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Cultivation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3초

폐쇄형 식물공장내 태양광 파이버를 이용한 상추 재배효과 (Effects of Lettuce Cultivation Using Optical Fiber in Closed Plant Factory)

  • 이상규;이재수;원진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5-109
    • /
    • 2020
  • 본 연구는 태양광 기반으로 인공광 병렬 광공급 시스템을 개발하고 상추 재배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태양광 기반으로 인공광원을 공급하는 장치는 광원 공급부, 전원공급부, 시스템 계측 및 제어부로 구성하였다. 광원공급부는 태양광 전송장치(광파이버)와 LED 램프(인공광)로 구성하였고, 태양광 전송장치는 광 전송률이 우수한 석영재질의 광섬유(Optical fiber)로 제작되었으며, 인공광은 LED 중 White 램프를 사용하였다. 전원 공급부는 누전 차단기, SMPS, LED 제어기 및 릴레이로 구성하였다. 시스템계측 및 제어부는 터치스크린과 지그비(ZigBee) 통신모듈, 광량센서로 구성하였다. 구성한 장치의 성능시험 결과 광량센서로 측정된 강도가 200μmol·m-2·s-1 이하가 되면 자동적으로 LED 램프가 작동되어 보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장치를 활용하여 상추를 재배한 결과, 엽장, 뿌리길이, 엽록소 함량 및 지하부 생체중이 LED 처리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본 장치는 화석연료 고갈 등으로 전기 사용에 제한이 올때 폐쇄형 식물공장 같은 시설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야생(野生) 식용(食用)버섯의 인공재배(人工栽培) 검토(檢討) (Investigation on Artificial Culture for New Edible Wild Mushrooms)

  • 박용환;김양섭;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30
    • /
    • 1978
  • 새로운 야생식용(野生食用)버섯의 인공재배(人工載培)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고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 배지(培地) 종류별(種類別) 균멱생장(菌生長)은CSA 배지(培地)에서 Coprinus comatus 양호(良好)하였으나 Pleurotus cornucopiae, Auricularia auricula-judae 및 collybia sp는 불량(不良)하였다. 2. Malt extract의 첨가량(添加量)은 5g까지 증가(增加)시켰을 때 Lepista nuda와 Auricularia auricula-judae는 균멱생장(菌生長) 양호(良好)하였으나 Pholiota squarrosa는 불량(不良)하였다. 3. 균주별(菌株別) 온도(溫度)에 따른 균멱생장(菌生長)에 있어서 Lepiota procera $20{\sim}30^{\circ}C$, Pholiota squarrosa는 $20{\sim}25^{\circ}C$에서 양호(良好)하였다. 그 외 다른 균주(菌株)는 25^{\circ}C$에서 균먹(菌)가 양호(良好)했다. 4. 종균조시(種菌造時) Pholiota squarrosa는 참나무톱밥, Pleurotus cornucopiae는 활엽수토밥, Coprinus comatus는 양송이퇴비(堆肥)에서 균멱생장(菌生長)이 양호(良好)하였다. 5. 배지재두별(培地材枓別) 버섯발생(發生)은 볏짚배지(培地)에서 Coprinus comatus, Lepiota, alborubescens, 활엽수톱밥에서는 Auricularia auricula-judae, Pleurotus cornucopiae, 그리고 참나무톱밥에서 Pholiota squarrosa의 자실체(子實體)가 발생(發生)되어 인공재배(人工栽培)가 가능(可能)하였다.

  • PDF

자작나무시루뻔버섯(차가버섯)을 접종한 자작나무로부터 버섯의 생장 (Growth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on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 가강현;전성민;박현;이봉훈;유성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41-245
    • /
    • 2017
  • 자작나무시루뻔버섯(차가버섯)은 살아있는 나무에서만 자라는 귀중한 약용버섯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공재배가 아닌 자연 채취에 의존하고 있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을 인공적으로 재배하기 위해 2007년에 자작나무시루뻔버섯 톱밥종균을 자작나무에 접종하였으며, 그 후 균을 접종했던 자작나무에서의 버섯 생장을 9년간 조사하였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은 연간 1 cm 미만으로 생장하였고, 9년간 가장 크게 자란 버섯 개체의 경우에는 9 cm까지 생장하였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균이 생존한 것과 생존하지 않은 것의 나무 생장(diameter at breast height, DBH)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의 인공재배는 성공적이었으며, 버섯 생산성을 고려할 때 자작나무시루뻔버섯균을 접종할 기주는 가능한 한 큰 자작나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의 접종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개선 방법 또한 필요하다.

