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rial PO2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만성신장질환 개에서 수혈과 관련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elated with Blood Transfusion in a Dog with Chronic Kidney Disease)

  • 정주현;최민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4-97
    • /
    • 2015
  • 한달간 간헐적인 구토, 식욕부진과 침울을 보인 11살의 중성화하지 않은 수컷 요크셔 테리어견이 내원하였다. 혈액검사상 질소혈증과 빈혈을 나타내었으며, 만성신장질환과 이로 인한 빈혈 상태로 진단이 되었다. 임상 증상 및 질소혈증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빈혈은 악화되었기 때문에 수혈을 실시하였다. 수혈 동안 환자의 상태는 양호하였으나, 수혈 후 10 시간째 환자는 급성 호흡곤란 증상을 보였다. 이 환자는 급성 호흡곤란의 임상 증상을 보인점, 수혈의 위험 요인들, 흉부 방사선사진에서 좌우 미만성의 폐포 침윤, 동맥혈 분석에서 200 미만의 $PO_2:FiO_2$ 비율을 바탕으로 수혈과 관련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진단이 되었으며, 이 증상을 보인후 2시간후 폐사하였다.

두부하위$(-6^{\circ})$로의 체위변동이 말초혈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d-down Tilt $(-6^{\circ})$ on Peripheral Blood Flow in Dogs)

  • 채의업;양선영;배재훈;송대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4권1호
    • /
    • pp.51-65
    • /
    • 1990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hemodynamic responses, especially in arterial and skin blood flows, in conjunction with the changes of plasma catecholamine levels as an indirect marker of adrenergic tone during the early stage of head-down tilt (HDT), and to evaluate the early physiological regulatory mechanism in simulated weightlessness. Ten mongrel dogs, weighing8\;{\sim}\;14\;kg, were intravenously anesthetized with nembutal, and postural change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tilting table. The postural changes were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supine, prone, HDT $(-6^{\circ}C)$ and lastly recovery prone position. The duration of each position was 30 minutes. The measurements were made before, during and after each postural change. The arterial blood flow $({\.{Q}})$ at the left common carotid and right brachial arteries was measured by the electromagnetic flowmeter. Blood pressure (BP) was directly measured by pressure transducer in the left brachial artery. To evaluate the peripheral blood flow, skin blood flow $({\.{Q}})$ was calculated by the percent changes of photoelectric pulse amplitude on the forepaw, and skin temperature was recorded. The peripheral vascular resistance (PR) was calculated by dividing respective mean BP values by ${\.{Q}}$ of both sides of common carotid and brachial arteries. Heart rate (HR), respiratory rate (f) and PH, $Po_{2},\;Pco_{2}$ and hematocrit of arterial and venous blood were also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plasma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was measured by radioenzymatic metho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ilting to head-down position from prone position, HR was initially increased (p<0.05) and BP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While ${\.{Q}}$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was decreased (p<0.05) and PR through the head was increased, ${\.{Q}}$ of the brachial artery was increased (p<0.05) and PR through forelimbs was decreased. ${\.{Q}}$ of the forepaw was initially increased (p<0.05) and then slightly decreased, on the whole revealing an increasing trend. Plasma norepinephrine was slightly decreased and the epinephrine was slightly increased. f was increased and arterial pH was increased (p<0.05). In conclusion, the central blood pooling during HDT shows an increased HR via Bainbridge reflex and an increased ${\.{Q}}$ of the forepaw and brachial ${\.{Q}}$, due to decreased PR which may be originated from the depressor reflex of cardiopulmonary baroreceptors. It is suggested that the blood flow to the brain was adequately regulated throughout HDT $(-6^{\circ}C)$ in spite of central blood pooling. And it is apparent that the changes of plasma norepinephrine level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ose of ${\.{Q}}$ of the forepaw, and the changes of epinephrine level are paralleled with those of the brachial ${\.{Q}}$.

