effective inhibitor of aflatoxin production although mycelial growth may be permitted. More research is needed to study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metabolites of kimchi.

알로에 베라가 Aspergillus parasiticus의 생육 및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oe vera on the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s parasiticus)

  • 김종규;이용욱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8-55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Aloe vera on the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s parasiticus. Spore suspension of A. parasiticus ATCC 15517 was inoculated on the yeast-extract sucrose broth containing 0.1%, 0.5%, 1.0% and 10.0% of chloroform extract of Aloe vera and then incubated at 30$\circ$C for 7 days. Mycelial weight was 160.7 mg/5ml in control group and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the extract with no significance. The mold caused decrease in pH of the media with and without the extract. pH in the group contained 10.0% of the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 of 5.10 than that of 4.90 in control group (p<0.05). Fluorescence spots of four aflatoxins were observed under the 365 nm of UV light after extraction of the media and TLC. In the result of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by HPLC, the aflatoxins were produced in the order of $B_1, G_1, B_2$ and $G_2$ in all groups. Production of aflatoxins $B_1, B_2$ and $G_1$ was reduced by the addition of the extract and decreased as amount of the extract increased. The production of aflatoxins $B_1$ and $B_2$ significantly reduced when the media contained more than 1.0% of the extract, and $G_1$ more than 0.5%, respectively(p<0.05). No reductio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were observed in case of aflatoxin $G_2$. With the above result, the extract of Aloe vera reduced the production of aflatoxin by A. parasiticus though it did not inhibit mycelial growth.

  • PDF

-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 및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채소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on the Growth and the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R-716)

  • 정덕화;김찬조
    • 환경위생공학
    • /
    • 제1권1호
    • /
    • pp.109-117
    • /
    • 1986
  • 15종의 채소를 Chloroform으로 추출물을 조제하여 공시균(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 및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마늘, 생강, 무우 및 양배추의 순으로 공시균의생육을 저해하였으나, 가지, 상치 등은 오히려 생육을 촉진하였다. 또한 균체생성시 공시균의 aftlatoxin기 생성은 무우, 생강, 쑥갓, 양배추의 순으로 저해하였으나, 우엉, 고추는 오히려 증가시켰다. 특히 무우는 균체 g당 aflatoxin 함량을 감소시켜 가장 효과적인 채소로 나타났으며, 고체배지에서도 무우 30g에 해당되는 추출물의 첨가로 약 $80\%$의 aflatoxin생성이 저해되어 쌀, 보리배지에서 각각 484 및 $191{\mu}g$의 aflatoxin만이 생성되었다.

  • PDF

한국산 마늘에 의한 Aspergillus parasiticus의 성장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Garlic on the Growth of Aspergillus parasiticus)

  • 박정영;김종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5-99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effect of garlic produced in Korea on the inhibition/reduction of growth of A. parasiticus, a toxigenic strain. The effect was studied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reeze-dried garlic in potato-dextrose agar (PDA) and/or in yeast-extract sucrose (YES) broth at $25^{\circ}C$ for 15 days. While inhibition of the fungal growth due to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garlic was observed, the more remarkable effect was observed on the ninth day. Reduction of fungal diameter as a result of addition of garlic on PDA was observed to range between 3.4% to 20.1 % while reduction of mycelial weight in YES broth ranged from 9.9% to 30.5%. The 0.5% and 1.0% concentrations of garlic significantly reduced fungal diameter in PDA on the 9th day, while 0.1 %, 0.5%, and 1.0% concentrations of garlic significantly reduced the mycelial weight in YES broth (p<0.05). Dose-response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garlic and inhibition of growth both in solid culture and in liquid culture. This study indicates that garlic could be an effective inhibitor at a human consumption level of the growth of A. parasiticus. More research is needed to study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main active component of garlic.

