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misia Argyi H.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젖산균으로 발효한 섬애쑥(Artemisia argyi H.)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연구 (Antioxidant Activity Study of Artemisia argyi H. Extract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김지현;김난경;이아영;서원택;김현영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4
    • /
    • 2022
  •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temisia argyi H.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Methods: The A. argyi water extract was fermented us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t 30℃ for 96 h.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pH, total acidity, viable cells, free sugars, free organic acids, and free amino acids contents during fermentation. In addition, we examined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Artemisia argyi H. by measurement of 2,2-diphenyl-1-(2,4,6-trinitrophenyl)-hydrazinyl (DPPH) and 2,2'-azubi-bu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scavenging activities. Results: During fermentation time, pH of fermented A. argyi was decreased from 4.57 to 3.22, and total acidity was increased from 0.39% to 1.63%.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A. argyi was increased from 1.28×107 CFU/ml to 3.75×108 CFU/ml during fermentation time. The free sugars of fermented A. argyi were confirmed glucose and sucrose. In addition, the organic acid content of fermented A. argyi was the highest in oxalic acid and lactic acid. In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content of ornithine increased from 4.4 mg/100 g to 18.8 mg/100 g compared with non-fermented A. argyi. Furthermor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ermented A. argyi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s: In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lactic acid fermentation of A. argyi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for antioxidants.

황해쑥(Artemisia argyi)의 H9 (ATCC HTB176)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Cytotoxicity of Artemisia argyi Extract Against H9 (ATCC HTB 176) Cell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 김경하;정대영;민태진;박시원
    • 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98-605
    • /
    • 1999
  • The hot water and mathanol extracts of Artemisia argyi showed considerable cytotoxicities against H9(ATCC HTB 176) cancer cell with IC50 values of $48.6{\;}\mu\textrm{g}/ml$ and $51.9{\;}\mu\textrm{g}/ml$, respectively. These cytotoxicities were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extract concentrations and culture days. CuZnSOD and MnSOD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ytoplasm and mitochondria fractions of cancer cell, and media in the presence of Artemisia argyi. Such enhanced SOD activities were generally in the range of two to threefolds. In contrast to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were not detected at 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temisia argyi have generated $O_2^-$ in the mitochondria and cytoplasm of H9 cancer cell with concurrent induction of CuZnSOD and MnSOD in situ, which dismutate $O_2^-{\}to{\;}H_2O_2$. Without coordinated actions of catalase and/or glutathione peroxidase $H_2O_2$ is easily converted to very toxic OH and these reactive oxygen species together might have induced necrosis and/or apoptosis of H9 cell.

  • PDF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temisia Argyi H.)

  • 황초롱;서원택;배원열;강민정;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7-385
    • /
    • 2014
  • 본 연구는 남해특화작목인 섬애약쑥의 활용도를 높이고 건강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음건한 섬애약쑥과 일정기간 발효시킨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하고, 물과 에탄올 추출물(30%, 50%, 70%, 100%)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및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수율은 섬애약쑥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29.74%로 가장 높았으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섬애약쑥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72.25 mg/g 및 33.34 mg/g으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섬애약쑥 70% 에탄올 추출물은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beta}$-carotene linoleic 탈색 방지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00{\mu}g/ml$ 농도에서 섬애약쑥 70% 에탄올 추출물이 50.01%로 가장 높았으나 100% 에탄올 추출물은 11.44%로 가장 낮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250{\mu}g/ml$ 농도에서 섬애약쑥 물 추출물이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섬애약쑥은 발효하지 않았을 때 항산화 활성이 더 우수하였으며, 70% 에탄올로 추출할 경우 가장 항산화 효과가 높았다. 또한, 섬애약쑥 추출물은 tyrosinase 및 xanthine oxidase 저해에도 상당한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결과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Anti-oxidant and immune enhancement effects of Artemisia argyi H.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Ji Yun Lee;Ji Hyun Kim;Ji Myung Choi;Hyemee Kim;Weon Taek Seo;Eun Ju Cho;Hyun Young Kim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92-502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immune enhancement activities of Artemisia argyi H.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The fermented A. argyi H. ethanol extract increased scavenging activitie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hydroxyl (·OH), and superoxide (O2-) radicals. Particularly, the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A. argyi H. exhibited higher ·OH and O2-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with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o evaluate the immune enhancement effects of the fermented A. argyi H., mice were fed a normal diet supplemented the fermented A. argyi H. at concentrations of 1%, 2%, and 5%, respectively. The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A. argyi H. dose-dependently increased splenocyte proliferation. In addition, mice fed with 5% fermented A. argyi H. showed enhanced proliferation of T-cells and B-cells, along with increased levels of interferon-γ, interleukin-10, and tumor necrosis factor-α,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Furthermore, mice fed with fermented A. argyi H. exhibited an increase in prominent probiotics such as Akkermansia muciniphila and Lactobacillus in gut microbiota,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fermented A. argyi H.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could be used as a dietary antioxidant and immune enhancement agent.

