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gument Principl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초

기록관리 원칙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담론 분석 출처주의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iscourses o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Principle of Provenance in Archival Organization)

  • 설문원
    • 기록학연구
    • /
    • 제52호
    • /
    • pp.59-117
    • /
    • 2017
  • 이 연구는 보존기록관리 원칙인 출처주의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담론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주장의 근거와 배경을 구조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출처주의 담론 영역을 구분하였다.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오랫동안 실무적으로 채택되어온 방법론이 네덜란드 매뉴얼을 통해 명문화된 1898년 이후 출처주의 담론의 흐름을 대체로 정립, 확산, 전환, 확장 해체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별로 핵심 담론을 살펴보았다. 둘째, 출처주의 담론 분석에 맞도록 논변 모형을 설계하였다. 툴민의 논변 모형과 던의 정책논변 모형을 참고로 하되 출처주의 담론 분석에 적합한 요소들을 결합하여 모형을 재설계하였다. 셋째, 각 영역의 핵심 담론별로 출처주의에 관한 영어권 저자들의 논문과 저서를 일차적으로 조사하여 선별하고 각 논저에 나타나는 인용논문을 추가하는 방법으로 담론텍스트를 뽑아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각 영역별로 논변 모형을 제시하였다.

귀납추론에 토대한 직설법적 조건문 (Indicative Conditionals Based on Inductive Reasoning)

  • 이병덕
    • 논리연구
    • /
    • 제17권1호
    • /
    • pp.197-217
    • /
    • 2014
  • 필자는 이전의 여러 논문들에서 이른바 '논란 없는 원리'가 귀납 추론에 토대한 직설법적 조건문과 관련하여 성립하지 않음을 주장했다. 왜냐하면 귀납추론에 토대한 직설법적 조건문 '$A{\rightarrow}_iC$'가 질료적 조건문 '$A{\supset}C$'를 논리적으로 함축함을 받아들이면, 'A'라는 가정 하에서 'C'를 단언적으로 주장하는 경우와 단지 'C'가 참일 개연성이 높음을 주장하는 경우를 구분할 수 없게 되는 부조리한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은석 교수는 그의 최근 논문 "논란 없는 원리와 귀납논증"에서 논란 없는 원리에 관한 필자의 주장이 성공적이지 않다고 비판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양 교수의 비판이 필자의 논점과 무관함을 주장한다.

  • PDF

Stability of Time Delay Systems Using Numerical Computation of Argument Principles

  • Suh, Young-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1권1호
    • /
    • pp.127-133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 new numerical method to check the stability of a general class of time delay systems. The proposed method checks whether there are characteristic roots whose real values are nonnegative through two steps. Firstly, rectangular bounds of characteristic roots whose real values are nonnegative are computed. Secondly, the existence of roots inside the bounds are checked using the numerical computation of argument principles. An adaptive discretization is proposed for the numerical computation of argument principles.

'부당한 연역 논증'은 형용모순인가? (Is 'invalid deductive argument' an Oxymoron?)

  • 홍지호;여영서
    • 논리연구
    • /
    • 제22권1호
    • /
    • pp.151-182
    • /
    • 2019
  •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을 구분하는 실현 기준에 따르면, 전제와 결론 사이에 실현된 뒷받침 관계가 필연성일 경우에만 연역 논증이다. 이 경우 '부당한 연역 논증'은 형용모순을 저지르는 표현이 된다. 이와 달리 전제와 결론 사이에 의도된 뒷받침 관계를 구분 기준으로 삼는 것은 의도 기준인데, 이에 따르면 '부당한 연역 논증'은 형용모순이 아니다. 우리는 의도 기준을 옹호하는데, 실현 기준은 생략 논증을 연역 논증이나 귀납 논증 중 한 쪽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의도를 참조해야 한다는 난점, 또 나쁜 논증과 논증이 아닌 명제들의 집합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난점을 지니기 때문이다. 의도 기준 역시 논증 제시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지만, 그것은 자비의 원리에 호소하면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결론에 대한 신념이나 논증 제시자의 성향을 나타내는 표현을 논증 제시 의도와 구분함으로써 우리는 의도 기준이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무지로부터의 논증, 모두 오류인가? (Is Every Argument from Ignorance Fallacious?)

  • 송하석
    • 논리연구
    • /
    • 제13권2호
    • /
    • pp.61-82
    • /
    • 2010
  • X가 참(거짓)이라는 사실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무지전제로부터 X는 거짓(참)이라는 지식결론을 추론하는 논증을 일반적으로 무지로부터의 논증이라고 하는데, 코피 등을 비롯한 많은 논리학자들은 이를 오류 논증의 하나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무지로부터의 논증처럼 보이지만 오류논증이 아니고 설득력 있는 받아들일 만한 논증은 사실은 무지로부터의 논증이 아니고, 조건적 지식전제가 암암리에 포함된 논증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주장에 반대해서 모든 무지로부터의 논증은 암암리에 조건적 지식전제가 포함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또 모든 무지로부터의 논증이 다 오류는 아니라는 점을 논증한다. 무지로부터의 논증 형식을 지닌 논증 중에서 오류논증과 그렇지 않은 논증의 기준을 제시하고, 특히 실천논증의 경우, 사회적 맥락이 오류논증과 설득력 있는 논증을 가르는 중요한 기준임을 논증한다.

