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7초

Transforming Patient Health Management: Insights from Explainable AI and Network Science Integration

  • Mi-Hwa S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1호
    • /
    • pp.307-313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the integration of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and network science in healthcare, focusing on enhancing healthcare data interpretation and improving diagnostic and treatment methods. Key methodologies like Graph Neural Networks, Community Detection, Overlapping Network Models, and Time-Series Network Analysis are examined in depth for their potential in patient health management. The research highlights the transformative role of XAI in making complex AI models transparent and interpretable, essential for accurate, data-driven decision-making in healthcare. Case studies demonstrat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se methodologies in predicting diseases, understanding drug interactions, and tracking patient health over time. The study concludes with the immense promise of these advancements in healthcare, despite existing challenges,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ongoing research to fully realize the potential of AI in this field.

Big Data Research on Severe Asthma

  • Sang Hyuk Kim;Youlim Ki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7권3호
    • /
    • pp.213-220
    • /
    • 2024
  • The continuously increasing prevalence of severe asthma has imposed an increasing burden worldwide. Despite the emergence of novel therapeutic agents, management of severe asthma remains challenging. Insights garnered from big data may be helpful in the effort to determine the complex nature of severe asthma. In the field of asthma research, a vast amount of big data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electronic health records, national claims data, and international cohorts, is now available. However, understanding of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is required for proper utilization of specific datasets. Use of big data, along with advance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could potentially facilitate the practice of precision medicine in management of severe asthma.

지능형 내용기반검색을 이용한 시각정보 자동추출 (Automatic Selection of Visual Information using Intelligent Content-Based Retrieva)

  • 송점동
    • 정보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69-81
    • /
    • 2001
  • 지능형 기본구조에 의존하는 내용기반 정보검색 시스템을 발전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진행중이다. 실세계에 존재하는 상황을 구축하고 유지하며, 동적 지식 표현을 실용화하고, 문맥을 이용하고, 그리고 진보된 추론과 학습능력을 이용하여 실세계에 존재하는 상황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능력을 지능이라고 간주하여 이 지능을 채택한 진보된 내용기반 정보검색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지능의 이러한 요소들은 인간의 지각과 인지에 정합하는 의미적 수준에서 시각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을 만들어내기 위해 필요로 하는 것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지능과 인지 심리학, 인공지능, 기호학의 분야에 존재하는 지능시스템의 구축에 관련한 연구들을 조사해 본 후, 기존의 내용기반 정보검색 시스템의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멀티미디어 지식 표현 모형인 MMNet을 알아보고, 이것을 이용하여 시각 정보를 자동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지능형 내용기반검색시스템 모형을 만들어 보았다.

  • PDF

R&D 기술 선정을 위한 시계열 특허 분석 기반 지능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An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electing Promising Technologies for R&D based on Time-series Patent Analysis)

  • 이충석;이석주;최병구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3호
    • /
    • pp.79-96
    • /
    • 2012
  • 기술의 발전과 융합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 유망기술을 어떻게 파악하여, 다양한 후보군들 중에서 최적의 R&D 대상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주요한 경영의사결정문제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R&D 기술 선정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지능형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크게 3가지 모듈로 구성되는데, 우선 첫 번째 모듈인 '기술가치 평가' 모듈에서는 기업이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의 특허들을 분석하여 유망기술 파악에 요구되는 다양한 차원의 기술가치 평가지수 값들을 산출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현재 시점에서의 각 기술의 가치가 다양한 차원에서 평가가 이루어지고 나면, 두 번째 모듈인 '미래기술가치 예측' 모듈에서 이들의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를 학습한 인공지능 모형을 토대로 각 후보기술들이 미래 시점에 어떤 가치지수값을 갖게 될 것인지 예측값을 산출하게 된다. 마지막 세 번째 모듈인 '최적 R&D 대상기술 선정 지원' 모듈에서는 앞서 두 번째 모듈에서 산출된 각 차원별 예상 가치지수값들을 적절히 가중합하여 기술의 종합적인 미래가치 예측값을 산출하여 의사결정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의사결정자가 자사에 적합한 최적의 R&D 대상기술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10년치 특허데이터에 인공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실제 기술가치 예측모형을 구축해 보고, 그 효과를 살펴본다.

