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able hilly soil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신개간 및 기경작 초지토양간 목초의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 비교 III. 인산 사용에 따른 토양특성, 목초의 초기 생육, 수량 및 무기양분 함량 변화 (Comparisons of the Forage Productivity and Mineral Contents between the Newly Reclaimed and Arable Hilly Soils III. Changes in the soil properties, seedling vigour, yield, and mineral contents of forage by phosphorus application)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22
    • /
    • 2003
  • 동일한 토양종류(토양명: 송정통)에서 서로 인접한 신개간 및 기변작 초지토괴간 비파저 특성의 차이와 시비처리별 orchardgrass 목초의 초기생육상, 수양과 부기양분 함량의 차이를 비교 . 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금지토양의 비담도 개량과 크게 연관된 자비(I보), 석회(II보) 및 인산(III보)의 시용 효과를 단계별로 검토하였다. 본 III보에서는 질소, 가리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인산 무비구($P_{0}$; control), 2) 인산 보비구($P_1$; 1.25g), 3) 인산 배비구($P_2$; 2,50g), 4) 인산 다비구($P_3$; 3.75g $P_2$$O_{5}$ pot)를 처리 내용으로 한 두 토양간 인산의 비효를 비교.검토하였다. 1. 시험전 신개간 및 기경작 초지토양간 토양의 화학성(비담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초지토양 비담도 등금기준(불량-보통-양호)에 기준 한 각 화학성을 대비하여 보면 일반적으로 신개간 토양은 불량~보통, 기경작 초지토괴은 보통~양호 수준을 보였다. 2. 기경작 토양보다는 신개간 토양에서 인산시비량 증가에 따른 뮤효인산의 함량 증가가 뚜렷하였고, 이 특성은 기비와 병행 시비를 한경우 더 긍정적이였고, 석회와 병행 시비를 한경우는 오히려 부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기경작 토양에서논 신개간 토양에 비해서 인산 시비량 증가에 따른 유효인산 함량 증가폭이 경미하였고, 석광의 부정적 효과는 더 경감되었다. 3. 신개간 토양에서 연초의 초기생육상과 수양성은 기경작 토양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불량하였고, 특히 인산 무비구($P_{0}$ )에서는 목차의 정착과 수양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이는 인산 시비로 개선되었으나 시비된 수준간 차이는 경미하였다. 신개간 토양에서 철비와 병행 시비를 한 경우 이들 특성이 더 양호하였으며, 인산 무비구(P$_{0}$)의 불량한 초기생육상과 수양성은 크게 개선되었다. 반면에 기경작 토양에서는 인산 무비구($P_{0}$ /)에서도 이들 특성들이 양호하였으며 인산 시비수준간 차이는 경미하였다. 4. 기경작 토양은 신개간 토양보다 목초 중 무기양분 Ca, Mg 및 P 함량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그러나 K 함량은 두 토양간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획비와 병행 시용 한 경우 신개간 토양에서만 목초 중 Mg과 P 함량이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다.

신개간 및 기경작 초지토양간 목초의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 비교;1. 퇴비 시용에 따른 토양특성, 목초의 초기생육, 수량 및 무기양분 함량 변화 (Comparisons of the Forage Productivity and Contents of Mineral Nutrients between the NeOy Reclaimed and Arable Hilly Soils;I. Changes in the soil properties, vigour at early growth, yields, and mineral nutrients of forages as affected by compost application)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9-76
    • /
    • 2002
  • 동일한 토양명(송정통)을 갖는 인접한 토양에서 신개간 토양과 다소 숙전화 된 기경작 초지토양간의 비옥도 특성과 시비처리별 목초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차이를 비교.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초지토양의 비옥도 개량에 필수적인 퇴비(I보), 석회(II보) 및 인신(III보)의 시용효과를 단계별로 비교.검토하였다. 본보에서는 3요소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무퇴비구, 2) 퇴비시용구(1,200kg/10a기준)를 처리내용으로 한 두 토양간 퇴비의 비효를 비교.검토하였다. 1. 시험전 두 토양간 토양의 화학성(비옥도) 에 큰 차이를 보였다. 초지토양 비옥도 등급기준(불량-보통-양호)에 기준 한 두 토양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면(신개간지 토양 ↔ 기경작 초지토양); pH, Ca과 Mg 함량은 불량 ↔ 보통, 유효인산 함량, 염기포화도 및 염기비는 불량 ↔ 양호, K 함량은 보통 ↔ 양호, 인산 흡수계수는 양호 ↔ 양호, 양이온치환용량은 불량 ↔ 약간불량 수준을 보였다. 시험 후 유효인산 함량은 두 토양 공히 무퇴비구보다 퇴비 시용구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개량효과가 높았다. 신개간지 토양에서 퇴비 시용으로 CEC상승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2. 목초의 초기 생육상은 신개간 토양보다 기경작 초지토양에서 매우 양호하였으며, 초기 생육상에 미치는 퇴비의 시용 효과는 신개간 토양에서 크게 나타났고, 반면에 기경작 초지토양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무퇴비구에서 기경작 초지토양의 목초수량이 신개간 토양보다 50.9% 더 높은 목초 생산성을 보였다. 신개간지는 퇴비 시용으로 17.1% 증수하였고, 반면에 기경작 초지는 7.6% 증수효과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신개간지 토양에서 퇴비의 시용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4. 기경작 초지토양의 목초 중 Ca, Mg, P 함량이 신개간 토양의 목초 중 함량보다 확연히 높았으나 K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했다. 신개간지 토양의 목초 중 Mg과 P 함량은 무퇴비구 보다 퇴비시용구에서 약간 높은 함량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