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nutrition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4초

혐기조건하 젖산균에서 알루미늄의 축적 (Accumulation of Aluminum to Lactic Acid Bacteria under Anaerobic Conditions)

  • 박성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00-605
    • /
    • 1998
  •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 to evaluate the aluminum absorption effect on lactic acid bacteria(Lactobacillus acidophilus ATTC 4356, Lactogacillus bulgaricus ATTC 11842, Lactobacillus casei IFO 3533,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KCTC 2185 ; LAB) and Clostridium perfringens ATCC 3627 (CP) in artificial intestinal tract. Their growth rate, aluminum accumulation and cellular distribution was studied under anaerobic broth system. All of above microbes were inhibited by adding 10 to 100ppm of aluminum. The degree of aluminum in LAB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56, Lactobacillus bulgaricus ATCC 11842, Lactobacillus casei IFO 3533,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KCTC 2185) was higher than of CP. The largest amount of aluminum was accumulated in Lactobacillus bulgaricus ATCC 11842. Aluminum accumulation in LAB was distributed in 49.1% at cell wall, 27.3% at plasma membrane, and 23.6% at cytoplasm, respect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LAB might help to eliminate the ingested aluminum in intestinal tract.

  • PDF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항균활성 분석 (Analysis of Antioxidative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 Extracts)

  • 김정효;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9-116
    • /
    • 201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Total phenol contents of Omija extracted with ethanol and water were $53.4{\pm}2.2tannic\;acid\;equivalent/mg$, and $47.9{\pm}2.1tannic\;acid\; equivalent/m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of Omija extracted with ethanol and water were $16.3{\pm}1.1naringin\;equivalent/mg$, and $13.1{\pm}1.4naringin\;equivalent/mg$, respectively.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1,000{\mu}g/mL$) of Omija was $5.1{\pm}0.4%$. This result was lower than the antioxidant vitamin (ascorbic acid: $96.4{\pm}0.6%$) and artificial antioxidant BHT ($70.0{\pm}0.5%$).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Omija were lower than ascorbic acid and BHT. SOD-like activities of Omija extracts, natural antioxidant, and artificial antioxidant at 5 mg/mL were in the other of ascorbic acid ($99.0{\pm}0.5%$) > BHT ($72.6{\pm}0.5%$) > ethanol extract ($16.3{\pm}0.4%$) > water extract ($14.4{\pm}0.3%$). The order of O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Omija extracts and natural antioxidant at 5 mg/mL was ascorbic acid ($98.9{\pm}0.6%$) > tocopherol ($85.4{\pm}0.6%$) > water extract ($59.1{\pm}0.5%$) > ethanol extract ($33.1{\pm}0.3%$). The results show that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Omija could not be detected at both concentrations and extraction methods.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당 유자 시럽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조사 (Production Process and Phys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ow-sugar Yuzu Syrup)

  • 박윤하;이보배;임애은;조정용;남승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67-79
    • /
    • 2024
  • Yuzu (Citrus junos) undergoes traditional processing to create preserved yuzu with a sugar content of 50%. This study aimed to produce low-sugar yuzu syrup using artificial or natural sweeteners instead of sugar. Among artificial sweeteners, maltitol showed minimal browning and lack of deposition at high temperatures. The addition of xanthan gum (0.2%) and carboxymethyl cellulose (0.2%) resolved the issue of layer separation and viscosity decrease of yuzu syrup. Alternatively, grain syrup, a natural sweetener, improved viscosity and homogeneity without the additives. Yuzu syrups were developed using yuzu juice and preserved yuzu, with maltitol (20~40%) or grain syrup (50~70%) as the sweetener. Yuzu syrups containing 35% maltitol (M35) or 55% grain syrup (G55) had less than 5% and 10% free sugar, respectively. These syrups exhibited taste patterns similar to commercial yuzu syrup in analysis using an electronic tongue. Furthermore, M35 and G55 contained yuzu flavonoids at concentrations of 19.82 mg/g and 24.09 mg/g,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of M35 and G55 was equivalent to 10.55, 17.59 mg/100 g of Vitamin C and 97.39, 33.92 mg/100 g of Vitamin C, respectively. Consequently, M35 and G55 offer promising alternatives to preserved yuzu, providing low-sugar yuzu syrups enrich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인공 사육 동물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n-3 지방산 결핍이 쥐의 뇌, 망막,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3 Fatty Acid Deficiency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ain, Retina and Liver Using a Novel Artificial Rearing System)