  • PDF

산소과다가 임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ffect of Hyperoxia on Pregnancy in the Rat)

  • 이승철;조수헌;안형식;윤덕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2권1호
    • /
    • pp.71-80
    • /
    • 1989
  • The adverse effect of diving on the fetus may extend beyond n gestational process and outcome. Primiparous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one of ten exposure schedules during gestatred $PO_2$ level, the following question about the effect of exposing a pregnant female to high partial pressure of inspired oxygen has been raised. 'What effect does an increased maternal $PIO_2$ have on fetal arterial $PO_2$ and therefore on possible fetal oxygen poison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effects of maternal hyperoxia on gestational process and outcome. Primiparous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one of ten exposure schedules during gestation. The treatment groups were subjected to either the high concentration of oxygen, or the high atmospheric pressure. On day 21 of gestation, laparotomy was performed to examine for number and distribution of implantations and live and resorbing embryos. Fetuses were weighed, and examined for gross malformations. Subsequently, they were fixed, measured in physical parameters, and examined for visceral anomalies. Minor visceral anomalies and anatomical variation was not found. Similari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number of resorptions, mean fetal weights, pregnancy interruption rate were compared by analysis of vari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posing rats to oxygen at increased atmospheric pressure doese not affect fetal health or survival.

  • PDF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흉수가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ffect on Pulmonary Function of Pleural Effusion in Tuberculous pleurisy patients)

  • 임정윤;이기현;정혜경;장중현;천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491-499
    • /
    • 1996
  • 연구배경 : 흉막염은 임상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질환이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및 천자 후 변화는 많이 연구되어져 있지 않다. 이전의 보고들은 흉막 천자 후 폐기능 변화와 동맥혈 산소 분압은 거의 없거나 작은 호전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흉막액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흉막천자 후 폐기능 및 동맥혈 간소 분압의 개선 정도와 장기 경과 관찰후 폐기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4년 2월부터 1995년 9월까지 이화여대부속병원에 결핵성 흉막염으로 입원한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하여 흉막액의 경중도와 발현되는 증상, 증상 발현 기간에 따라 폐기능을 비교하고 천자 전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흉막염은 제한성 폐기능 장애를 야기시키며 소기도 뿐 아니라 대기도의 기능 장애도 유발시킨다. 2. 흉막 천자후 MMFR, $FEV_1$, Raw, $PO_2$는 조기(median 1주)부터 현저히 호전되었으며, 합병증이 없는 환자에서 장기(median 17주) 경과 관찰시 경한 제한성 폐기능 장애가 남았다. 3. 흉막 삼출이 심한 정도에 따라 FVC, $FEV_1$ 및 TLC가 유사한 정도로 제한되며 이에 따라 산소 분압도 상대적으로 저하되었다. 4. 증상 발현 기간이 1주 이내인 경우와 주소가 호흡곤란인 경우 폐기능 장애가 가장 심하였다. 5. Flow-Volume Curve 에서 흉막천자 후 Lung Volume이 큰 부위에서 작은 부위보다 Flow Rate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말기 호흡으로 갈수록 영향을 적게 받았다. 6. 초회 천자량과 $FEV_1$(r=0.47), FVC(r=0.44), 및 TLC(r=0.39) 의 호전된 변화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흉막염 1L천자시 $FEV_1$은 0.44L, FVC는 0.41L, TLC는 0.73L의 호전이 예측된다. 결론 : 흉막염은 제한성 폐기능 장애를 야기시키며 소기도 뿐 아니라 대기도의 기능 장애도 유발시키고, 흉막천자 후 점차로 호전되어 회복 후에는 경한 제한성 폐기능 장애를 남긴다.

