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misia Extract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3초

A New Sesquiterpene Lactone from Artemisia rubripes Nakai

  • Lee, Kyu-Ha;Min, Yong-Deuk;Choi, Sang-Zin;Kwon, Hak-Cheol;Cho, Ock-Ryun;Lee, Kang-Choon;Lee , Kang-R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10호
    • /
    • pp.1016-1019
    • /
    • 2004
  • The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a methylene chloride extract of Artemisia rubripes led to the isolation of a new sesquiterpene lactone (3), together with four known compounds, a coumarin (2) and three terpenes (1, 4, and 5). Their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to be $1{\beta},6{\alpha}$- dihydroxy-4(15)-eudesmene (1), scopoletin (2), $1{\alpha},4{\beta}-dihydroxy-8{\alpha}$-acetoxy-guaia-2,10(14), 11(13)-triene-6,12-olide (3), $1{\alpha},4{\beta}$ -dihydroxy-8${\alpha}$-acetoxy-guaia-2,9,11(13)-triene-6,12-olide (4), and $\beta$ -sitosterol-3-O-${\beta}$-D-glycoside (5) by spectroscopic means.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Artemisia stolonofera

  • Kwon, Hak-Cheol;Choi, Sang-Un;Lee, Kang-R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12-315
    • /
    • 2001
  •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he $CH_{2}Cl_{2}$ extract of Artemisia stolonofera (Asteraceae) led to the isolation of a triterpene (I), a sesquiterpene (II), two aromatic compounds (III and IV) and a benzoquinone (V).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spectroscopic means to be simiarenol (I), (1S,7S)-1 $\beta$-hydroxygermacra-4(15),5, 10(14)-triene (II), 3'-methoxy-4'-hydroxy-trans-cinnamaldehyde (III), vanillin(IV) and 2,6-dimethoxy-1,4-benzoquinone (V), respectively. Among these products, compound V showed significant cytotoxicity against five human tumor cell lines in vitro, A549 (non small cell lung adenocarcinoma), SK-OV-3 (ovarian), SK-MEL-2 (skin melanoma), XF498 (CNS) and HCT15 (colon) with ED_{50}$ values ranging from 1.33~4.22${\mu}g/ml$.

  • PDF

Isolation of Luteolin 7-O-rutinoside and Esculetin with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montana

  • Kim, Na-Mee;Kim, Jong;Chung, Hae-Young;Chol, Jae-S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37-239
    • /
    • 2000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rtemisia montana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free radical generation of hepatocytes ($AC_2$F). The methanol extract of A. montana showed stro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10.1{\mu}g/m{\ell}$, and thus fractionated by solvent extraction. Esculetin and luteolin 7-O-rutinoside (scolymoside) were isolated as the active principles from the EtOAc and interphase fractions,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se compounds were comparable to that of L-ascorbic acid.

  • PDF

쑥 추출물(抽出物)의 밭토양중(土壤中) 요소분해(尿素分解), 질산화(窒酸化) 작용(作用) 억제효과(抑制效果) (Inhibition of Urea Hydrolysis and Nitrification in Upland Soils by Artemisia asiatica Extracts)

  • 임선욱;신명호;박현준;김민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2-399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합성 요소억제제나 질산화억제제와는 달리 쑥(Artemisia asiatica)과 같은 천연물에 의한 토양중 요소분해와 질산화작용에 대한 저해효과를 검토하고저 하였다. 이를 위 위하여 쑥의 열수추출액과 유기용매 분획추출물을 준비하여 밭토양에 처리하였고 2일, 5일 동안 배양후에 요소태질소와 암모늄태질소, 질산태 질소를 측정하고 요소분해균과 urease 효소활성에 대한 각 추출액과 분획추출물의 영향도 검토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쑥잎의 열수추출액은 요소분해를 미약한 수준으로 촉진하였으나 반면 질산화작용은 억제하였고, 쑥잎 열수추출액을 0.5ml, 3.0 ml를 가하였을 때 질산태 질소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각각 65.2%, 68.8% 줄어들었다. 쑥잎의 유기용매 분획추출물 중, chloroform분획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이 요소분해에 대해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chloroform/methanol 분획을 2.0 ml 가했을 때, 잔존한 요소태질소 함량은 무처리구의 5.8배로 요소분해억제효과가 가장 좋았다. 한편 유기용매 분획추출물들의 질산화작용 억제효과 유무는 불명확 하였다. urease activity의 경우, 요소분해율이 무처리구와 비교시 97.5%에서 99.50%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분획물이 urease의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요소분해 bacteria 수는, 쑥의 chloroform 분획을 처리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적요 2의 결과와 일치). 이로서 요소분해 저해효과는 urease의 활성을 저해하기 보다는 요소분해균을 저해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각 추출물 성분에 대한 예비시험과 박층 chromatogram을 통해, 그 조성이 복잡하고 다양한 화합물들이 요소분해와 질산화작용 억제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며 이를 분획 또는 단일활성 물질을 추적하여 그 효과를 확인할 일이다.