  • 임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66-47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인공 사육 모델 시스템과 인공 쥐용 분유를 이용하여 출생 직후 12시간 이내에 엄마 쥐들로부터 신생 쥐를 분리하여 n-3 지방산 결핍분유와 n-3 지방산 적절분유로 3주 동안 사육한 후(이유기) 각각 장기들을 취하고 또한 성숙 쥐(15 wks)의 뇌, 망막, 간을 취하여 뇌 성장 발달 과정 동안 n-3지방산 결핍이 이들 장기들의 지방산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유기와 성숙기 쥐의 뇌 지방산 조성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n-3지방산 결핍군의 경우 n-6지방산의 함량은 높았으나 (p<0.05),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과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낮았고(p<0.05), 총 saturated 지방산의 경우는 변화가 없었다. 기대했듯이 뇌 DHA의 경우 n-3 지방산 결핍군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이유기 때 $50\%$, 성숙기에는 $70\%$까지 감소하였고 반면 n-6 계열인 DPAn-6의 함량은 상당히 증가하였음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이유기의 망막의 총 saturated 지방산과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에는 식이군 사이에 변화가 없었고 22:4n-6, DPA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p<0.05). 성숙 쥐 망막의 지방산조성의 경우 20:4n-6, 22:4n-6, 22:5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다(p<0.05). 특히 n-3 결핍군의 망막 DHA는 이유기 때 $57\%$ 감소에서 성숙기에 $63\%$까지 감소하였다. (p<0.05). 간의 경우, 이유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DHA는 $65\%$ 감소한 반면 간의 DPAn-6는 $59\%$ 증가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이유기의 간 지방산 조성과는 대조적으로 성숙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18:2n-6, 20:3n-6, 20:4n-6와 22:4n-6 지방산 함량이 현저히 감소된 것과는 달리 DPAn-6의 함량이 n-3 지방산 적절군보다 $143\%$까지 증가되었음 관찰할 수 가 있었다(p<0.05). 이상의 장기들의 n-3지방산 결핍군은 이유기와 성숙기에서 DPAn-6/DHA비와 n-6/n-3비 또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컸으나(p<0.05) DPAn-6와 DHA의 합에는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뇌 성숙 발달 과정동안 n-3 지방산 결핍은 뇌의 DHA의 결핍을 초래하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DPAn-6의 증가를 유발하였으며 이러한 지방산 조성의 변화와 공간과 후각에 기초를 하는 기억 학습 능력 저하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사과의 접합자배 encapsulation에 의한 인공종자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Seeds by Encapsulation Zygotic Embryo of Apple (Malus pumila var. domestica))

