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fibrosi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수술후 발생한 슬관절 강직의 관절경적 유리술 (Arthroscopic Adhesiolysis for Postoperative Arthrofibrosis of the Knee)

  • 김성재;신상진;이원용;김진용;김상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2-48
    • /
    • 2000
  • 목적 : 수술후 발생한 슬관절 강직 환자에 있어서 관절경적 슬관절 유리술의 결과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에 대하여 살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논문은 슬관절 주위 골절 및 인대 수술후 발생한 슬관절 강직 환자중 관절경적 슬관절 유리술을 시행받은 31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적 슬관절 유리술은 3개월 이상의 적극적인 물리 치료에도 불구하고 술후 슬관절 운동 범위에 호전이 없거나 기능 제한이 있었던 경우에 시행하였다. 관절 강직의 선행 요인으로 인대 수술이 17례로 가장 많았으며 슬관절 주위의 관절면을 침범한 골절이 10례였고 그 밖의 경우가 4례였다. 결과 : 술전 관절 운동 범위가 평균 60도(14도-74도)에서 수술 직후 평균 120도(7도-127도)였으며 최종 추시 관찰시 129도(3도-132도)였다. 인대 수술후 관절 강직이 유발된 17례의 환자에서는 술전 65도에서 술후 135도로 향상되었고 이는 술후 약 1년간에 걸쳐 서서히 증가되었다. 관절내 골절후 관절 강직이 유발된 군에서는 술전 60도에서 술후 125도로 증가하였고 이는 술후 6개월에 걸쳐 운동 범위가 증가하였다. 또한 이환기간이 7개월 이내인 환자군에서는 관절경적 슬관절 유리술 시행후 관절 운동 범위가 평균 70도 증가하였고 7개월 이상인 군에서는 술후 평균 49도 증가하였다. 결론 : 관절경적 슬관절 유리술은 슬관절 내에서 기인된 관절 강직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특히 인대 수술후에 유발된 관절 강직이나 증상이 7개월 이내의 관절 강직에서 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 PDF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합병증 (Complication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송은규;김종석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19
    • /
    • 2003
  • Although the number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s increasing, complications after primary ACL reconstruction are more difficult to determin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an lead to ultimate failure of a primary reconstructive procedure. Therefore, surgical success in ACL reconstruction requires detailed knowledge and technical advancements about ACL reconstruction. Preoperatively surgeon must pay attention to selection of grafts and methods of fixation, and intraoperatively, attention to the harvest of graft, passage of graft, intraarticuar placement of the graft, notchplasty, proper tensioning of the graft, and other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ust be detected early, including infection, abnormal healing responses, arthrofibrosis, graft rejection, and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Careful patient selection, appropriate surgical timing, careful surgical technique, and supervis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can minimiz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PDF

거골하 관절경술 (Subtalar Arthroscopy)

  • 서진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6-30
    • /
    • 2012
  • The subtalar joint is a complex joint that is functionally responsible for inversion and eversion of the hindfoot. Advances in optical technology and surgical instrumentation have allowed the arthorscocpic surgeon to investiagate the small joints including the subtalar joint. Indications for subtalar arthroscopy include pain, swelling, stiffness and locking. Therapeutic indications include treatment of chondromalacia, osteophytes, arthrofibrosis, synovitis, loose bodies, osteochondral lesions, excision of a painful os trigonum, arthrodesis, and FHL tendinopathy. Contraindications to subtalar arthroscopy include infection, advanced osteoarthritis with deformity, severe edema, poor vascularity and poor skin quality. Subtalar arthroscopy is a technically demanding and difficult procedure that should only be performed by experienced surgeons. With proper instrumentation and careful operative techniques, satisfactory results may be obtained with minimal morbidity.

