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Breeding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2초

속간교잡 후 배주배양에 의한 감귤류 신품종 육성 (Breeding of New Varieties by Ovule Culture of Intergeneric Hybrid in the Aurantioideae)

  • 이만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61-266
    • /
    • 1995
  • 감귤류 속간교잡에 의하여 왜성화되고 내한성이 강한 신품종 개발에 대한 연구로서 황금유자와 탱자, 유자와 탱자의 정역교잡 및 잡종종자의 미숙배주 배양을 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숙배주의 callus형성은 탱자 < 유자 < 황금유자 $\times$ 탱자 < 황금유자 순서로 양호했는데, 1 ~ 3 mg/L + zeatin 0.5 mg/L 처리구에서 제일 좋았다. 황금유자와 탱자의 정역속간교잡 20주 후 기내에서의 발아율은 황금유자 $\times$ 탱자의 잡종이 41.3%, 탱자 $\times$ 황금유자의 잡종에서는 37.7%를 보였다. 황금유자 $\times$ 탱자의 F$_1$ 잡종 95%와 탱자 $\times$ 황금유자의 F$_1$ 잡종 100%는 탱자를 닮았다. 황금유자 $\times$ 탱자의 수분 후 3시간이면 화분은 계두상에서 발아하고, 24~28시간이면 화분관이 주공에 진입하며, 2일이면 극핵과 수정하며, 3일이면 난세포와 수정한다. 속간교잡의 결과율은 황금유자 $\times$ 탱자가 14.0%, 탱자 $\times$ 황금유자가 17.5%이었다. 황금유자와 탱자의 인공자가수정 결과율은 각각 45.4%, 27.5%이었으며 인공 타가수정 결과율은 34.2%, 39.5% 이었고, 단위결과율은 3.1%, 1.4%이였다. 또한 자연상 태에서의 결과율은 각각 13.0%, 3.0% 이었다. 황금유자, 유자, 탱자의 체세포와 생식세포 염색체수는 모두 2n=18, n=9 이었다.

  • PDF

내동성계 재래뽕 용천뽕과 영변뽕의 동질4배체 육성 (Breeding of Artificial Autotetraploids from Cold Hardness Lines of Yongchonppong and Yeongbyonppong)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3-99
    • /
    • 1996
  • 고조삽목후 삽수의 동아가 발아할 때 0.1~0.4% Colchicine 수용액을 4~5일간 적하하여 용천뽕의 동질4배체 2계통, 영변뽕의 동질4배체 1계통을 육성하였으며 주요 재배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봄철의 탈포기는 모품종보다 2일간 늦으나 발아후의 발육속도가 빨라서 5개엽기는 모품종과 동일한 중생뽕이었다. 2. 잎모양은 폭광형이고 잎자루는 길고 굵으며 잎두께는 모품종보다 17~33% 두껍고 1엽중은 무겁고 잎면적중은 21~31% 증가하고 엽록소함량은 11~33% 증가하여 우수한 엽질적 요소를 갖추었다. 3. 모품종보다 가지길이는 짧고 가지수도 적으며 마디사이길이는 같거나 약간 길어지며 굵어져서 가지의 구성요소는 다소 불량하였디. 4. 가지끝마름길이 비율로 나타낸 내동성은 4원뽕 23호, 24호는 용천뽕과 비슷하고 4원뽕25호는 영변뽕보다 강하였고 뽕나무 오갈병 발생율은 높았다. 5. 모품종보다 수량성은 낮고 신초엽량비율과 정엽량비율은 약간 높았다. 6. 4원뽕23호와 24호는 염성이 비교적 높아서 62%의 교잡성공율을 나타내었으나 4원뽕25호는 염성이 낮고 교잡성공률은 23.9%이었다.