  • PDF

이중 박동성 인공심폐기의 동물 실험 (Application of the Pulsatile Cardiopulmonary Bypass in Animal Model)

  • 신화균;원용순;이재욱;허균;염욱;김승철;민병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1-10
    • /
    • 2004
  • 배경: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인공심폐기는 비박동성 펌프로 회로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이 낮고 혈구 손상이 적어서 표준 인공 심폐기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실험적 연구들을 보면 박동성 관류가 혈역학, 대사, 장기의 기능, 미세 순환에 대하여 비박동성 관류보다 유익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박동성 인공심폐기는 높은 회로 내부 압력과 혈구손상이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개발이 어려웠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제작된 이중 박동성 인공심폐기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6마리의 송아지를 대상으로 이중 박동성 인공 심폐기 실험을 하였으며, 완전체외순환을 시켰다. 체외순환은 상,하 대정맥과 대동맥 사이를 우회하였으며, 막형 산화기를 사용하여 혈액을 산화시켰다. 산화기는 좌우측 펌프 중간에 위치시켰다. 순환 시간은 4시간이었다. 동맥혈가스분석, 혈액검사, 혈장 유리 혈색소를 측정하였으며, 맥압과 회로 내부압력을 관찰하였다. 측정은 인공 심폐기 구동 전과 순환 1, 2, 3, 4시간째에 측정하였다. 결과: 동맥혈 가스분석상 pH, 이산화 탄소분압은 모두 정상 범위였으며, 동맥혈 산소 분압은 100 mmHg 이상의 충분한 산화를 보였다. 혈장 유리혈색소는 완전 체외순환하여 4시간이 경과하면서 15.87 $\pm$5.63 mg/㎗로 점차 증가소견을 보였으나 20 mg/㎗ 이내였다. 혈액검사소견상 뚜렷한 이상소견은 없었다. 순환전 수축기 혈압은 97.5$\pm$5.7 mmHg이었으며 시간 경과하여도 100 mmHg 이상의 혈압을 유지하였다. 확장기 혈압은 72.2$\pm$7.7 mmHg이었으며 시간 경과하여도 잘 유지되었다. 평균 혈압은 순환 전 83$\pm$9.2 mmHg이었으며, 시간 경과 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펌프의 유량은 3.3 L/min이상을 유지할 수 있었다. 완전체외순환 동안의 혈압의 변화를 보면 순환 전 심장과 유사한 동맥혈압을 보였다. 결론: 이중 박동 구조를 이용한 박동성 인공심폐기는 효과적인 박동성 혈류를 제공하면서 혈구 세포손상도 적었으며, 혈액학적 및 혈역학적인 면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모든 심장수술의 인공심폐기로 사용되어질 경우 말초장기에 생리적이고 안정적인 혈류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Prostaglandin $E_1$ on Cutaneous Microcirculation of Flap or Replantation

  • Nakanishi, Hideki;Hashimoto, Ichiro;Tanaka, Shinji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6권1호
    • /
    • pp.1-8
    • /
    • 1997
  • Recently prostaglandin $E_1(PGE_1)$ has been shown to ensure flap survival by producing vasodilation of the peripheral vessels and platelet disaggreation. However, direct observation and detailed quantitative studies of the effects of $PGE_1$ on the cutaneous microcirculation have not been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cutaneous microcirculatory changes in the rabbit ear chamber(REC) with an intravital microscope following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PGE_1$.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PGE_1$ administered intravenously at a rate of 200ng/kg/min might act directly on the vessels and cause dilatation of metarterioles and capillaries without affecting vasomotion and systemic blood pressure. Clinically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an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PGE_1$ on the cutaneous microcirculation, cutaneous blood flow, skin temperature and transcutaneous $Po_2$ in the pedicle or free flap of operated patients were evaluated by the combination of several measurements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PGE_1$.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mprovement of cutaneous microcirculation by $PGE_1$ may enhance the survival rate of flap or replantation. Both vessel arterial ischemia and venous congestion are main factors of tissue necrosis in the flap surgery. Vasodilatory or antithrombotic agents have been used in salvage of flap necrosis. However,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ose drugs are still not well elucidated. Recently prostaglandin $E_1(PGE_1)$ has been shown to ensure flap survival by producing vasodilatation of the peripheral vessels and platelet disaggregation[1-3]. Emerson and sykes[4] have obtain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lap survival in the rat using $PGI_2$. Suzuki et al.[5] have reported prolonged flap survival length by using $PGE_1$ in the rabbit and concluded that $PGE_1$ improved the microcircuration in the flap. However, direct observation and detailed quantitative studies of the effects of $PGE_1$ on the cutaneous microcirculation have not been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microcirculatory changes in the rabbit ear chamber[6,7] with an intravital microscope following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PGE_1$.