생약추출물이 Aspergillus parasiticus Aflatoxin $B_1$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Herbal Extracts on Aflatoxin $B_1$ Production from Aspergillus parasiticus)

  • 정상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85-391
    • /
    • 2003
  • 본 연구에서 8종의 생약 추출물이 A. parasiticus의 배양시 aflatoxin $B_1$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지의 pH는 배양 3일 후에 모든 생약 추출물이 pH 4 이하를 나타냈으며 구기자, 오매, 계피, 두충은 배양 6일에 다시 pH 4 이상으로 상승하였고 이중 대추가 배양 기간 중 가장 낮은 pH를 나타냈다. 균체 생성량은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갈근, 두충, 오미자, 대추, 오매,구기자, 목과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갈근이 최대 생성량을 나타냈으며 목과가 가장 낮은 생성량을 나타냈다. Aflatoxin $B_1$은 갈근과 대추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생성이 억제되었다. 특히 계피, 오매, 두충 구기자, 오미자 추출물 에서 aflatoxin $B_1$ 생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계피가 가장 큰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균체량이 많이 생성되면 aflatoxin $B_1$ 생성이 적어지고 균체량이 적게 생성되면 aflatoxin $B_1$의 생성이 많아졌다.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해 aflatoxin $B_1$을 가장 적게 생성하는 계피와 가장 많이 생성하는 갈근 추출물의 총단백질 생성량은 계피는 3일째 (34.5%), 갈근 ext ract는 4일째 (36.4%) 총단백질의 함량이 최대가 되어 균체 내의 총단백질의 함량은 계피와 갈근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군이 게조군의 총단백질 함량 (32.7%)보다 약간 많았으며 aflatoxin $B_1$ 생성 및 축적이 최대가 되는 시기는 총단백질량이 최대가 되는 시기보다 대체로 1일 정도 늦게 나타났다.

한약재가 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iental Herbs on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tus R-176)

  • 구성회;이용욱;정덕화;전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97
    • /
    • 1988
  • 한의원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몇 종의 한약재를 구입하여 이들을 chloroform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조제한 다음 공시균(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목단 추출물 첨가군에서 가장 현저하게 공시균의 생육이 저해되었고 그 외의 첨가 군에서도 강황, 봉출, 향부자, 백작양, 백출의 순으로 저해되었다. 2. Aflatoxin 생성은 백출과 강황 추출물 첨가군에서만 저해되었고, 나머지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증가되거나 효과가 적었다. 3. 백출 추출물 0.2$m\ell$ 첨가 시 3일째부터 균체 생성을 시작하여 9일째에 0.953/30ml이었고 aflatoxin 함량은 792${\mu}\ell$으로서 대조군에 비해 약 50%가 감소되었다. 균체 g당 aflatoxin 함량은 992${\mu}\ell$으로서 대조군의 1,467${\mu}\ell$에 비해 역시 크게 감소되었으며 NADPH oxidase 활성은 대조군 보다 높아 백출추출물이 공시균의 생성과 aflatoxin 생성에 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spergillus parasiticus의 Aflatoxin 생성과 돌연변이 유발능에 미치는 인삼 Saponin의 영향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Aflatoxin Production and the Mutagenicity in Aspergillus parasiticus)

  • 백형석;구재관;전홍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3-147
    • /
    • 1988
  •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aflatoxin(AF)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2999 and the mutagenicity of produced aflatoxin. The production of aflatoxin were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ginseng saponin and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was 0.05%. The ratio of aflatoxin $B_{1}$ and aflatoxin $G_{1}$ were not changed by the addition of ginseng saponin. For the nutagenicity test, Ames method were adopted. Mutagenicity of mycelial aflatoxin was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ginseng saponin on TA98, but not changed on TA100. Mutagenicity of excreted aflatoxin to broth was slightly increased by the saponin on TA98, but decreased on TA100.

