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 wir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초

토오크 양에 따른 세라믹 브라켓의 파절 저항성 (Fracture resistance of ceramic brackets to arch wire torsional force)

  • 한정흠;장민희;임용규;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93-30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쓰이는 수종의 치과교정용 세라믹 브라켓에 교정용 호선으로 토오크 적용 시 파절에 저항하는 정도를 비교하고 그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022\;{\times}\;028-inch$ slot을 가진 상악 중절치 세라믹 브라켓에 $0215\;{\times}\;027-inch$ 스테인레스 강 교정용 호선에서 발생하는 설측 치근 토오크를 적용시켜 각 15개씩 7종의 브라켓을 시험하였다. 파절 시험용 장치를 제작하고 토오크 각도를 증가시키면서 만능시험기로 세라믹 브라켓이 파절되는 순간의 토오크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세라믹 브라켓의 파절 양상을 알아보고자 토오크 값 측정 후 파절이 일어난 부위를 관찰하고 그 위치를 기록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파절면을 관찰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세라믹 브라켓의 결정구조와 제조 방법이 파절 저항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결정 알루미나 (Inspire) 브라켓이 InVu를 제외한 다결정 알루미나 브라켓에 비하여 토오크에 대한 파절 저항성이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 (p < 0.05). Metal slot이 삽입된 브라켓은 그렇지 않은 브라켓과 토오크에 대한 저항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05). 파절 양상에 관한 관찰에서는 metal slot이 있는 다결정 알루미나 브라켓인 Clarity는 모두 절단측 slot base에서 부분적으로만 파절이 일어났고 다른 종류의 브라켓들은 다양한 부위에서 파절이 일어났다. 본 연구 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세라믹 브라켓에서 파절이 일어난 순간의 토오크 값과 토오크 각은 실제로 상악 중절치의 치근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토오크보다 큰 것이었으므로, 실제 임상 치료 시 적절한 파절 저항을 나타낼 것으로 보였다.

인공타액하에서 교정선과 Bracket간의 마찰력에 대한 연구 (FRICTIONAL FORCES BETWEEN ORTHODONTIC WIRE AND BRACKET UNDER ARTIFICIAL SALIVA)

  • 고정석;양규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3
    • /
    • 1988
  •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bracket and arch wire may impede the tooth movement.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wire size, type of ligation, and duration of ligation on the magnitude of frictional force between cobalt chromium wire and stainless steel bracket under the artificial sali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ype of ligation and size of wire were the main influencing factor on the level of friction. 2. Stainless steel ligature generated higher frictional forces than elastomeric module. 3. The rectangular wire consistently exhibited more frictional force values than round wire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ictional forces of round wires. 4. In elastic ligature, frictional force decreased with time. 5. Artificial saliva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cobalt chromium wire and bracket.

  • PDF

상악견치 후방견인시 저항원 조절을 위한 MAS(Molar Anchoring Spring)의 초기 응력분포에 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N THE INITIAL STRESS DISTRIBUTION OF THE MOLAR ANCHORING SPRING(MAS) DURING RETRACTION OF THE MAXILLARY CANINE)

  • 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1-348
    • /
    • 1996
  • 저자는 마찰견인법으로 상악견치 후방견인시 저항원상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근심 경사된 구치를 직립시키는 Molar Uprighting Spring의 작용기전을 응용하고 마찰견인법의 장점을 이용하여 임상적으로 사용이 용이하며 저항원상실이나 견치의 조절되지 못한 경사이동(uncontrolled tipping)등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치인 Molar Anchoring Spring(MAS)을 고안하였다. MAS를 임상에 적용한 결과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이에 장치를 소개하며 MAS의 저항원 조절능력과 견치의 이동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탄성 모형을 제작한 후 주호선에 diameter 0.009" lumen size 0.030" NiTi closed coil spring만을 장착하여 250gm의 견인력이 발생하도록 한 경우와, 같은 NiTi closed coil spring으로 동일한 견인력 이 발생하도록 하고 .017" X .025" TMA wire로 $60^{\circ}$의 tip-back bend를 부여하여 수직교정력이 60-70gm이 되도록 제작한 MAS를 제1대구치 auxiliary tube에 삽입하고 견치 전방에 걸어준 경우를 비교실험 하여 견치견인시 초기응력분포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호선(main arch wire)에 저항원 조절을 위한 조치없이 견치에 수평견인력만을 가했을 때 구치부에 심한 저항원상실은 물론 견치의 원심이동양상도 조절되지 못한 경사이동(uncontrolled tipping)으로 나타났다. 2. 구치부의 저항원 조절을 위해 사용한 MAS는 견치의 원심이동 초기에 구치부 저항원 조절효과와 견치의 정출없는 조절된 경사이동(controlled tipping)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로 나타났다.