  • PDF

주왕산국립공원내 야생조류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Wildbirds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이우신;박찬열;조기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3-192
    • /
    • 1995
  • 본 연구는 주왕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 조류군집을 파악하고, 이의 보호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2개의 조사구역을 선정하고, 1994년 봄, 여름, 가을에 걸쳐 야생 조류 군집을 선조사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총 42종으로, 봄에는 33종, 여름에는 32종, 가을에는 26종이 관찰되어 온대 조류군집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였으며, 천연기념물 및 희귀 조류는 검독수리, 붉은배새매, 수리부엉이, 큰오색딱다구리 등 7종이었다. 번식기 영소길드는 종 수에 있어서는 수관층 영소길드가 높았으나 ha당 서식 밀도는 수동 영소길드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채이길드는 봄, 여름에는 수관층 채이길드가 우점하였으나 가을에는 관목층 채이길드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찰된 천연기념물 및 희귀 조류의 서식지는 자연보존지구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 이들의 보호를 위해서는 이들 조류의 계속적 연구와 보호.관리가 필요하며 자연보존지구의 재설정 및 이 지역의 철저한 보호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관목층 길드의 보호를 위해서 등산로 주변에 관목을 조성하거나 등산객의 통제가 필요하며, 겨울의 야생조류 관리를 위하여 먹이 식물을 식재하거나 인공먹이를 제공하고, Cover자원을 위해서 관목층, 인공새집의 제공이 필요하다. 최근 야생 고양이의 피해가 증가되고 있으므로 이의 철저한 구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교배육종에 의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도원홍초'의 품종특성 (Varietal characteristics of cross-bred Cordyceps militaris 'Dowonhongcho')

  • 이병주;이미애;김용균;이광원;최영상;이병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1-156
    • /
    • 2015
  •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는 다양한 생리적 및 약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약용버섯으로 인정받으며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교배를 위해 자낭포자를 분리한 후 균사생장, 균사밀도, 자실체 및 자낭각 형성 여부 등에 대한 검토를 하였고, 그 중에서 우수한 특성의 균주를 이용하여 교배와 선발과정을 거쳐 신품종 '도원홍초'를 육성하였다. 신품종 '도원홍초'는 SDAY배지 및 $10{\sim}25^{\circ}C$ 온도조건에서 균사 생장이 양호하였다. 신품종의 자실체는 곤봉형이고 밝은 주황색을 띠었으며 코디세핀 함량은 0.34% 였고 자좌의 평균길이는 6.1 cm였다. '예당 3호'와 비교할 때, 새로운 품종 '도원홍초'의 수량은 9% 증수되었고 자실체의 경도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균사생장 적온은 $22{\sim}25^{\circ}C$였고, 버섯 발생 적온은 $18{\sim}22^{\circ}C$였으며 접종에서부터 자실체 발생까지의 기간은 45일이 소요되었다. 신품종 '도원홍초'는 동충하초 인공재배 및 산업적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인공종묘의 성분화 과정 (Sexual Differentiation in Korean Stumpy Bullhead Pseudobagrus brevicorpus Derived from Artificial Fertilization)

  • 오민기;박종영;강언종;양상근;김응오;조용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5-262
    • /
    • 2008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된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종복원을 위해 인위적인 교배를 통하여 획득한 자치어를 대상으로 성분화 과정을 조사하여 성적임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부화 후 4~5일째 자어에서 생식융기 1쌍이 장과 중신관 사이에서 관찰되었고, 그 후 유사분열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부화 후 20일째 치어에서 난원세포의 출현으로 난소 분화가 시작되었으며, 부화 후 30~40일째를 거치면서 염색인기와 주변인기의 난모세포로 성장하였다. 난황은 부화 후 80일째의 자어에서 생성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100일째가 되어 eosin에 염색되는 난황구가 생성되었다. 이후 난모세포는 난황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세포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약 10개월째에는 난막과 여포세포층에 의해 둘러싸여진 난모세포로 분화하였다. 한편 정소는 부화 후 25일경 치어에서 분화되기 시작하였고, 40일경 유사분열을 통해 정원세포를 둘러싸는 포낭을 형성하였다. 부화 후 100일째가 되면 정소는 정소엽 구조를 형성하였고 hematoxylin에 매우 진하게 염색되는 정모세포로 분화하였다. 부화 후 7개월째 치어의 정소엽 내부에 정세포가 출현한 이후, 부화 후 만 1년을 경과한 치어에서 최초로 성숙한 정자가 출현하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적으로 부화된 꼬치동자개 자치어의 성분화는 다른 종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정상적인 발달을 보인다고 판단되었다.

