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misia lavandulaefolia DC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참쑥(Artemisia Lavandulaefolia DC)의 방향성분 (Flavor Components of Artemisia Lavandulaefolia DC)

  • 최경숙;최봉영;박형국;김정한;박종세;윤창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74-779
    • /
    • 1988
  • 참쑥(Artemisia lavandulaefolia DC)의 정유를 gas chromatogaphy/mass spectrometry(GC/MS)로 정성분석하고, 저장조건을 달리하여 정유성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86 이상의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1,8-cineol, camphor, ${\beta}-thujone$, caryophyllene, borneol, coumarin, linalool, terpineol, sabinene, 7-methoxy coumarin ${\alpha}-copaene$, humulene과phytol이 중요성분이었다. Artemisia species에서는 지금까지 밝혀진 바 없는 3,6,6-trimethyl norpinanol, ${\beta}-farnesene$, 7-methoxy coumarin, ${\alpha}-curcumene$ 등이 검출되었다. 2. 참쑥의 저장에 따른 색과 변화를 조사한 결과, 온도에 의해 갈색화와 성분의 증감이 있었다. 즉, 냉암소에 보관된 시료는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상온방치한 시료는 Air와 질소에 상관없이 모두 변화가 있었다. 1,8-cineol, limonene, 2,2,4-trimethyl 1,3-dioxolane-4-ethanol, terpinene-4-ol 등은 감소하였으며, ${\beta}-phellandrene$, benzyl benzoate, broneol, ${\alpha}-terpineol$, humulene 등은 증가하였다.

  • PDF

임상 분리된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Artemisia species의 항균 활성도 (ANTIMICROBIAL ACTIVITY OF ARTEMISIA SPECIES AGAINST CLINICALLY ISOLATED STREPTOCOCCUS MUTANS)

  • 서정아;김재곤;김미아;백병주;양연미;정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05-513
    • /
    • 2009
  • Streptococcus mutans는 Mutans streptococci 그룹에 속하는 치아우식 유발균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자생쑥 종의 추출물이 이러한 치아우식을 유발하는 Streptococcus mutans균에 대해 활성 억제 효과가 있다는 것이 표준균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밝혀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환자에서 분리된 S. mutans를 중심으로 쑥의 항균 효과를 알아보았다. 네 가지 임상 분리균주; Ch, L1, L2, P와 네 가지 표준균주: KCTC (Korean Culture for Type Collection) 3298, KCTC 3605 (ATCC 25175), KCTC 3306, Streptococcus mutans GS5를 이용하여 세 가지 종류의 쑥; 참쑥(Artemisia lavandulaefolia DC), 비쑥(Artemisia scoparia), 사철쑥(Artemisia capillaries)의 효능을 검증하였다. 항균활성은 세 가지 종류의 쑥 추출물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최소 억제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 time-kill studies를 통해 알아보았다. 최소억제농도는 표준균주에 대해 각각 참쑥이 0.8 ug/mL, 비쑥이 0.8-1.6 ug/mL, 사철쑥이 0.2-25.6 ug/mL이 었으며, 분리된 균주에 대해서는 참쑥이 0.4-0.8 ug/mL, 비쑥이 0.4-0.8 ug/mL, 사철쑥 1.6-6.4 ug/mL이었다. 최소살균농도는 표준균주에 대해서 참쑥이 1.6-6.4 ug/mL, 비쑥이 6.4-12.8 ug/mL이였다. 분리균주에 대해서는 참쑥이 0.8-3.2 ug/mL, 비쑥이 0.8-3.2 ug/mL, 사철쑥은 6.4-12.8 ug/mL이었다. Time-kill assay에서 KCTC 3298이 4 hrs에 100% 살균되었으며, GS5도 거의 100% 살균되었고 L1과 L2 P는 0.5 hrs에 99.90% 살균되었다. 0.5 hrs에 KCTC 3298와 GS5는 99.99% 이상 살균되었고, 모든 균주들이 2.5 hrs에 99.99% 살균되었다. 전체적인 실험 결과 세 가지 종류의 쑥은 표준 균주 및 네 가지 분리 균주 모두에서 항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