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eous extracts

검색결과 754건 처리시간 0.056초

양송이버섯 재배 후 폐상퇴비의 효과 분석 및 분리 미생물의 특성 (Characteristic of Microorganism and Effect Analysis of Spent Mushroom Compost after Cultivation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 이찬중;윤형식;정종천;전창성;김승환;이순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3-131
    • /
    • 2009
  • 양송이버섯 재배 후 폐상퇴비의 효율적인 재활용과 친환경 자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작물과 식물병원균에 미치는 영향을 미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폐상시기별로 폐상퇴비내 미생물상은 농가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형광성 Pseudomonas속, 내열성 세균, 방선균 등 다양한 미생물이 분포하였고, 특히 버섯에는 병원균으로 작용하지만 식물병원균에는 길항균으로 사용되고 있는 Trichoderma 속이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폐상퇴비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여러가지 채소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농가마다 채취한 폐상퇴비 중에 항균력을 가지는 미생물의 분포는 달랐지만 분리균의 상당수가 검은무늬병(Alternaria brassicicola), 역병(Phytophthora melonis, Phytophthora capsici),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등에는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또한 분리 미생물 중 45.8%가 고추 근권에 정착하는 능력을 보였고, 이들 중 5.8%는 $5{\times}10^2cfu\;root^{-1}$ 이상 정착 능력을 보였다. 미생물처리시 균주의 62.7%가 고추 생장을 촉진시켰고, 뿌리 또한 무처리에 비해 생장이 왕성하였다. 폐상퇴비 추출물의 고추 종자 발아 및 생육정도를 조사한 결과 양송이버섯을 정상적으로 수확하고 폐상한 퇴비는 고추의 발아에 전혀 지장이 없었지만 버섯을 거의 수확하지 못한 폐상퇴비의 경우 고추의 발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포트시험 결과도 버섯을 거의 수확하지 못한 폐상퇴비를 처리한 경우 고추의 발아 및 생육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폐상퇴비를 멸균 및 비멸균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폐상시기에 관계없이 멸균시료에 비해 비멸균 시료에서 고추의 생육이 왕성하였다.

오디(Mulberry) 추출물의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B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Extracts)

  • 이상극;이학주;강하영;최돈하;조현진;이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05-113
    • /
    • 2009
  • 동결 오디(Mulberry) 10 kg을 80% 에탄올(EtOH)로 추출하고 분획깔때기 상에서 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OAc) 및 물 가용부로 분획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22 g)를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MeOH-$H_2O$ (2 : 1~1 : 3, v/v)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셀룰로오스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로 확인한 후 $^1H-$, $^{13}C$-NMR 등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를 구명하였고 FAB 및 EI-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오디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에서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화합물 1), protocatechuic acid (화합물 2), p-hydroxybenzoic acid (화합물 3)을 단리할 수 있었다. 항산화 시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와 물 가용부에서 BHT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TT assay에 의한 세포생존율 측정결과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백활성 및 항암활성은 낮았지만 세포신장 효과가 우수하여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 충분히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한국산 겨우살이의 산화적 DNA 손상 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 of Korean mistletoes on the oxidative DNA damage)

  • 이소진;이미경;최근표;김나영;노성규;허문영;김종대;이현용;이진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9-96
    • /
    • 2003
  • 기주목(상수리나무, 밤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별 겨우살이 ethanol추출물과 5가지 분획물 (hexane fr., chloroform fr., ethyl acetate fr., butanol fr., aqueous fr.)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DPPH를 이용한 수소전자공여능, DNA에 대한 산화적 손상 및 손상억제 효과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comet assay를 실시하였다. 4종의 한국산 겨우살이의 ethanol추출물과 분획물 중 ethyl acetate fr.들이 높은 수소전자공여능을 보였다. Comet assay분석에서 head DNA의 형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tail DNA의 생성을 억제하는 겨우살이 fr.들이 DNA에 대하여 항산화적 기능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는 comet assay 유용한 parameter인 $tail\;length({\mu}m)$는 positiye control인 $H_2O_2\;(10^{-3}M)$로 40min동안 세포에 처리하여 산화적 손상을 준 결과, $149{\mu}m$의 tail length를 보였으며 , 상수리나무 겨우살이의 ethyl acetate fr.(0.1mg/ml)을 $H_2O_2\;(10^{-3}M)$와 동시 처리에는 $110{\mu}m$, 자작나무 겨우살이 ethyl acetate fr.은 $104{\mu}m$, 상수리나무 겨우살이 butanol fr.은 $123{\mu}m$, 자작나무 겨우살이 butanol fr.은 $118{\mu}m$로 tail length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겨우살이가 산화적 DNA손상을 방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한국산 겨우살이는 산화적 stress를 일으키는 활성 산소 자유라디칼의 생성에 대해 보호활성을 나타내어 유용한 chemopreventive agent의 기능이 기대된다.