  • PDF

태변흡인증후군에서 폐표면활성제 사용이 호흡기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The Effect on Pulmonary Indices of Surfactant Therapy for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최현진;한서경;이순민;김한석;배종우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189-196
    • /
    • 2011
  • 목적: 최근 폐표면활성제는 태변흡인증후군 환자에서 호흡곤란을 호전시키기 위한 치료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변흡인증후군에서 폐표면활성제가 치료결과로서 호흡기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방법: MEDLINE, EMBASE, CENTRAL 등의 주요 데이터베이스 및 초록 등을 검색하여 2011년 6월까지 보고된 관련 무작위 배정연구를 선별하였다. OI 또는 a/A $PO_2$와 같은 호흡기 지표를 포함한 자료를 추출하여 폐표면활성제 보충요법과 폐표면활성제 세정요법 각각에 대해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비뚤림 위험 및 임상적, 통계적 이질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두 건의 폐표면활성제 보충요법 연구와 두 건의 폐표면 활성제 세정요법 연구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폐표면활성제 보충요법의 경우 OI에서는 두 연구 결과 사이의 이질성이 큰 반면, a/A $PO_2$에서는 보충요법 후 시간이 경과할 수록 군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12시간째 WMD 0.08, 95% CI 0.04, 0.12; 24시간째 WMD 0.17, 95% CI 0.06, 0.28). 폐표면활성제 세정요법의 경우 통합하여 분석하였을 때 치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임상 경과가 좋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확보하지는 못하였다. 결론: 태변흡인증후군에서 폐표면활성제 사용은 임상경과를 호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연구수가 제한되어 있고 대상환자의 중증도 및 폐표면활성제 투여방법 또한 서로 다르므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한 보충적인 근거가 도움이 될 것이다.

일산화탄소중독(一酸化炭素中毒)의 약물치료효과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 관장법(灌腸法)을 중심(中心)으로-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Hydrogen Peroxide in the Treatment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 최동욱;유근영;박항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3권1호
    • /
    • pp.13-18
    • /
    • 1980
  • The ultimate goal of treatment of carton monoxide poisoning is to promote dissociation of carboxyhemoglobin and to maintain arterial $PO_2$ above 50mmHg throughout the course of treatment to protect vital organs from damage caused by hypoxia. The hyperbaric chamber designed and manufactured for this purpose has obviousely made an enormous contribution and yet has several handicaps to be overcome by any means. These handicaps are: the financial impact to purchase the chamber (especially in a small, remote community), an extra manpower requirement to operate the device, limitation in the capacity of the chamber (one man type), and the possible hazard of oxygen intoxication and dysbarism.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new therapeutic measure as an alternative to the hyperbaric chamber when it is not available or contraindicated. The effect of intestinal perfusion with hydrogen peroxide has been studied by many investigators and was known to be an excellent way of extrapulmonary oxygen supply. the advantage of this method will include; 1) much more amount of oxygen is delivered to the tissue than one would expect from 100% saturation with oxygen at 1 ata, 2) the procedure is simple and most economical, 3) neither sophisticated equipment nor extra manpower is required. As a study preliminary to the clinical application, authors conducted a series of experiment to observe the effect of hydrogen peroxide enema on dissociation of carboxyhemoglobin in intoxicated rabbit blood. Using an animal gas chamber, 20 rabbits were exposed to CO gas of 6,000 ppm for 60 minutes. Ten rabbits of control group were given 10cc of warmed normal saline solution by reactal perfusion and for the other 10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same amount of 1% $H_{2}O_{2}$ solution was given by the same way. Two blood specimens were drawn from each rabbit: the first one immediately following the exposure and the second one after rectal perfusion, about 30 minutes after the first sampling. The result was as follows; 1) The decrease in carboxyhemoglobin concentration during the first 30 minutes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ere $18.18{\pm}4.49%\;and\;23.03{\pm}4.13%$ respectively shelv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 two groups. 2) Hemoglobin and hematocrit valu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not altered significantly by intestinal perfusion with $H_{2}O_{2}$.