동충하초 재배상 내 기형균 및 오염균의 발생현황 및 특성 (Occurrence and Characteristics of other Fungi in the Artificial Cultivation Farms of Paecilomyces tenuipes)

  • 남성희;윤철식;정이연;지상덕;조세연;한명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2-36
    • /
    • 2002
  • 7개도 22개 재배농가로 부터 수집한 시료는 총 529점이었으며, 수집균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생육장애에 의한 기형균은 23.2%, 오염균은 50.9%였다. 생육장애는 C-1, C-2, C-3 및 C-4의 4가지 유형이 있으며 이들 분생자병속은 20∼70 개가 발생되는데 회색, 순백색 또는 등황색을 떤다. 분생자병속 말단은 분지하지 않고 솜털형태로 뭉치거나, 발생 도중 쉽게 시들어 버린다. 분리된 오염균은 5종으로 Beauveria bassiana, Fusarium sp., Pacilomyces fumosoroseuse, Tricothecium roseum, Aspergiilus parasiticus이며, 이들은 분생자병속을 형성하지 않고 기주 표피에 각각 고유색상을 띠며 PDA 배지상에서 균사생장량은 14일간 43∼75 m 범위로 눈꽃동충하초균보다 빠른 생장을 보인다.

Phellinus gilvus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 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gilvus)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0
    • /
    • 2000
  • 마른진흙버섯(Phellinus gilvs)은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본초도감에서는 비장강화, 위장활성 등의 약효가 있다고 한다. 온도별 배양결과 $30^{\circ}C$에서 69 mm/14일(PDA배지) $25^{\circ}C$에서는 42 mm/14일(PDA배지)로 나타났으며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와 MCM 배지에서 38 mm/14일, 34 mm/14일로 각각 나타났으며 $pH\;6{\sim}7$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참나무추출물배지에서는 24 mm/14일 정도였으나 소나무추출물배지에서는 2.7 mm/14일 정도로 참나무추출물배지에 비해서 매우 느렸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5:5)과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미강(4.5:4.5:1) 등에서 균사생장이 좋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20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100%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90일 정도였다. 자실체 수량은 참나무원목에서 180 g, 소나무원목에서 29 g, 사과나무에서는 150 g 정도로 나타났으며 생체수율은 각각 24%, 9%, 15% 정도였다.

  • PDF

Phellinus pini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pini)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5
    • /
    • 2000
  • Phellinus pini는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진흙버섯속 버섯 중에서 항암저지율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다(중국본초도감). 온도별 배양결과 $25^{\circ}C$에서 34 mm/14일(PDA배지)로 생육이 가장 좋았고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에서 30mm/10일, MCM 배지에서 28mm/10일로 나타났으며 pH $5{\sim}6$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 +미강(4.5:4.5:1)과 참나무톱밥+소나무톱밥+미강(4.5:4.5:1)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빨랐고 균사밀도는 참나무톱밥+미강(9:1)과 소나무톱밥+미강(9:1) 배지가 가장 높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4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26%정도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110일 정도로 나타났다.

  • PDF

다층 재배선반을 갖는 하이브리드 식물공장의 열유동 특성 (Thermal Flow Characteristics of a Hybrid Plant Factory with Multi-layer Cultivation Shelves)

  • 윤지환;유봉조;김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990-8000
    • /
    • 2015
  • 식물공장은 환경적 조건을 조절하여 계절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농산물을 일정하게 생산하는 식물재배 시스템이다. 식물공장에 있어서 내부의 열 유동은 식물공장의 중요한 변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층 재배선반을 갖는 하이브리드 식물공장 내의 열유동 특성을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하였다. 열 유동 특성의 수치해를 얻기 위해 유한체적법(Finite Volume Method)을 이용하였다. 수치해석 모델에 있어서는 저 레이놀드수(low Reynolds number) ${\kappa}-{\epsilon}$ 난류모델을 이용하였으며, 해석방법으로는 비압축성 점성유동 영역과 압력경계 조건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에 있어, 3종류의 유입 공기속도와 재배선반의 위치변화에 따른 식물공장 내의 열유동 특성을 상용 프로그램인 Solid Works Flow simulation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송풍기를 통한 식물공장 내의 유입 공기속도를 1.6 m/s로 하였을 때, Case 3의 재배선반 배치가 비교적 균일한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고, LED광만을 사용한 Case 1의 배치는 시험베드(test bed) TB2와 TB3 영역의 낮은 온도분포로 인하여 서큘레이터 등을 통한 추가적인 온도 제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식물재배 LED 인공광(DYLED47)의 청색광과 적색광의 비율을 1:1로 100% 구동 시, 재배선반의 평균 온도가 약 $3^{\circ}C$ 증가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심사용 투고요령입니다.