열풍 건조 가공 공정이 다래 과실(품종명 만수)의 산화방지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t Air Drying on the Antioxidant Capacity of Actinidia arguta × A. deliciosa cv. Mansoo, a Hardy Kiwifruit)

  • 김성일;조치흥;남태규;조윤섭;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39-543
    • /
    • 2015
  • 다래 과실(품종명 만수)의 건조 절편을 제조하고자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35, 50 및 $70^{\circ}C$의 여러 온도에서 생과를 24시간 동안 열풍건조 하였다. 열풍건조 다래의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산화방지능은 열처리하지 않은 생과(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에 기반하여 측정한 산화방지능과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의 상관관계는 $r^2$이 0.9 이상으로 높은 반면에, ORAC 법을 이용한 산화방지능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건조다래의 제조 시 온도 등 최적 가공 조건을 확립하여, 기능성이 우수한 건조다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분자 함량이 많은 과피와 함께 과육의 섭취가 가능한 다래를 활용하여 주스, 젤리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할 필요도 있다.

홍삼 및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주류첨가용 액상제제 개발 (Development of Liquid Phase Product from Red Ginseng and Medicinal Herbs for Alcoholic Beverage)

  • 김도희;조양희;조재선;함태식;이종완;이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45-5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홍삼 농축액의 crude saponin과 생약재의 물추출물이 ADH와 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 생약재를 이용한 주류첨가용 액상제제 개발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재료자체의 비중이 커서 용매비율을 낮게 한 갈근의 경우, 추출에 따른 고형분의 함량이 매우 낮았고, 3시간이후 고형분의 함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갈화, 지구자, 상엽의 경우는 4시간이후 고형분 함량의 변화가 없었다. 홍삼의 crude saponin, 상엽, 갈화, 갈근, 지구자의 경우 적정농도에서 ADH의 상대활성을 104-114%까지 증가함을 보였고, 상엽, 지구자는 ALDH의 상대활성을 102∼106%까지 증가시켰다. 알코올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생약재를 원료로 액상제제를 제조하여 소주에 혼합한 후 1차 소비자 기호도 조사 결과, 경옥고향, 쌍화향, 칡향을 첨가한 세가지 시료 상호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쌍화향을 첨가한 시료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 기호도 조사결과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 쌍화향을 첨가한 시료와 향 무첨가 시료, 시판중인 K사제품간의 2차 기호도 조사 결과, 세가지 시료 상호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재료 첨가에 따른 갓김치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Mustard Leaf Kimchi with Optional Ingredients)

  • 최영숙;황정희;김재이;전영수;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03-1008
    • /
    • 2000
  • 갓김치 제조시 필수적으로 첨가되는 주요 부재료별 갓김치의 항산화성 증진 효과와 이미 항산화성이 높다고 알려진 여러 가지 항산화성 특수 부재료의 첨가수준을 달리 하여 제조한 갓김치의 항산화성 증진 효과를 살펴보았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특수 부재료를 선정하고 이들의 첨가를 달리하여 만든 갓김치의 항산화 특성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갓김치의 주요 부재료인 파, 마늘, 고춧가루, 생강 등이 갓김치의 항산화성 증진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춧가루 첨가군>생강 첨가군>마늘 첨가군>파 첨가군의 순이었으며, 적갓 김치군에서의 항산화성이 돌산갓 김치군에서 더 높았다 2. 더덕, 부추, 우엉, 다시마, 미 역, 청각 등을 첨가한 돌산갓 김치와 적갓 김치는 첨가하지 않은 갓김치에 비하여 항산화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더덕, 우엉, 청각을 첨가한 갓김치군의 항산화성 증진 효과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가되는 특수 부재료의 양에 비례하여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성이 우수한 재료들을 조합하여 첨가한 군에서의 항산화성 증진 효과가 각각 첨가한 군보다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돌산갓김치의 용매추출물의 항산화성을 살펴보았을 때 일반 갓김치보다는 더덕 또는 청각을 첨가한 김치군이, 더덕 또는 청각 첨가갓김치 보다는 더덕과 청각을 함께 첨가한 갓김치군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일관된 경향성을 보였다.