  • PDF

A Note on the Invariance Principle for Associated Sequences

  • Kim, Tae-Sung;Han, Kw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22권2호
    • /
    • pp.353-359
    • /
    • 1993
  • In this note we consider other type of tightness than that of Birkel (1988) and prove an invariance principle for nonstationary associated processes by an application of the central limit theorem of Cox and Grimmett (1984), thus avoiding the argument of uniform integrability. This result is an extension to the nonstationary case of an invariance priciple of Newman and Wright (1981) as well as an improvement of the central limit theorem of Cox and Grimmett (1984).

  • PDF

칸트의 인과율 증명 (Kant's Proof of the Causal Principle)

  • 배정호
    • 철학연구
    • /
    • 제147권
    • /
    • pp.215-237
    • /
    • 2018
  • 이 논문은 칸트가 "순수이성비판" 제2판 "경험의 유추들" 중 제2유추"에서 개진한 인과율 증명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이 증명과 관련된 칸트의 진술을 길잡이로 삼아 제2유추"의 인과율 증명을 단 하나의 통일적이고 타당한 선험적 증명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논문의 내용은 해당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다음의 주장들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1. 제2유추"의 증명 대상은 보편 인과원리로서의 인과율이다. 다시 말해 여기서 증명되는 것은 모든 변화는 어떤 원인을 갖는다는 것만 말해 줄 뿐, 그 원인이 무엇인지는 말해 주지 않는 인과율이다. 2. 증명의 목표는 인과율에 따른 객관적인 시간적 잇따름의 가능성이다. 달리 말해 인과율 없이는 모든 변화의 시간 순서에 대한 객관적 규정이 불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증명은 크게 보아 두 단계로 이루어진 하나의 논증 구조를 갖고 있다. 첫 단계는 분석적 증명으로서 객관적 변화에 대한 지각의 분석을 통해 인과율이 이 지각된 변화의 객관성을 위한 필요조건임을 증명한다. 이때 객관적 변화와 그것에 대한 지각의 가능성은 전제되어 있다. 이 전제는 둘째 단계에서 정당화된다. 둘째 단계는 종합적 증명으로서 객관적 변화와 그것의 경험적 인식 가능성을 이 가능성의 아프리오리한 조건들인 시간의 형식적 성질과 지성의 필연적인 종합 규칙(인과율)로부터 도출한다. 4. 칸트는 스트로슨의 비판과는 달리 지각 잇따름의 필연적인 규정성으로부터 상태 잇따름의 객관적(인과적) 규정성을 직접적으로 추론하는 것이 아니라, 부가적인 전제(지각 잇따름의 규정성은 지성의 아프리오리한 종합 규칙에 근거한다는 전제) 아래서 그렇게 한다. 따라서 칸트의 증명은 스트로슨이 비판한 '불합리한 추론'에 근거하고 있지 않다.

비비례감쇠 시스템의 고유치해석에 필요한 누락고유치 검사기법 (Checking Techniques for Missed Eigenvalues of Nonproportionally Damped System)

  • 정형조;조지성;김병완;이인원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48-951
    • /
    • 2004
  • This paper introduces the two recently developed checking techniques far missed eigenvalues of nonproportionally damped system. The first technique is based on the argument principl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ne is based on Rombouts' algorithm and Gleyse's theorem, which has been known as the effective and well-proven method. In the paper, the main features of the two techniques are explained and their effectiveness is also investigated by considering a numerical example.

  • PDF

Therapeutic Functor that calls semantic Argument -Focusing on the compound nouns in Sijo

  • Park, In-Kw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5권3호
    • /
    • pp.35-39
    • /
    • 2017
  • The human body is structured as sentence of healing.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echanism of healing works in the human body by the narrative relation of functor and argument. So, we predict the way of extreme healing by literary or human narrative.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principle that the emotional and semantic arguments are called by the functor set by the sentences containing the fingerprints of mind in Gosijo and the mechanism of healing works extensively. We analyze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from the narrative of the literary to the narrative of the human body. Thus, the barcode of the healing, which is made up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or of the literature and the argument, is transferred to the human body and it is judged that the fingerprint of the human mind is operated through the stage of encoding and re-encoding due to the action potential. In addition, it was predicted that the neurotransmitters such as dopamine and the secretion of hormones would be promoted and the healing level would be increased. In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function of argument and functor which contains the fingerprint of the mind in the third sound step on the last sentence of Gosijo is transferred to the human body and is especially heavily focused and operate with healing.

EXISTENCE AND ASYMPTOTIC STABILITY OF SOLUTIONS OF A PERTURBED FRACTIONAL FUNCTIONAL-INTEGRAL EQUATION WITH LINEAR MODIFICATION OF THE ARGUMENT

  • Darwish, Mohamed Abdalla;Henderson, Johnny;O'Regan, Donal
    • 대한수학회보
    • /
    • 제48권3호
    • /
    • pp.539-553
    • /
    • 2011
  • We study the solvability of a perturbed quadratic functional-integral equation of fractional order with linear modification of the argument. This equation is considered in the Banach space of real functions defined, bounded and continuous on an unbounded interval. Moreover, we will obtain some asymptotic characterization of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