  • PDF

치근 부착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분포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Strain Distribution Using Strain Gauge Attached On Root Surface)

  • 김상철;박규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5-333
    • /
    • 2001
  • 바람직한 교정치료는 최적의 교정력을 치아에 가하여 정확하게 치아이동을 조절하고 예측함에 따라 가능해진다. 치관에 힘과 모멘트가 동시에 적용될 때 그 비율(M/F ratio)에 따라 치주인대에 나타나는 응력 분포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른 회전중심의 위치가 변하게 되는데 이런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정확한 치아이동을 조절하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력에 따른 치주인대 및 치조골 부위에서의 응력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악 중절치 치근 8부위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한 인공 치아를 광탄성 레진에 매식한 4mm 정중이개 증례의 상악 전치부 실험모형을 제작하여 응력 분포를 조사하였다. 폐쇄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1. 금속 호선의 삽입 없이 100g의 힘을 발휘하는 elastomeric chain만 사용한 경우, 2. .016" 금속호선을 삽입하고 elastomeric chain을 사용한 경우, 3. .016“x.022” 금속호선을 삽입하고 elastomeric chain을 사용한 경우. 각각의 경우에서 치근의 근심면, 원심면 및 순면, 설면에 나타나는 응력을 계측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근 부착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분포 조사 방법으로 치아이동시 치근의 근 원심면 및 순 설면에서의 응력 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모멘트 팔의 형성을 추정함으로써 치아의 회전양상을 알 수 있었다. 2. 호선없이 교정력을 적용한 경우 정출 및 경사이동이 컸으며 호선 적용에 따라 압하 및 치체이동 양상을 보이는 것을 응력 분포 파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한국인(韓國人)의 Bracket base (in-and-out) 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F BRACKET BASE (IN-AND-OUT) IN KOREAN)

  • 양재우;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5-361
    • /
    • 1990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finish the design of the adequate preadjusted bracket in Korean. The labio-lingual & bucco-lingual width of tooth & in-and-out of the bracket base was studied in normal occlusion of 17 males & 17 femal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in-and-outs of the bracket base in Korean were obtained (table 2). 2. The in-and-outs of the premolar & molar were no significant due to variation according to arch wire shape in clinical practice, so the more adjustment of arch wire was required. 3. The more amount of offset was required at lateral-canine offset than at central-lateral offset in 1st order bending, due to difference of the in-and-out. 4. The degrees of the anti-rotation in molar were obtained (table 3).

  • PDF

선부자를 적용한 하악골 골절환자의 치주조직에 기능성 치약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INGIVAL GEL ON PERIODONTIUM IN MANDIBULAR FRACTURE PATIENTS APPLIED BY ARCH BAR)