  • 최필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63
    • /
    • 2021
  • 2% 알진산으로 캡슐화하여 만든 사과 인공종자의 발아 연구를 위하여 자엽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 영양분과 지베렐린을 단독 또는 조합처리한 알진산으로 캡슐화하여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3/4자엽 배(3/4 CE), 1/2자엽 배(1/2 CE), 1/4자엽 배(1/4 CE), 그리고 자엽을 완전히 제거한 배(NCE)로 만든 인공종자는 정상배로 만든 인공종자의 발아율 82.31%에 비하여 최대 24.44%까지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한 발아율은 MS영양분과 지베렐린 처리에 의해 상당히 회복되었다. 특히, 알진산 단독에서 1/2 자엽을 갖는 인공종자의 낮아진 발아율(55.81%)은 3% sucrose와 80 mg/L 지베렐린 조합처리에 의해 98.74%까지 증가하였다. 자엽이 없는 인공종자의 경우 낮아진 발아율(24.44%)은 MS용액과 80 mg/L 지베렐린 조합처리에서 82.45%까지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의 발아율이 자엽의 부분적 제거에 의해 억제되었고, 그 감소된 발아율은 영양분과 지베렐린 처리에 의해 상당히 회복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알콜성음료 섭취에 따른 인공감미료 섭취량 평가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Artificial Sweeteners from Non-alcoholic Beverag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김성단;문현경;이집호;장민수;신영;정선옥;윤은선;조한빈;김정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304-1316
    • /
    • 2014
  • 본 연구는 음료 651건 및 액상차 87건의 인공감미료 실측치(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와 제4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중 영양조사의 섭취량을 이용하여 단위 체중당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1~19세의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알콜성음료를 통한 인공감미료의 추정식이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을 산출하여 평가하였다. 비알콜성음료의 섭취량은 어린이 및 청소년 6,082명 전체의 비알콜성음료의 평균소비자(average consumer)와 극단소비자(extreme consumer)의 섭취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 95 percentile 및 분포를 적용한 경우(시나리오 I)와 비알콜성음료를 섭취한 어린이와 청소년 1,074명의 섭취량 평균, 95 percentile 및 분포를 적용한 경우(시나리오 II)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음료에 함유된 인공감미료의 건강 위해성 평가는 추정식이섭취량과 FAO/WHO에서 설정한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인 아스파탐 40 mg/kg bw/day, 아세설팜칼륨 15 mg/kg bw/day, 수크랄로스 15 mg/kg bw/day 값을 비교하여 %ADI로 평가를 하였다. 인공감미료의 인체노출량 계산에 필요한 몸무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때 위해도 평가방법은 평균과 95th percentile을 이용하는 단일값평가와 각 변수의 확률밀도함수(probabilistic density functions, PDFs)를 이용한 Monte Carlo simulation을 실시하여 확률평가를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인공감미료는 아스파탐, 아세설탐칼륨, 수크랄로스가 평균 $3.21{\pm}28.36mg/kg$(ND~342.00 mg/kg, 검출률 1.4%), $1.94{\pm}12.55mg/kg$(ND~160.00 mg/kg, 검출률 4.5%), $6.18{\pm}23.27mg/kg$(ND~290.00 mg/kg, 검출률 10.8%)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비알콜성음료에 함유된 인공감미료 중 아스파탐은 Min Extreme 분포, 아세설팜칼륨은 Logistic 분포, 수크랄로스는 Student's t 분포를 나타냈다.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은 어린이와 청소년 전체를 대상으로 한 시나리오 I에서는 대부분 Logistic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특히 소비자 집단만을 고려한 시나리오 II 경우에는 왼쪽으로 기울어진 Max Extreme 분포가 되었다. 체중은 시나리오 I이 Logistic 분포, 시나리오 II는 Beta 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나리오 I에서 확률평가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평균 추정식이섭취량은 각각 0.09, 0.01, 0.04 mg/kg bw/day였으며, 95th percentile 추정식이섭취량은 각각 0.30, 0.02, 0.13 mg/kg bw/day였다. 확률평가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평균 %ADI는 각각 0.22, 0.04, 0.24이었고, 확률평가한 95th percentile %ADI는 각각 0.75, 0.13, 0.83으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시나리오 II에서 확률평가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평균 추정식이섭취량은 각각 0.52, 0.03, 0.22 mg/kg bw/day였으며, 95th percentile 추정식이섭취량은 각각 1.80, 0.12, 0.75 mg/kg bw/day였다. 확률평가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평균 %ADI는 각각 1.32, 0.22, 1.44였고, 확률평가한 95th percentile %ADI는 4.52, 0.80, 5.06으로 나타났다. 즉 비알콜성음료 섭취를 통한 인공감미료 중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노출수준은 일일섭취허용량(ADI)을 초과하는 인구집단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나리오 I II에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평균 및 95th percentile %ADI는 모두 5.06이내로 낮은 수준이었다. 한편 섭취자군 중 인공감미료에서 검출률이 가장 높았던 수크랄로스의 경우 %ADI가 10 이상일 확률이 2.2%였다.

Turn signal lamp jacket to prevent accident of bicycles

  • Saxena, Tarika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7
    • /
    • 2016
  • These days, citizens have made change of food life to take Western style food and to suffer from diabetes because of excessive nutrition taking, less exercise, stres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ey may suffer from diabetes because of genetic defect, surgery of pancreas, disinfection and medicine and others. One of ten Koreans may have symptom of diabetes to be popular. The diabetes that is a kind of metabolic disease has high blood sugar at disorder of hyper insulinism and/or defect of insulin action. Long time high blood sugar may produce chronic disease of kidney, eyes, nerve, heart and blood vessel and others. The purpose of health care of diabetes patient was to reach target blood sugar by diet, physical exercise and medicine and to prevent and delay complication. Diabetes patient shall control blood sugar to keep healthy. The blood sugar control requires time and effort, and all of the patients are difficult to make effort and to spend time. You can control blood sugar by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allows patients to control blood sugar and to save time and efforts and to make small sized input and automation of remaining area. The service was limited to blood sugar graph, and user carries smart phone to conduct test and to have difficulty. Further study needs to solve the problems and to investigate blood sugar testing not carrying smart phone and to make application of easy control of blood sugar.