  • PDF

생장소가 제한된 배지에서 인삼제품 첨가가 Aspergillus parasiticus 의 발육 및 Aflatoxin 생산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Synthesis of Aflatoxin by Aspergillus parasiticus in the Presence of Ginseng Products with Reduced Minor Elements)

  • Bahk, Jae Rim;Lee, Jong Ku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9-86
    • /
    • 1984
  • 生長素를 制限한 培地에서 人蔘製品이 Aflatoxin 생산 菌株인 Aspergillus parasitius의 발육과 독소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본실험을 실시하였다. 공여된 균주는 미국 Wisconsin대학교 식품과학과 미생물 연구실에서 분주되었으며 독소생산에 최적인 30${\circ}C$에 7일간 배양하였다. 生長素의 減量과 인삼제품의 添加는 Aflatoxin의 생산능력을 저하시켰으나 발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flatoxin $B_2$의 생산은 0.1%의 인삼 extract 첨가배지에서 그리고 Aflatoxin $G_1$은 3%의 인삼차 첨가배지에서 최고로 나타났으며, 0.5%의 인삼 extract 첨가배지에서는 Aflatoxin $B_1$$G_1$공히 최저로 나타났다. 균주의 포자형성은 인삼차 첨가배지에서 對照群과 인삼 extract 첨가배지 보다 2일 지연되어 나타났다.

  • PDF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한 보리의 Aflatoxin 생성(生成)과 감마선(線)의 영향(影響) (Producibility of Aflatoxin by Aspergillus parasiticus in Barley and Their Radiosensitivity)

  • 장학길;P. 마카키스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6
    • /
    • 1981
  •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에 의한 보리의 aflatoxin생성(生成)에 미치는 코발트-60감마선(線)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감마선(線)은 평형수분(平衡水分)된 후(後)(접종(接種) 3일후(日後)), 그리고 10일(日)동안 배양후(培養後) 0, 50, 100, 200 및 400krad로서 조사(照射)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분함량(水分含量)이 17%에서 25%로 증가(增加)함으로써 aflatoxin의 생성량(生成量)이 현저(顯著)하게 증가(增加)하였으며, 특히 무조사구(無照射區)에서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2. 배양기간(培養期間)을 3일(日)에서 13일(日)로 연장(延長)하여 조사(照射)함으로써 aflatoxin의 생성(生成)이 더욱 증가(增加)하였다. 3. 접종(接種) 13일후(日後) 200krad로 조사(照射)하여 $25^{\circ}C$에서 배양(培養)된 25%수분함량(水分含量)(RH:100%)에서는 50 또는 100krad로 조사(照射)된 것보다 aflatoxin의 생성(生成)이 증가(增加)하였다. 4. Aflatoxin의 종류별(種類別) 축적비율(蓄積比率)은 aflatoxin G가 B보다 현저(顯著)하게 대량(大量)으로 축적(蓄積)되었다.

  • PDF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依)한 보리의 아플라톡신 생성(生成)에 대(對)한 온도(溫度)의 영향(影響) (Effect of Temperature on Aflatoxin Production in Barley by Aspergillus parasiticus)

  • 장학길;피마카키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2-167
    • /
    • 1982
  •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에 의(依)한 보리의 aflatoxin생성(生成)에 대(對)한 온도(溫度)와 수분(水分)의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다. Aflatoxin생성(生成)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5 및 $30^{\circ}C$였다. 수분함량(水分含量)이 13%일 때는 aflatoxin 검출(檢出)되지 않았고, 수분함량(水分含量) 16%에서는 적은 양(量)이 생성(生成)되었다. Aflatoxin B와 G의 생성비율(生成比率)은 온도(溫度)와 수분함량(水分含量)에 따라 차이(差異)를 보였다. 즉 Aflatoxin G는 B보다 초기(初期)에 생성(生成)이 촉진(促進)되었으나 퇴화(退化)도 빨랐다. 또한 G는 낮은 온도(溫度)에서 생성(生成)이 많았다. Chloroforu유출물(抽出物)의 황색정도(黃色程度)와 aflatoxin함량(含量)과는 정(正)의 상관(相關)$(=0.966^{**})$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