Antiproliferative Effect of Artemisia argyi Extract against J774A.1 Cells and Subcellular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Changes

  • Lee, Tea-Eun;Park, Sie-Won;Min, Tae-Jin
    • BMB Reports
    • /
    • 제32권6호
    • /
    • pp.585-593
    • /
    • 1999
  •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Artemisia argyi showed significant cytotoxicities against J774A.1 cells but not so much against normal leukocytes. The cytotoxicities were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the incubation time. The concentration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s inhibiting 50% of cell proliferation ($IC_{50}$) were estimated to be 44.2 mg/ml and 71.6 mg/ml,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Artemisia argyi water extract, total superoxide dismutase (CuZnSOD and MnSOD) activities of media, cytoplasmic and mitochondrial fractions of J774A.1 cell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cytotoxicity. MnSOD was found to be the main component of enhanced total SOD activities, particulary in the mitochondrial fraction. In contrast to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were not found in any instance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In addition, substantial amount of $O_2^-$ appeared to be generated in the mitochondrial fraction under the influence of Artemisia argyi. All data put together, it is postulated that Artemisia argyi extracts seem to stimulate $O_2^-$ generation in mitochondria of J774A.1 cells with concomitant increases of SODs. Since $H_2O_2$, the reaction product of SOD on $O_2^-$, is known to be readily converted to very toxic $OH{\cdot}$ in the absence of catalase and/or GPx cooperation, toxicity derived from ROS such as $O_2^-$, $H_2O_2$, and $OH{\cdot}$ may be the main cause of necrosis and/or apoptosis of J774A.1 cells.

  • PDF

항가려움증 활성에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Extracts on Anti-pruritic Activities)

  • 이해진;임현지;임미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92-1301
    • /
    • 2021
  • 본 연구는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의 항가려움증 활성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써 가려움증 관련인자 등을 측정하였다. 섬애약쑥은 열수로 추출(Artemisia argyi H. distilled water extract 이하, AAD)하여 MTT assay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고 항 가려움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L-4와 IL-31 관련 전사인자 발현 및 단백질 생성을 측정하였으며, 히스타민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25, 50, 100 ㎍/㎖의 농도에서는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려움증 연관 유전인자인 IL4의 경우 25 ㎍/㎖의 농도에서 약 12%, 50 ㎍/㎖의 농도에서 약 26%, 100 ㎍/㎖의 농도에서 약 6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IL31의 경우 50 ㎍/㎖의 농도에서 약 33%, 100 ㎍/㎖의 농도에서 약 3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관된 단백질 측정의 경우 각각 50 ㎍/㎖와 100 ㎍/㎖의 농도에서 IL-4는 약 34% 및 약 69%, IL-31은 약 36% 및 약 37%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ADD가 항가려움증을 위한 소재로써 가능성을 보여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섬애약쑥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 김동규;강재란;신정혜;강민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41-125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6종의 용매(butanol, chloroform, ethyl acetate, ethyl ether, hexane, methanol)로 추출하여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검증하였다. 섬애약쑥 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methanol 추출물에서 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butanol 추출물이 높으며, ethyl ether 및 hexane 추출물은 여타추출물보다 그 함량이 낮았다.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FRAP법에 의한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hexane 추출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NO 생성억제능은 비교적 저농도인 $2.5{\mu}g/ml$에서 6종 추출물 모두 확인되었으며, $20{\mu}g/ml$ 농도에서는 ethyl acetate가 가장 활성이 높고 다음으로 butanol 추출물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ROS 생성 억제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20{\mu}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추출물과 butanol 추출물이 다른 4종의 추출물 대비 활성이 높았다. TRAP 염색을 통해 용매별 추출물들의 파골세포 분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6종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분화 억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butanol 추출물에서 분화 억제 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섬애약쑥 용매별 추출물 중 butanol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과 파골세포 분화억제 활성이 모두 높기 때문에 향후 골다공증의 치료 및 예방에 있어서 유효할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산 품종별 쑥의 항산화 및 암세포성장 억제활성 (Antioxidant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Five Different Varieties of Artemisia Cultivars in Korea)

