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achnid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진도의 거미상

  • 김주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16-25
    • /
    • 1995
  • 1994년 9월 8일부터 11일까지 전라남도 진도에서 거미류를 채집한 결과 2 종의 한국미기록종을 포함하여 12과 37속 60종을 동정하였기에 보고한다.

  • PDF

Fine Structure of the Neuroganglia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the Harvestman Leiobunum japonicum (Arachnida: Opiliones)

  • Park, Yong-Ki;Gu, Hye-Yoon;Kwon, Hyun-Jung;Kim, Hoon;Moon, Myung-Jin
    • Applied Microscopy
    • /
    • 제48권1호
    • /
    • pp.17-26
    • /
    • 2018
  •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arachnid central nervous system (CNS) are related to its body segmentation, and the body in the Opiliones appears to be a single oval structure because of its broad connection between two tagmata (prosoma and opisthosoma). Nevertheless, structural organization of the ganglionic neurons and nerves in the harvestman Leiobunum japonicum is quite similar to the CNS in most other arachnids. This paper describes the fine structural details of the main groups of neuropiles in the CNS ganglia revealed by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n particular, electron-microscopic features of neural clusters in the main neuroganglia of the CNS (supraesophageal ganglion, protocerebral ganglion, optic lobes, central body, and subesophageal ganglion) could provide indications for the nervous pathways associated with nerve terminations and plexuses. The CNS of this harvestman consists of a supraesophageal ganglion (brain) and a subesophageal mass, and there are no ganglia in the abdomen. Cell bodies of neuroganglia are found in the periphery, but central parts of the ganglia are mostly fibrous in all ganglia. Neuroglial cells occupy the spaces left by nerve cells. Since the nerve cells in the ganglia are typical composed of monopolar neurons, axons and dendrites of neurons are distributed along the same direction.

오대산 일대에 서식하는 열목어와 산천어의 식성 (Stomach Contents of the Manchurian Trout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nd River Salmon (Oncorhynchus masou masou) in the Odae Mountain)

  • 윤희남;김기동;전용락;이중효;박영준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0-105
    • /
    • 2013
  • 강원도 오대산 일대에 서식하는 열목어와 산천어의 식성을 분석하기 위해 계방천과 양양남대천에서 2012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봄, 여름, 가을로 나누어 채집조사를 수행하였다. 열목어와 산천어의 소화관 내용물을 실내에서 분석한 결과, 열목어의 먹이생물 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5목 23과 39종과 육상곤충류 11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645개체(열목어 1개체 당 먹이생물 평균 36개체)로 나타났고, 먹이생물의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는 육 상곤충류 37.0%,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인 날도래목(Trichoptera) 36.4%,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20.0%, 파리목(Diptera) 3.9%, 강도래목(Plecoptera) 2.7%, 연가시목(Gordea) 0.1%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산천어의 먹이생물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4목 20과 33종과 거미류를 포함한 육상곤충류 6분류군으로 총 1,186개체(산천어 1개체당 먹이생물 평균 66개체)였으며, 먹이생물의 IRI (%)는 거미류를 포함한 육상곤충류 2.7%, 하루살이목 52.9%, 날도래목 27.9%, 파리목 9.4%, 강도래목 7.0%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열목어와 산천어 모두 육상곤충류와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을 두루 섭식하는 강한 육식성어류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유사한 서식환경을 선호하는 열목어와 산천어는 같은 시기에 같은 목의 먹이를 중요먹이로 섭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먹이원 구성 종에 있어서는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