가야산 국립공원의 이용객이 야생조류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 (User′s Effects on Avifauna in Kaya Mountain National Park)

  • 이준우;김준선;류창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0-80
    • /
    • 1989
  • 본 연구는 가야간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이용객이 야생조류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부등간로, 등산불가구역 등 총 3개의 조사지를 설정하여, 1989년 4월부터 10월 사이 3회에 걸쳐 line transect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야산 지역에서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20종, 여름철새 7공. 겨울철새 1종, 나그네새 1종의 총 29종 527개체로 평균서식밀도는 2.44마리/ha이었다. 주요 우점종은 박새, 어치, 쇠박새, 곤줄박이, 동고비의 순이었고,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는 이용강도가 높은 지역에서 봄철 보다 이용객이 많아지는 여름철에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이용강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변동이 크지 않았다. 종다양도는 이용강도가 낮은 지역에서 최고치를 보였으며, 유사도지수는 여름철에 이용강도의 차이에 따라 지역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야생조류의 평균 출현빈도는 8.42회/km이었으며, 봄철에 비해 여름철이 30%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 야생조류의 종수 종다양도 및 출현빈도는 이용객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용객이 집중하는 여름철과 주등간로에서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용자의 영향이 큰 주등산로를 중심으로 하여 국립공원내 유흥중심적 활동제한 및 여름철에는 이용제한 등의 적극적인 야생조류의 보호대책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인공새집의 이용정도 조사에서는 합성재로 제작된 원통형 새집을 선호하는 경향을 털이고 있으며, 야생조류의 유치 및 증식에 기여할 수 있는 인공새집의 올바른 설치 및 관리가 요망된다.

  • PDF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수확 후 관리기술 (Post Harvest Technology for High Quality Rice)

  • 김동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2년도 창립 10주년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54-63
    • /
    • 2002
  • Post-harvest technology for rice was focused on in-bin drying system, which consists of about 100, 000 facilities in 1980s. The modernized Rice Processing Complex (RPC) and Drying Storage Center (DSC) became popular for rice dry, storage, process and distribution from 1990s. However, the percentage of artificial drying for rice is 48% (2001) and the ability of bulk storage is about 1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enough drying and bulk storage facilities. The definition of high quality rice is to satisfy both good appearance and good taste. The index for good taste in rice is a below 7% of protein, 17-20% of amylose, 15.5-16.5% of moisture contents and high concentration of Mg and K. To obtain a high quality rice, it is absolutely needed to integrate high technologies including breeding program, cropping methods, harvesting time, drying, storing and processing methodologies. Generally, consumers prefer to rice retaining below b value of 5 in colorimetry, and the whiteness, the hardness and the moisture contents of rice are in order of consumer preference in rice quality. By selection of rice cultivars according to acceptable quality, the periods between harvesting time and drying reduced up to about 20 d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ow temperature grain drying system in order to (1) increase the rate of artificial rice drying up to 85%, (2) keep the drying temperature of below 45C, (3) maintain high quality in rice and (4) save energy consumption. Bulk storage facilities with low temperature storage system (7-15C) for rice using grain cooler should be built to reduce labor for handling and transportation and to keep a quality of rice. In the cooled rice, there is no loss of grain quality due to respiration, insect and microorganism, which results in high quality rice containing 16% of moisture contents all year round. In addition, introducing a low temperature milling system reduced the percentage of broken rice to 2% and increased the percentage of head rice to 3% because of proper hardness of grain. It has been noted that the broken rice and cracking reduced significantly by using low pressure milling and wet milling. Our mission for improving rice market competitiveness goes to (1) produce environment friendly, functional rice cultivars, (2) establish a grade standard of rice quality, (3) breed a new cultivar for consumer oriented and (4) extend the period of storage and shelf life of rice during postharvest.