  • PDF

폐성심을 시사하는 심전도 소견 유.무에 따른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예후 (The Prognostic role of Electrocardiographic Signs of Cor Pulmonal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신무철;박재용;배문섭;배락천;채포희;김창호;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6호
    • /
    • pp.944-955
    • /
    • 2000
  • 연구배경 : 만성폐성심을 시사하는 심전도 소견 유무에 따른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예후를 평가하고 이 심전도 소견이 폐기능검사 성적 및 동맥혈가스분석 소견등과 연관되어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급성악화로 입원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심전도, 동맥혈가스분석 및 폐기능검사 성적을 비교하였다. 폐성심을 시사하는 심전도 소견은 우심방부하, 우각차단, 우심실비대 low-voltage QRS로 하였으며 심전도상 이상소견이 없는 1군은 36명이었고, 이상소견이 하나 이상인 2군은 25명 이었다. 결과 : 다변량분석 결과 나이 (risk ratio=1.13, 95% confidence interval 1.05-1.23), DLco % pred. (risk ratio=0.97, 95% confidence interval 0.94-0.99), $PaO_2$ (risk ratio=0.95, 95% confidence interval 0.90-0.99), 심전도상 우심방부하(risk ratio=5.27, 95% confidence interval 1.40-19.85) 가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심전도상 우심방부하의 소견이 없는 경우에서는 1년, 2년, 5년 생존율이 각각 95.4%, 81.4%, 50.0% 인데 비해 우심방부하 소견이 있는 경우는 각각 82.4%, 70.6%, 27.5%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폐성심을 시사하는 심전도 소견, 특히 우심방부하를 나타내는 심전도 소견은 중요한 예후예측 인자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과산화수소 관장이 급성 일산화탄소중독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gen Peroxide Enema on Recovery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 박원균;채의업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0권1호
    • /
    • pp.53-63
    • /
    • 1986
  • 과산화수소$(H_2O_2)$가 급성 일산화탄소(CO)중독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토를 1% Corktm에 30분간 노출시킨후 자연회복군, 100%산소 흡입군 및 $H_2O_2$관장군(10ml/kg의 0.5% $H_2O_2$용액을 2ml내외의 사람혈액과 함께 관장)으로 나누어, 회복기 15,30,60 및 90분에 동맥혈의 $pH,\;PCO_2,\;CO_2$ 및 HbCO 포화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pH는 급성 CO중독시 3개군 모두에서 감소하였고, 회복기에는 서서히 증가하여 자연회복군과 100%산소 흡입군은 회복기 90분에 거의 회복되나, $H_2O_2$관장군에서는 pH의 회복이 다른군보다 늦었다. $PaCO_2$는 급성 Co중독시 3개군 모두에서 감소하였고, 회복기에는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자연회복군의 $PaCO_2$는 회복기 90분에 거의 회복하는데 반하여 100%산소흡입군과 $H_2O_2$관장군의 $PaCO_2$는 회복이 늦었고 회복기 90분에도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였다. $PaO_2$는 급성 Co중독시 약간 감소하였다가 회복기에는 회복기 15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회복기 90분까지 대조치보다 높은 $PaO_2$를 유지하였다. 회복기동안 $H_2O_2$관장군의 $PaO_2$$102{\sim}107mmhg$로 자연회복군보다 약 10 mmhg 높은 수준을 보였다. HbCO 포화도는 급성 CO중독시 $54{\sim}72%$까지 증가하였다. 회복기에는 $H_2O_2$관장군의 HbCO 포화도의 회복이 자연회복군이나 100%산소 흡입군보다 빨랐으며, 100%산소 흡입군은 회복기 30분에서 60분사이에 자연회복군보다 더 빠른 회복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0.5% $H_2O_2$관장은 CO중독시 혈액의 산소분압을 어느정도 증가시킬 뿐 아니라 혈색소와 결합된 CO의 해리를 촉진시켜, 단독요법 또는 산소요법과 병행하여 사용할 때 급성CO중독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