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misia sylvatica MAX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국내 자생 그늘쑥 (Artemisia sylvatica MAX) 모상근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조건 (Optimum Condition for Mass Culture of Hairy Roots from Artemisia sylvatica MAX)

  • 신선희;양덕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65-71
    • /
    • 2003
  • 본 실험은 그늘쑥을 Agrobacterium을 통해 형질전환체인 모상근을 유기하고 모상근의 대량배양을 위해 모상근이 가장 잘 자라는 생장 조건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선발된 그늘쑥 모상근 세포주의 대량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는 MS 기본 배지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적의 havesting time 모상근의 성장률이 좋고 갈변과 배지의 미생물 오염도가 적은 4주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광 처리 하에서 모상근을 배양하는 것보다는 암상태에서 모상근을 키우고 pH는 5.8 정도가 탄소원은 sucrose로 3.5%가 모상근 을 대량배양시 최적조건임을 확인되었다. 미량원소인 Fe$^{2+}$은 0.1 mM을 처리하는 것이 모상근의 성장을 촉진하였으며 spermine과 spermidine은 각각 10 mM와 100 mM로 처리하는 것이 모상근의 성장을 높일 수 있다. 앞으로 연구는 이 결과를 토대로 모상근 대량 배양을 위한 scale up조건과 bioreator의 설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늘쑥(Artemisia sylvatica Max.)으로부터 분리된 FPTase 저해활성 물질들의 구조적인 특성과 biogenic pathway의 배향성 (Characteristic Stereostructures and Regioselectivity of Biogenic Pathway of FPTase Inhibition Materials Isolated from Artemisia sylvatica)

  • 권병목;성낙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4호
    • /
    • pp.223-227
    • /
    • 2002
  • 그늘쑥(Artemisia sylvatica Max.)으로부터 분리된 sesquiterpene lactone계 화합물들의 구조적인 특성과 FP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dehydromatricarin A, B 분자들 사이 biogenic Diels-Alder 반응의 경계분자 궤도함수 (FMO)상호작용에 대한 배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주 생성물이 얻어지는 반응은 B1(diene)의 HOMO와 A16(dienophile)의 LUMO간 hard-hard한 charge-control 반응이었다. 그리고 AO계수 분극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배향성은 분리된 8-acetylarteminolide와 artanomaloide들이 모두 biogenic Diels-Alder 반응의 부 생성물들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8-acetyl-arteminolide의 FPTase 저해활성($pI_{50}=3.75$ 및 logP=2.62)은 큰 반면에 artanomaloide 및 dehydromatricarin은 작았다.

그늘쑥의 식물화학적 성분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Artemisia sylvatica Max)

  • 문형인;권학철;지옥표;이강노
    • 생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7-91
    • /
    • 1999
  • Two carotenoids and four flavonoids were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 of Artemisia sylvatica Max.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beta}-carotene$, lutein, luteolin, rutin, $pectolinarigenin-7-O-{\beta}-glucopyranoside$ and luteolin-7-O-neohesperidoside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a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