Blue-tooth based blood sugar control application

  • Kelly, Raymond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6
    • /
    • 2015
  • These days, citizens have made change of food life to take Western style food and to suffer from diabetes because of excessive nutrition taking, less exercise, stres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ey may suffer from diabetes because of genetic defect, surgery of pancreas, disinfection and medicine and others. One of ten Koreans may have symptom of diabetes to be popular. The diabetes that is a kind of metabolic disease has high blood sugar at disorder of hyper insulinism and/or defect of insulin action. Long time high blood sugar may produce chronic disease of kidney, eyes, nerve, heart and blood vessel and others. The purpose of health care of diabetes patient was to reach target blood sugar by diet, physical exercise and medicine and to prevent and delay complication. Diabetes patient shall control blood sugar to keep healthy. The blood sugar control requires time and effort, and all of the patients are difficult to make effort and to spend time. You can control blood sugar by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allows patients to control blood sugar and to save time and efforts and to make small sized input and automation of remaining area. The service was limited to blood sugar graph, and user carries smart phone to conduct test and to have difficulty. Further study needs to solve the problems and to investigate blood sugar testing not carrying smart phone and to make application of easy control of blood sugar.

Identifying, Measuring, and Ranking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or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Targeting Informal Settlement Residents

  • Farhad Nosrati Nejad;Mohammad Reza Ghamari;Seyed Hossein Mohaqeqi Kamal;Seyed Saeed Tabatabae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4호
    • /
    • pp.327-337
    • /
    • 2023
  • Objectiv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SDHs) in promoting the health of residents of informal settlements and their diversity, abundance, and breadth,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easure, and rank SDHs for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targeting informal settlement residents in a metropolitan area in Iran. Methods: Using a hybrid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3 phases from 2019 to 2020. SDHs were identified by reviewing studies and using the Delphi method. To examine the SDHs among informal settlement resident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searcher-made questionnaires. Multilayer perceptron analysi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was used to rank the SDHs by priority. Results: Of the 96 determinants identified in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43 were examined, and 15 were identified as high-priority SDHs for use in health-promotion interventions for informal settlement residents in the study area. They included individual health literacy, nutrition, occupational factors, housing-related factors, and access to public resources. Conclusions: Since identifying and addressing SDHs could improve health justice and mitigate the poor health status of settlement residents, ranking these determinants by priori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enable policymakers to improve the health of settlement residents through interventions targeting the most important SDHs.

대체감미료를 첨가한 오트밀쿠키의 품질 특성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lycemic Index of Oatmeal Cookies Made with Artificial Sweeteners)

  • 방선권;손은정;김효진;박선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77-884
    • /
    • 2013
  • 본 연구는 인공감미료인 수크랄로스와 스테비오사이드를 사용하여 쿠키를 만들 때 최적 배합비를 제시하고 품질 특성을 규명하며 제시된 최적의 배합비로 제조된 쿠키의 혈당 강하 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설탕 100%의 쿠키를 대조군으로 하고 실험군 쿠키는 설탕의 비율을 20%, 30%, 40%로 첨가하고 설탕 부족은 수크랄로스와 스테비오스와 한천으로 맞추어 쿠키를 만들어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쿠키 반죽의 밀도와 산도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쿠키의 설탕 첨가량에 따라 굽기 손실량은 수분 손실량으로 인한 것으로 설탕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손실량도 함께 증가하였다.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설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설탕량이 많을수록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두께는 증가하였다. 쿠키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는 설탕을 30% 첨가한 쿠키의 명도가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100% 설탕 쿠키의 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경도에서는 설탕의 함량이 증가하고 한천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서 positive peak forces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 평가 결과는 외관에서는 30% 설탕 첨가 쿠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향, 맛, 질감에서는 40% 설탕 첨가 쿠키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여주었다. 전체적인 선호도 항목에서는 30% 설탕 첨가 쿠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설탕 대체 감미료와 한천을 첨가한 30~40% 설탕 쿠키가 외관, 향, 맛, 조직감, 선호도에서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실험 결과를 종합해서 볼 때 대체 감미료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은 설탕을 30% 정도 함유한 쿠키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에 따라 30%의 설탕 첨가 쿠키와 대조군을 50 g 탄수화물로 환산하여 대학생들이 섭취한 후에 0, 1, 2시간 후에 혈당 실험을 실행하였을 때 100% 설탕 쿠키를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한 결과 쿠키 섭취 후 1시간이 경과 후 대조군은 27.8 mg/dL, 실험군은 15.7 mg/dL가 증가하였다. 2시간 경과 후에는 대조군의 혈당 수치가 1시간과 비교하였을 때 급격하게 감소하였지만 설탕 30% 쿠키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설탕을 30% 첨가한 쿠키가 품질도 높고 관능검사 시 선호도도 높으며, 열량도 낮고 혈당지수에도 좋은 영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