초등 학습자를 위한 서포트 벡터 머신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about Support Vector Machine for Elementary Learners)

  • 황유리;박남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95-103
    • /
    • 2023
  • 본 논문은 초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포트 벡터 머신의 개념과 원리를 교육하는 인공지능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직과 평행, 평행선 사이의 거리를 통해 서포트 벡터 머신의 결정 경계와 마진을 설명한다. 또한 제주의 자연환경을 학습 주제로 반영하여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융합을 도모한다. 서포트 벡터 머신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3학년 및 5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각각 2차시에 걸쳐 적용한 결과, 두 학년 모두에서 학습자 대부분이 탐방로로 비유된 결정 경계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유추해냈다. 이때 5학년 학습자의 전반적인 활동 수행 정확도가 더욱 높았고, 설정 원리에 대해 합리적인 추론을 한 비율도 높았다. 4학년 수학 교육과정의 이수 여부도 이해도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학습 내용 이해도에 대한 자기평가에서는 실제 이해도와 상반되게 3학년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이는 중학년 학습자는 생소한 인공지능 원리에 대해 새로 알게 되었다는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는 경향성이 더 컸다는 점에서 기인하였다. 반면 고학년 학습자는 심화 탐구에 대한 동기를 기반으로 유의미한 수업 후 질문을 더 많이 제시하였다. 우리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공지능 융합 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TPACK과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서 인공지능 사용 의도 이해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ntion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thematics Lesson Using TPACK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손태권;구종서;안도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163-180
    • /
    • 2023
  • 본 연구는 AI를 수학 수업에 사용하려는 초등학교 교사의 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 수학 수업에서 AI가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선행되어야할 요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TPACK과 TAM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TPACK은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은 수학 수업에서 AI 활용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인지된 사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태도는 수학 수업에서의 AI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AI에 대한 TPACK 역량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수학 수업에서 AI를 사용하기가 더 쉽고 AI가 학생의 수학 학습 향상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도구로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수학 수업에서 AI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유용하다고 인식할수록 AI 사용 의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AI의 활용하려면 TPACK에 관한 지식 교육이 선행되어야하며, 수학 수업에서 AI 사용의 이점과 편리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생태학의 원리에 기초한 환경교육 방법의 모색 (Grop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 Ecological Principles)

  • 이창석;유영한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5권2호
    • /
    • pp.1-13
    • /
    • 2002
  • The progress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developed countries has been rapid in recent years. Particularly remarkable has been the advancement of various pollutant control measures, which have brought the pollution of inorganic factors such as air and water under control. In contrast, diversity of the ecosphere, of which man is a part, is being steadily impoverished and the biological community is getting unvaryingly uniform. These phenomena were brought about by the expansion of artificial environment such as new industrial complexes,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urban development. Man has constructed uniform and artificial environment, believing in the premise of confrontation with nature, to such a scale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biological community have lost their balance. This will increasingly endanger the soundness of the biotic environment of nature, which constitutes the potential foundation both for the survival environment of man as biological entity and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In order to guarantee the soundness of man's body, intelligence and sensitivity as wholesome gene pool on the earth and for the future of man, primarily important environmental education is the understanding of how man can everlasting exist in and with the survival environment. In view of this reality, it is vitally important to create ecologically diverse and well-balanced environment with living materials, i.e., vegetation in order to secure lasting survival environment for man. This task is urgently required in highly artificial environment where non-biological materials have forced the impoverishment of the biological community. Therefor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future should not be totally oriented to technology as that in the past nor it is limited to the medical aspect where well-being of human is the sole object of concern. That is to say,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future should be one that provides knowledge that human can understand his place based on the ecological concept and thereby make him to have ethical consciousness that he can control his behavior within the reasonable level for ecological niche who he is located.