  • 김라정;강민정;황초롱;정우재;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44-851
    • /
    • 2012
  • 섬애약쑥, 인진쑥, 약쑥, 강화사자발쑥 및 개똥쑥 열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5종의 쑥 추출물 중 총 페놀 함량은 인진쑥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섬애약쑥, 개똥쑥, 약쑥 및 강화사자발쑥 순이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인진쑥이 가장 높았고, 섬애약쑥은 인진쑥과 유의차가 없었다.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50 ${\mu}g/ml$ 농도에서 섬애약쑥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NO 라디칼 소거능은 200 ${\mu}g/ml$ 농도에서 약쑥, 강화사자발쑥 및 개똥쑥이 약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시료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FRAP법에 의한 항산화능은 섬애약쑥 및 인진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beta}$-carotene 존재 하에서의 항산화능 또한 섬애약쑥 및 인진쑥이 100 ${\mu}g/ml$ 농도에서 5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400 ${\mu}g/ml$ 농도에서 인체 자궁경부 상피암 세포인 HeLa의 증식억제 활성은 인진쑥이 80% 이상으로 활성이 높았고, 유방암 세포인 MCF-7의 대해서는 강화사자발쑥과 섬애약쑥이 80% 이상의 증식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쑥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항산화 활성은 ascorbic acid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vitro 시스템에서 남해 약쑥(Artemisia argyi H.)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from the Different Parts of Artemisia argyi H. using an in vitro System)

  • 하기정;정창호;정희록;허호진;손길만;노치웅;김낙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109-117
    • /
    • 2011
  • 남해 약쑥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각 부위별 6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In vitro 시스템에서 조사하였다. 남해약쑥의 부위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잎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23.08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남해 약쑥의 부위별 60% 에탄올 추출물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잎에서 가장 높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도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도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부위보다 잎에서 가장 높은 자동 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MDA assay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일부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잎 $200{\mu}g/mL$ 농도에서 71.38%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남해 약쑥 잎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바탕으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황해쪽 물분획물의 L1210세포에 대한 세포독성과 항산화효소 활성변화 (Cytotoxicity of Water Fraction of Artemisia argyi against L1210 Cell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 박시원;정대영
    • 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9-46
    • /
    • 2002
  • The water fraction exhibiting anticancer activity was prepared from 70% methanol extract of Artemisis argyi by stepwise solvent partioning. This water fraction(5 $\mu$g/ml concentration) showed a considerable cytotoxicity against leukemic L1210 cells with a maximal value of 92% for 3 days culture. Contrastingly to such substantial anticancer activities the identical fraction showed far low toxicity against normal lymphocytes than chloroform fraction of Artemisia argyi mitomycine and 5-fluorouracil at every concentration ranging 0.01$\mu$g/ml~10.00$\mu$g/ml. The cytotoxicity displayed against L1210 cells by the water fraction of Artemisia was found to be proportinal to the decrease of viability of L1210 cells. On the other hand, $O_2$ion generation in L1210 cells appeared to be elevated in accordance to cytotoxicity by the water fraction with concurrent increases of superoxide dismuat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conversion of $O_2$ ion and $H_2O$$_2$ respectively These findings taken together indicate that the death of L1210 cells by the water fraction of Auemisia atgyi, may be induced at least in part by the detrimental a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cluding $O_2$- in spite of substantial extorts of SOD and GPx to overcome the attack of R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