  • PDF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반응에서 섬애약쑥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umaeyaksuk (Artemisia argyi H.) Extract on LPS-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

  • 김동규;강민정;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82-1288
    • /
    • 2016
  • 본 연구는 섬애약쑥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및 간 염증에 대한 보호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100{\sim}400{\mu}g/ml$의 농도 범위에서 섬애약쑥 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nitric oxide (NO)와 reactive nitrogen species (ROS)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간염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cytokine인 M-CSF와 IL-8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직접적인 간 손상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인 AST와 ALT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섬애약쑥물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200{\sim}400{\mu}g/ml$의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간 염증의 개선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단서를 확인하였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에토좀 제형에 관한 연구 (Ethosome Formul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xtracts)

  • 양현갑;김혜진;김해수;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90-195
    • /
    • 2013
  • 이전 연구에서 저자들은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활성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자발쑥 추출물의 피부 전달시스템으로 에토좀을 제조하고 입자크기, 포집효율 및 피부 투과를 평가하였다. 0.06% 사자발쑥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담지한 에토좀은 3주 동안 보다 더 안정하였고 일정한 입자크기를 유지하였다. 0.06%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에토좀의 입자 크기는 $287.05{\pm}0.25nm$, 포집효율은 $51.96{\pm}0.01%$였다. 피부 투과 실험 결과, 에토좀 제형은 일반 리포좀이나 20% 에탄올 용액에서 보다 큰 피부 투과능을 보여주었다.

사염화탄소에 의한 랫드의 간손상에 대한 인진호메타놀추출물의 억제효과 (Antihepatotoxic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methanol extract on acute hepatic injury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

  • 김길수;박준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19-626
    • /
    • 1994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pharmacological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methanol extract(AIME) on biochemical parameters(activities of AST, ALT, LDH, and ALP, contents of total bilirubin, total protein, albumin and A/G ratio in serum and levels of hepatic microsomal lipid peroxide and glucose-6-phosphatase activities) against hepatic injury by carbon tetrachloride($CCl_4$) in rats. Increased AST, ALT and LDH activities by $CCl_4$ were decreased in AIMS treatment group at 48 or 72 hours. Together, increased ALP activity by $CCl_4$ almost returned toward normal value in AIME treatment group at 72 hours. Serum total bilirubin contents increased to 87, 79 and 31% compared with normal group by $CCl_4$ which were decreased to 64, 42 and 26% in AIME treatment group at 24, 48 and 72 hours, respectively. Decreased contents of total protein and albumin, and A/G ratio by $CCl_4$ were recovered in AIME treatment group. Hepatic microsomal lipid peroxide levels(nmol malonic dialdehyde/100mg protein) increased to 140, 95 and 78% compared with normal group by $CCl_4$ which were decreased to 107, 74 and 65% in AIME treatment group at 24, 48 and 72 hours, separately. Hepatic microsomal glucose-6-phosphatase activities decreased to 60, 50 and 53% compared with normal group by $CCl_4$ at 24, 48 and 72 hours, respectively, which were increased at 72 hours in AIME treatment group. In conclusion, AIME enhanced the amelioration process from $CCl_4$-induced lipid peroxidation, degeneration of liver cell, and impairment of protein and bilirubin metabolisms.