  • PDF

현미의 항돌연변이 활성물질의 구성성분 (Constituents of Antimutagenic Factor from Brown Rice)

  • 전향숙;문태화;김인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78-483
    • /
    • 1995
  • 한국산 쌀(일반계 일품벼)로부터 돌연변이 억제물질의 구성성분을 확인할 목적으로 methanol 추출물을 용매분획 및 column chromatography하여 활성 spot을 분리하고 정성 분석과 기기분석을 수행하였다. Ether, ethylacetate, butanol 및 수용성 용매 획분 가운데 ether 획분의 억제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성분을 분리하였을 경우 methanol추출물의 억제활성이 80% 이상으로 나타났던 결과와 비교하여 분리가 진행됨에 따라 억제활성은 $0{\sim}30%$로 감소하였다. 활성 물질을 정성분석한 결과 ferric chloride, 2,7-dichlorofluorescein, antimony pentachloride, phosphomolybdic acid, bromothymol blue, rhodamin 6G등의 시약에서는 양성을, ninhydrin, Bial's orcinol 시약에서는 음성을 나타내어 억제활성 물질은 페놀성 화합물과 지질성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리된 활성획분을 GC/Mass로 확인한 결과 o-hydroxy benzyl alcohol (saligenin), octanoic acid(caprylic acid), 9,12-cis-octadecadienoic acid(linoleic acid), 11-cis-octadecenoic acid(oleic acid), hexadecanoic acid(palmitic acid), 1H-indole-2-carboxylic acid, 및 1,2-benzenedicarxylic acid(phthalate)가 주요 구성성분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 성분들의 억제활성은 표준시약을 사용한 항변이원성 시험에서 재확인되었다.

  • PDF

순무(Brassica rapa ssp.) 뿌리로부터 flavonoid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the Roots of Brassica rapa ssp.)

  • 정락훈;;조진경;이대영;;이민호;이경태;최명숙;정태숙;안은미;정해곤;노영덕;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1호
    • /
    • pp.23-27
    • /
    • 2013
  • 순무뿌리(Brassica rapassp)를 실온에서 95% ethanol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hyl acetate (EtOAc)분획, n-butyl alcohol 분획 및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실시 하여 5종의 flavonoid를 분리하였다. NMR, IR 및 MS data를 해석하여 각각 licochalcone A (1), 4,4'-dihydroxy-3'-methoxychalcone (2), liquiritigenin (3), liquiritin (4), isoliquiritin (5)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은 순무뿌리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열수 추출물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aricus blazei Murill Water Extract on Immune Response in BALB/c Mice)

  • 강인순;김랑이;김광섭;김나리;신중엽;김채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29-16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신령버섯의 면역기능 개선 효과를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모델에서 면역기관의 무게와 세포증식, 자연살해세포 활성,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측정하고 대식세포 증식과 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BALB/c 마우스에 저(4 mg/kg), 중(20 mg/kg), 고(100 mg/kg) 농도의 신령버섯을 21일간 경구로 투여하였다. 마우스를 희생하여 체중 및 면역장기 무게, 비장세포의 증식과 사이토카인 생성,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령버섯은 마우스의 체중, 간, 비장, 흉선의 무게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비장세포의 증식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또한 비장세포의 IL-4과 IL-12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마우스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한 in vitro 실험에서는 신령버섯 $5{\sim}100{\mu}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비장세포의 증식과 $IFN-{\gamma}$ 생성을 증가시켰다. 신령버섯은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을 $100{\mu}g/mL$ 농도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대식세포에 의한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신령버섯을 마우스에 3주간 투여하면 동물의 체중, 면역장기의 무게와 면역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70% 가량 증가시키며 IL-4와 IL-12의 생성을 억제한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하면 세포증식과 $IFN-{\gamma}$ 분비가 증가되고,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과 NO 생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신령버섯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죽이는 자연살해세포와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반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테비아로부터 분리한 Austroinulin의 RAW264.7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ustroinulin from Stevia rebaudiana in LPS-induced RAW264.7 Cells)

  • 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56-46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스테비아는 이용성이 높은 식물임에도 불구하고 diterpene 성분에 대한 생리활성이 과학적으로 주로 연구된 바 없어 active-guided fractionation 방법을 이용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화합물을 규명하기 위해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및 정제한 후, $^1H$$^{13}C$-NMR, COSY, DEPT, HMQC, HMBC spectrum(500 MHz, $CDCl_3$), MS, IR 분석을 통하여 분자량 322의 astroinulin임을 구조 동정하였다. 특히 HMBC spectrum을 통해 분리된 화합물이 decalin system에서 C-9에 3-methylpenta-2,4-dienyl 치환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리된 astroinulin을 RAW264.7 세포에 2.5, 5, 10 ${\mu}g$/mL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마찬가지로 iNOS protein의 발현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하였으며, 화합물을 2.5, 5, 10 ${\mu}g$/mL 처리한 결과 각각 11.4, 26.8, 45.1% 감소하였다. Astroinulin 화합물을 10 ${\mu}g$/mL의 낮은 농도에서 NO와 iNOS를 각각 67.9, 45.1%를 저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테비아에서 분리된 astroinulin 화합물은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와 iNOS 단백질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지닌 약용 식물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