Exploration of Mycobiota in Cypripedium japonicum, an Endangered Species

  • Cho, Gyeongjun;Gang, Geun-Hye;Jung, Hee-Young;Kwak, Youn-Sig
    • Mycobiology
    • /
    • 제50권2호
    • /
    • pp.142-149
    • /
    • 2022
  • Orchids live with mycorrhizal fungi in mutualism. This symbiotic relationship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overall life cycle of orchids from germination, growth, settlement, and reproduction. Among the 1000 species of the orchid, the Korean lady's slipper, Cypripedium japonicum, is known as an endangered species. Currently, only five natural habitats of the Korean lady's slipper remain in South Korea, and the population of Korean lady's slipper in their natural habitat is not increasing. To prevent extin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fungal community interacting in the rhizosphere of the Korean lady's slipper living in the native and artificial habitats. In-depth analyses were performed to discover the vital mycorrhizal fungi contributing to habitat expansion and cultivation of the endangered orchid species. Our results suggested that Lycoperdon nigrescens contributed most to the increase in natural habitats and Russula violeipes as a characteristic of successful cultivation. And the fungi that helped L. nigrescens and R. violeipes to fit into the rhizosphere community in Korean lady's slipper native place were Paraboeremia selaginellae and Metarhizium anisopliae, respectively. Th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restoring and maintaining the endangered orchid population in natural habitats.

녹조류 청각의 생식방법을 이용한 인공종묘생산 (Artificial Seed Production Using the Reproduction Methods in Codium fragile (Chlorophyta))

  • 황은경;백재민;박찬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64-171
    • /
    • 2005
  • Codium fragile (Suringar) Hariot, an edible green alga is farmed in Korea by natural blooming zygotes attachm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conditions for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C. fragile by sexual and asexual reproduction. Growth was compared between zygotes attachment (sexual reproduction) and isolated utricles with medullary filaments (asexual reproduction). Zygotes and isolated utricles with medullary filaments were cultured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10, 20, 40, 60 and $100\;{\mu}mol{\cdot}m^{-2}{\cdot}s^{-1}$) and temperatures (5, 10, 15, 20 and $25^{\circ}C$) under 16:8LD. Maximum growth of zygote was $261.3{\pm}21.0\;{\mu}m$ under $15^{\circ}C$ and $20\;{\mu}mol{\cdot}m^{-2}{\cdot}s^{-1}$ after 13 days culture. Maximum regeneration of isolated medullary filament was $8.1{\pm}1.7\;mm$ per one isolated utricle under $20^{\circ}C$ and $100\;{\mu}mol{\cdot}m^{-2}{\cdot}s^{-1}$ after 15 days culture. After intermediate culture during two months in the field, morphogenesis occurred in both sexual and asexual reproduction, and growth of young thalli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the both reproduction methods. Even though seed production of C. fragile is possible in both sexual and asexual reproduction, the mass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asexual reproduction is much more effective than that of sexual reproduction that is too much affected by maturity.

Hybridization and Use Of Grapes as an Oviposition Substrate Improves the Adaptation of Olive Fly Bactrocera oleae (Rossi) (Diptera: Tephritidae) to Artificial Rearing Conditions

  • Sohel, Ahmad;Viwat, Wornoayporn;Polychronis, Rempoulakis;Emily A., Fontenot;Ul Haq, Ihsan;Carlos, Caceres;Hannes F., Paulus;Marc J.B., Vreyse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9권2호
    • /
    • pp.198-206
    • /
    • 2014
  • The olive fly Bactrocera oleae (Rossi) is the key pest for olive cultivation worldwide. Substantial effort has been inves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sterile insect technique (SIT) to control this pest. One of the limitations to develop SIT technology for olive fruit fly is the low ability of wild females to lay eggs in other medium than olive fruits, and their slow adaptation to oviposition in artificial substrates. In the present study, fruit grapes were used as an alternative egg collection medium to harvest eggs and young larvae from freshly colonized wild strains originating from France, Italy, Spain and Croatia. The larvae were allowed to develop into the fruits until the second instar, before they were extracted out and further reared on a standard artificial diet. Furthermore, F1 to F4 female flies were alternatively offered wax bottles to oviposit. Finally, the performance of hybrid strains created from crosses between wild and long colonised flies was assessed.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s of all 4 wild strains readily oviposited eggs in grapes and from the F2 generation onward, females from all strains were adapted to laying eggs in wax bottle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eggs and pupae production among all strains tested. The findings are discussed for their implications on SIT application against olive fruit f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