  • PDF

정제 왕겨초액의 항산화 및 항아토피 활성 (Antioxidant and Antiatopic Effects of Refined Chaff Liquid Smoke)

  • 손형우;허진철;김숙경;권선영;한길환;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66-27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초액 4종인 2차 정제초액 (2nd refined liquid smoke, 2 CV), 3차 정제초액 (3'rd refined chaff liquid smoke, 3 CV), 쑥 정제초액(Artemisia plus refined chaff liquid smoke, A CV), 자소엽 정제초액 (Perillae folium plus refined chaff liquid smoke, Pf CV)의 항산화 능력과 항아토피 효과를 연구하였다. 항산화능 측정결과로 DPPH 활성은 3차 정제초액을 제외한 3종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FRAP 실험 역시 DPPH와 마찬가지로 3종의 초액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DNFB를 이용한 C57BL/6 마우스의 귀에 염증 유발을 통한 실험에서는 4가지 초액 모두 높은 활성을 보였다. 특히 육안, 귀의 두께 및 귀의 상피 두께를 확인한 결과 자소엽 초액이 염증을 유도한 군에 비해 두께가 현저히 감소하여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Artemisia annua L. Extracts Improved Insulin Resistance via Changing Adiponectin, Leptin and Resistin Production in HFD/STZ Diabetic Mice

  • Ghanbari, Mahshid;Lamuki, Mohammad Shokrzadeh;Habibi, Emran;Sadeghimahalli, Forouza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0-137
    • /
    • 2022
  • Objectives: Insulin resistance (IR) is major cause of type 2 diabetes (T2D), and adipokines (e.g., adiponectin, leptin, and resistin) play an important role in insulin sensitivity. Medicinal plants are frequently used for T2D treat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rtemisia annua L. (AA) extracts on adipokines in mice with high-fat-diet (HFD)/streptozotocin (STZ)-induced T2D. Methods: We divided 60 mice into 12 groups (n = 5 per group): control, untreated T2D, treated T2D, and 9 other groups. T2D was induced in all groups, except controls, by 8 weeks of HFD and STZ injection. The treated T2D group was administered 250 mg/kg of metformin (MTF), while the nine other groups were treated with 100, 200, and 400 mg/kg of hot-water extract (HWE), cold-water extract (CWE), and alcoholic extract (ALE) of AA (daily oral gavage) along with 250 mg/kg of MTF for 4 weeks. The 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 (IPGTT) was performed, and th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adiponectin (HOMA-AD) index and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leptin, adiponectin, and resistin levels were measured. Results: Similar to MTF, all three types of AA extracts (HWEs, CWEs, and ALEs) significantly (p < 0.0001) decreased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of glucose during the IPGTT, the HOMA-AD index, blood glucose levels, and serum insulin, leptin, and resistin levels and increased serum adiponectin levels in the MTF group compared to the T2D group (p < 0.0001). The HWEs affected adipokine release, while the CWEs and ALEs decreased leptin and resistin production. Conclusion: Water and alcoholic AA extracts have an antihyperglycemic and antihyperinsulinemic effect on HFD/STZ diabetic mice. In addition, they decrease IR by reducing leptin and resistin production and increasing adiponectin secretion from adipocytes.

한인진(韓茵蔯)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 송영은;류지성;정주리;곽준수;김대향;김범석;임채웅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6-123
    • /
    • 2001
  • 한인진에 대한 항산화 효과와 항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용매별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여 본 결과 물 추출물에서 18. 1%로 가장 많은 고형분을 얻을 수 있었으며 메탄올, 에탄을 추출물에서는 12. 8%, 12. 6%로 별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는 방법 중 DPPH 소거효과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메탄올 추출물이 $36.2{\mu}g/ml$로 가장 효과 좋았지만, 대두유에 대한 한한인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60^{\circ}C$로 20일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POV)를 측정하여 대두유를 기질로 한 저장시험 에서 1,000ppm 농도의 물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이 저장 기간이 20일 되었을 때 46.8(meq/kg, 50.8(meq/kg)의 과산화물가를 나타내 대조구의 과산화물가 79.1 (meq/kg)에 비해 낮았다. 식품의 부패균이나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세균 4종을 대상으로한 항균실험에서는 추출 용매에 따른 항균력은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좋았으며 세균에 대한 항균력으로는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가장 좋았다. 한인진의 간보호 효과 시험에서는 한인진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V, IV군의 간무게, 체중에 대한 간무게의 비율이 생리 식염수만을 투여한 III군보다는 낮았으나 시료 채취전후로 한인진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V군과 IV군사이에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다. 예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0일간 실험을 실시한 결과 한인진 물추출물만을 단독 투여한 VI군의 체중은 계속 증가하였으나 한인진 물추출물을 계속 투여한 다음 시료 채취전에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VIII군의 간무게, 체중에 대한 간비율이 대조군 VII보다 다소 감소하였다. 병리학적인 소견으로 한인진추출물을 투여 한 군에서는 사염화탄소만 투여한 군보다 간세포의 괴사와 지방적의 축적이 감소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독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