  • PDF

생태학의 원리에 기초한 환경교육 방법의 모색 (Grop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 Ecological Principles)

  • 이창석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5권1호
    • /
    • pp.137-147
    • /
    • 2002
  • The progress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developed countries has been rapid in recent years. Particularly remarkable has been the advancement of various pollutant control measures, which have brought the pollution of inorganic factors such as air and water under control. In contrast, diversity of the ecosphere, of which man is a part, is being steadily Impoverished and the biological community is getting unvaryingly uniform. These phenomena were brought about by the expansion of artificial environment such as new industrial complexes,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urban development. Man has constructed uniform and artificial environment, believing in the premise of confrontation with nature, to such a scale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biological community have lost their balance. This will increasingly endanger the soundness of the biotic environment of nature, which constitutes the potential foundation both for the survival environment of man as biological entity and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In order to guarantee the soundness of man's body, intelligence and sensitivity as wholesome gene Pool on the earth and for the future of man, primarily important environmental education is the understanding of how man can everlasting exist in and with the survival environment. In view of this reality, it is vitally important to create ecologically diverse and well-balanced environment with living materials, i.e., vegetation in order to secure lasting survival environment for man. This task is urgently required in highly artificial environment where non-biological materials have forced the impoverishment of the biological community. Therefor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future should not be totally oriented to technology as that in the past nor it is limited to the medical aspect where well-being of human is the sole object of concern. That is to say,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future should be one that provides knowledge that human can understand his place based on the ecological concept and thereby make him to have ethical consciousness that he can control his behavior within the reasonable level for ecological niche who he is located.

  • PDF

비전공자 인문계열을 위한 인공지능(AI) 보편적 교육 설계 (Artificial Intelligence(AI) Fundamental Education Design for Non-major Humanities)

  • 백수진;신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285-293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활용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보편적 교육으로서의 AI 교육 설계 연구 및 역량 중심교육 커리큘럼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비전공자를 위한 역량 중심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보편적 AI 교육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인문계열 AI 기초교육 설계를 위해 3차에 걸쳐 전문가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도출된 설계 내용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주요역량은 데이터 리터러시, AI 이해 및 활용능력이었으며, 이를 토대로 도출된 주요 세부 영역으로는 데이터 구조 이해 및 가공, 시각화, 워드클라우드, 공공데이터 활용, 머신러닝 개념 이해 및 활용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육 설계 내용은 향후 역량 중심의 AI 보편적 교육의 필요성과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troducing SEABOT: Methodological Quests in Southeast Asian Studies

  • Keck, Stephen
    • 수완나부미
    • /
    • 제10권2호
    • /
    • pp.181-213
    • /
    • 2018
  • How to study Southeast Asia (SEA)? The need to explore and identify methodologies for studying SEA are inherent in its multifaceted subject matter. At a minimum, the region's rich cultural diversity inhibits both the articulation of decisive defining characteristics and the training of scholars who can write with confidence beyond their specialisms. Consequently, the challenges of understanding the region remain and a consensus regarding the most effective approaches to studying its history, identity and future seem quite unlikely. Furthermore, "Area Studies" more generally, has proved to be a less attractive frame of reference for burgeoning scholarly trends. This paper will propose a new tool to help address these challenges. Even though the sci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in its infancy, it has already yielded new approaches to many commercial, scientific and humanistic questions. At this point, AI has been used to produce news, generate better smart phones, deliver more entertainment choices, analyze earthquakes and write fiction. The time has come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AI can be put at the service of the study of SEA. The paper intends to lay out what would be required to develop SEABOT. This instrument might exist as a robot on the web which might be called upon to make the study of SEA both broader and more comprehensive. The discussion will explore the financial resources, ownership and timeline needed to make SEABOT go from an idea to a reality. SEABOT would draw up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to mine the region's "Big Data", while synthesizing the information to form new and useful perspectives on SEA. Overcoming significant language issues, applying multidisciplinary methods and drawing upon new yields of information should produce new questions and ways to conceptualize SEA. SEABOT could lead to findings which might not otherwise be achieved. SEABOT's work might well produce outcomes which could open up solutions to immediate regional problems, provide ASEAN planners with new resources and make it possible to eventually define and capitalize on SEA's "soft power". That is, new findings should provide the basis for ASEAN diplomats and policy-makers to develop new modalities of cultural diplomacy and improved governance. Last, SEABOT might also open up avenues to tell the SEA story in new distinctive ways. SEABOT is seen as a heuristic device to explore the results which this instrument might yield. More important the discussion will also raise the possibility that an AI-driven perspective on SEA may prove to be even more problematic than it is benefici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