거골하 관절의 관절경술 (Subtalar Arthroscopy)

  • 안재훈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5-241
    • /
    • 2009
  • The development of good quality small-diametered arthroscopes and refined arthroscopic techniques ha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subtalar arthroscopy. The therapeutic indications are synovectomy, removal of loose bodies, debridement and drilling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excision of subtalar impingement lesions and osteophytes, lysis of adhesions for post-traumatic arthrofibrosis, removal of a symptomatic os trigonum, calcaneal fracture assessment and reduction, and arthroscopic arthrodesis of the subtalar joint. The subtalar arthroscopy can be done in supine position using thigh holder or in lateral decubitus position. The arthroscope generally used is a 2.7-mm 30 degrees short arthroscope. Noninvasive distraction with a strap around the hindfoot can be helpful. Usually anterolateral, middle and posterolateral portals are utilized for inspection and instrumentation within the joint. Twoportal posterior subtalar arthroscopy in prone position can be performed as well with 4.0-mm 30 degrees arthroscope, depending on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subtalar pathology. The subtalar arthroscopy is a technically demanding procedure, which requires proper instrumentation and careful operative technique. Possible complications are nerve damage and persistent wound drainage.

  • PDF

합병증이 병발된 슬관절 치환술에 시행한 관절경술의 효용성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y in Complicated Knee Arthroplasty)

  • 김경태;이송;고동오;김관수;김태우;박순열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5
    • /
    • 2009
  • 목적: 슬관절 치환술 후에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를 위해 시행한 관절경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그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5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받은 후 합병증으로 인하여 관절경적 치료를 받았던 25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25예 중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았던 경우가 19예, 부분치환술을 시행받았던 예가 6예였다. 모든 환자에서 관절경을 시행하기 전에 합병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이학적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관절액 천자 및 혈액학적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결과: 관절경술 시행 시 진단으로는 전치환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감염 11예, 관절의 유착 및 섬유화로 인한 운동 제한 6예, 연부 조직의 충돌 2예 등이 있었으며, 부분 치환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반월상 연골 파열, 유동성 치환물의 아탈구, 혈관절증, 관절 내 시멘트 유리체, 연부 조직 충돌 및 슬관절 강직으로 인한 운동 제한이 각각 1예 씩 총 6예가 있었다. 감염이 있던 11예 중 9예에서 관절경술만으로 치료가 되었고, 관절 강직이 있던 7예는 평균 슬관절 운동 범위가 술 전 $65^{\circ}$에서 최종 추시 시 $105^{\circ}$로 향상 되었으며, 나머지 예에서도 관절경술로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보였다. 결론: 슬관절 치환술 후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로 시행한 관절경술은 적절한 환자의 선택 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거골하 관절경 : 적응증과 그 결과 (Subtalar Arthroscopy : Indication and Results)

  • 안재훈;이광원;김하용;이승훈;최원식;김승권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44
    • /
    • 2007
  • 목적: 저자들은 각종 질환이나 외상에 대해 거골하 관절경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여 거골하 관절경의 적응증과 그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9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본원에서 거골하 관절경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4명, 5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성별은 남자 43예, 여자 14예였고, 평균 연령은 40세, 평균 추시 기간은 18개월이었다. 술전 진단은 족근 동 증후군 19예, 퇴행성 관절염 13예, 종골 골절 10예, 관절 섬유화 5예, 삼각골 증후군 3예, 거골 골절 3예, 거종 결합 3예, 종골 종양 1예였다. 결과의 분석은 술전 및 술후 AOFAS ankle-hindfoot scale과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외 거골하 관절경술로 인한 합병증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관절경술은 활액막 절제술 23예, 거골하 관절 유합술 13예, 진단적 관절경술 11예, 유착 박리술 5예, 유리체 제거술 4예, 삼각골 제거술 3예, 관절경적 골절 정복술 1예가 시행되었으며 이중 4예에서 두 가지 수술이 병행되었다. 동반된 질환으로는 족관절의 충돌 증후군이 17예,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이 11예, 거골의 골연골 병변이 7예 관찰되었으며, 이에 대해 족관절 관절경술 25예, 변형 Brostrom 수술 11예 등의 동반 술식이 시행되었다. AOFAS ankle-hindfoot scale은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는 술전 33점에서 술후 7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그 이외의 군에서는 술전 69점에서 술후 89점으로 향상되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42예에서 만족, 4예에서 불만족을 표시하여 91%의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특별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적절한 적응증에 대해 시행한 거골하 관절경술은 관절에 대한 손상을 가능한 줄이면서 병변을 정확하게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술식이나 기법의 숙달을 위한 노력 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