  • 김선민;김경욱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2호
    • /
    • pp.125-130
    • /
    • 2009
  • For many years, intermaxillary fixation using arch bar has been operated in treatment of mandibular fracture patients. But it has many complications including injury of operators and assistants cause by wire, inflammation of periodontium. For that reasons alternatives are required; osteosynthesis technique using mini plate, intermaxillary fixation using IMF screws have been available. Treatment by arch bar fixation, however, is still valuable to treat craniomaxillary fractur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effect arch bar on periodontium and influence gingival gel on periodontium applied by arch bar. 40 mandibular fracture patients are monitored. 30 patients were applied by arch bar, 10 patients were not. And the former were classified by 3 categories; Nano vitamin and Mastic gel were applied to 10 patients respectively and any gingival gel was not used to 10 patients. Clinical attachment level, bleeding on probing and periodontal depth of each group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operation and on 2 weeks and 6 weeks after operation.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analyze result which leads to this conclusion. 1. Whether arch bar is applied or not, treatment of mandlbular fracture gave rise to gingivitis, but 6 weeks after operation, gingivitis is restored to the same level as the state before operation. 2. More severe gingivitis appeared when arch bar is applied to mandibular fracture than when it is not. 3. Both gingival gel used in this study can reduce gingivitis which can be caused by arch bar. 4. In this study, Mastic gel is more effective for prevent gingival inflammation cause by arch bar than nano vitamin. In regard to this result, gingivitis is considered to be available because it is reversible and does not induce periodontal disease. Gingival gel is regarded to be helpful for patients applied by arch bar to feel less discomfort.

TiN피막 처리된 교정 장치물의 마찰 저항력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NON-ION PLATED AND TiN ION PLAT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 장시호;권오원;김교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71-691
    • /
    • 1993
  • To estimate the possibility in the application of TiN ion-plating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this study investigated frictional force and frictional coefficient between non-ionplated and TiN ion-plat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For each group,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metal bracket and arch wire in the wet condition was exhibited lower than that in the dry condition. 2. In the dry condition, the frictional force was lowest with fourth group, and it increased in the order of the 3rd, 1st, and 2nd group. Same situation happened in the wet condition. 3. Experimental results using ceramic & plastic bracket showed that group B was lower than group A, and group D was similar to group C. 4. The surface texture after experiment showed that the scratch due to a friction with bracket was observed in an arch wire of dry contition. Also the surface of bracket was rougher than before. 5. We observed that a specimen surface processed with the TiN ion plating was smoother than that of without the TiN ion plating. 6. The surface texture of a metal bracket and an arch wire in the wet condition was observed smoother than that in the dry condition. 7. In the dry conditio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each specimen was very similar to each other, but in the wet conditio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specimen processed with the TiN ion plating showed lower values.

  • PDF

교정용 브라켓과 강선 사이의 운동마찰저항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dynamic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orthodontic bracket and arch wire)

  • 이재환;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67-477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호선으로 유도되는 치아이동을 실험실에서 실험하는 동안 브라켓과 선재의 운동 마찰저항에 대한 브라켓 수, 브라켓 폭경, 선재 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상악 제 1, 2소구치, 제 1대구치와 유사한 크기의 레진 치아를 사용하였으며, 치주인대와 탄성계수가 비슷한 폴리 에테르 인상재를 사용하였다. 스테인레스 스틸 트윈 에지와이즈 브라켓으로 좁은 폭경 (2.4 mm), 중간 폭경 (3.0 mm), 넓은 폭경 (4.3 mm)을 사용하였으며, 강선으로는 0.016, 0.018, $0.016\;{\times}\;0.022,\;0.019\;{\times}\;0.025$인치의 굵기를 사용하였고, 결찰은 합성고무링을 이용하고, 제1소구치에 부착된 좁은 폭경 브라켓 1개, 제 1, 2소구치에 부착된 2개의 중간 폭경 브라켓 및 제 1, 2소구치와 제 1대구치에 부착된 3개의 중간 폭경 브라켓과 각 강선 사이의 운동 마찰저항력을 계측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좁은 폭경, 중간 폭경, 넓은 폭경 세 종류의 브라켓 모두에서 교정용 선재의 단면 크기가 증가할수록 마찰저항력도 증가하였다. 2. 0.016, 0.018인치 원형 강선은 브라켓 폭경이 증가하면 운동마찰저항력은 감소하며, $0.016\;{\times}\;0.022,\;0.019\;{\times}\;0.025$인치 각형 강선은 브라켓 폭경이 증가하면 운동마찰저항력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0.016인치 원형 강선과 폭경이 다른 브라켓과의 운동마찰저항력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3. 중간 폭경 브라켓의 수가 증가할수록 마찰저항력은 크게 나타났으며, 그 증가율은 브라켓의 수에 비례하였으나 정수배로 증가하지는 않았고 강선의 굵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