  • PDF

흑염소의 인공수정 발정동기화 처리방법에 따른 호르몬 변화분석 (Hormone Analysis during Artificial Estrus Induction in Korean Black Goats)

  • 김관우;전다연;이진욱;김승창;이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24-23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재래흑염소 번식생리의 이해를 돕고자 서로 다른 발정동기화법을 적용하였을 때 혈액내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의 농도변화를 알아본 것이다. 발정동기화법은 소의 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품종의 크기에 따라 호르몬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흑염소에 적용하였을 때 발정동기화 후 인공수정 적기의 판단이 정확하지 않아 효율이 매우 낮게 조사된다. 연구에 조사된 발정동기화 방법으로는 소에서 많이 이용되어왔던 CIDR + $PGF2{\alpha}$, $PGF2{\alpha}$ + GnRH + $PGF2{\alpha}$, 그리고 CIDR + $PGF2{\alpha}$ + PMSG 세가지를 적용하였다. 혈액내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은 발정동기화 각 처치 후와 최종 처치 후 수일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혈액내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 농도를 조사한 결과, 세가지 발정동기화 방법 마지막 처치 전까지는 모두 다른 변화를 보였으나, 그 후로는 서로 유사한 패턴으로 호르몬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발정동기화를 위한 호르몬 주사가 개체에 서로 다르게 작용하여 발정을 유도하고 최종 처치 후로는 유사한 발정이 유도되어 유사한 호르몬 상태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한국 재래흑염소 번식에서 인공수정이나 수정란 이식과 같은 기술에 접목한다면 효율적인 개량유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알비노 묵납자루의 부위별 색소발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igmentation of Albinic Bitterlings Acheilognathus signifer (Pisces; Cyprinidae) Based on Its Entire Body, Appendage and Eye)

  • 오민기;박종영;김치홍;강언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6-104
    • /
    • 2010
  • 멸조위기종인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종복원을 위한 인공수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눈과 피부의 색소발현이 결여된 백색증 개체가 출현하였다. 정상 묵납자루와 백색증 개체간 색소발현과 형태의 차이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몸통, 지느러미 눈 등 총 10개 부위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상 묵납자루의 경우, 멜라닌세포는 빛에 쉽게 노출되는 등부위와 상미병부, 맥락막-망막색소상피층 및 홍채에서 다량으로 분포하였다. 반면에 백색증 개체에서는 멜라닌세포가 등 부위와 등지느러미, 그리고 꼬리지느러미에서 아주 소량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눈의 맥락막-망막색소상피층 및 홍채에서는 색소결핍 현상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Milk yield and kit development of four breeds of rabbit in Ibadan, Nigeria

  • Jimoh, Olatunji Abubakar;Ewuola, Emmanuel Olabis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12호
    • /
    • pp.25.1-25.7
    • /
    • 2017
  • Background: Rabbit breeding with high performance imported ones would be of benefit for genetic diversity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in domestic rabbit breeds. The rearing of more productive rabbit breeds could be pathway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Maternal nutritional status exert a great influence on reproductive functions of does, which may expand from conception, through gestation and parturition and development of kits to puberty. Methods: Four breeds of rabbit were evaluated for their parturition, weaning and pubertal differences among the rabbit population in Ibadan, Nigeria. The breed consist of Fauve De Bourgogne (FDB), Chinchilla (CHA), British Spot (BS) and New Zealand White (NZW) rabbits. A total of 60 bucks and 360 does consisting of 15 bucks and 90 does per breed were mated in 6 mating cycles, three each of natural mating and artificial insemination. All does were synchronized for estrus with 20 IU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 48 h prior to mating. The does after parturition were assessed for milk yield (g) and kit survival rate (%) till weaning, weight changes of kits from birth to puberty. At puberty, the pubertal age (days) and weight (g) of the offspring were assessed. Result: Results obtained reveals that British Spot doe had highest milk yield among the breeds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growth of kit and weight at weaning in British Spot rabbits. Survival rates of Chinchilla kits were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Fauve de Bourgogne, British Spot and New Zealand White kits. Puberty attainment of the rabbits indicates that British spot does and Fauve de Bourgogne bucks are early maturing. Conclusion: Chinchilla shows high kit survivability and British spot has highest milk yield among the four breeds of rabb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