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 usage analysi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운동에 영향을 끼치는 피트니스 앱 요인 연구 (What Makes People Walk Using a Fitness App?)

  • 김진솔;손새아;김희웅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9권4호
    • /
    • pp.1-24
    • /
    • 2020
  • Purpos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itness apps across the world is a testament to the growing interest in health. As focus on medical services shifted from treatment to prevention, this type of app plays an essential role in promoting one's health and exercise management. Yet little has been known about practical effects of fitness apps in existing literature thus this study searches for factors that affect daily use of fitness app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 usage and exercise pattern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surveyed people who used Cashwalk, the pedometer app for a minimum of a week to analyze reasons why they used the app. Particpants' exercise patterns were also recorded. By examining survey results of fitness app users and developing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Customer Value Theory, this study provides real-life factors to the fitness and smart health care industry that will adopt a proactive lifestyle pattern. Findings Empirical analysis proved properties such as the complexity of fitness apps, monetary rewards, exercise monitoring and the enjoyment of using fitness apps contribute to using fitness apps on a daily basis. Furthermore, more daily use of fitness apps was shown to have a greater impact on exercise.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social comparison does not affect the daily use of fitness apps and the amount of exercise, and the habitual walking was proved to directly affect the amount of exercise.

사용자 경험과 서비스 평가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넷플릭스 앱 리뷰 토픽 모델링을 통해 (A study of changes in user experience and service evaluation - Topic modeling of Netflix app reviews)

  • 유선영;노미진;김양석;한무명초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6호
    • /
    • pp.27-34
    • /
    • 2023
  • 코로나19로 인해 넷플릭스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사용자들의 넷플릭스 서비스 경험도 함께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 전후 넷플릭스 사용자 경험과 서비스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넷플릭스 리뷰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Google Play Scrape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구글 플레이 스토어 내의 넷플릭스 앱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여, 코로나19 대유행 전후 앱 리뷰 기반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키워드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넷플릭스 앱 기능, 넷플릭스 콘텐츠, 넷플릭스 서비스 이용, 넷플릭스 총평이라는 4가지 토픽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경험이 증가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사용자들은 더 다양하고 세부적인 키워드를 사용하여 리뷰를 작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넷플릭스 리뷰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코로나19 대유행 전·후 넷플릭스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변화를 보여주므로, 향후 치열한 OTT 서비스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가이드 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Sentiment Analysis on 'HelloTalk' App Reviews Using NRC Emotion Lexicon and GoEmotions Dataset

  • Simay Akar;Yang Sok Kim;Mi Jin Noh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6호
    • /
    • pp.35-43
    • /
    • 2024
  • During the post-pandemic period, the interest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surged, leading to increased usage of language-learning apps. With the rising demand for these apps, analyzing app reviews becomes essential, as they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user experienc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is research focuses on extracting insights into users' opinions, sentiments, and overall satisfaction from reviews of HelloTalk, one of the most renowned language-learning apps. We employed topic modeling and emotion analysis approaches to analyze reviews collected from the Google Play Store. Sever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entiment classification models with different settings. In addition, we identified dominant emotions and topics within the app reviews using feature importance analysi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andom Forest model with topics and emotions outperforms other approaches in accuracy, recall, and F1 score. The findings reveal that topics emphasizing language learning and community interactions, as well as the use of language learning tools and the learning experience, are prominent. Moreover, the emotions of 'admiration' and 'annoyance' emerge as significant factors across all models. This research highlights that incorporating emotion scores into the model and utilizing a broader range of emotion labels enhances model performance.

A Study on the Users' Response to Privacy Issues in Customized Services

  • Park, Sunwoo;Baek, Jeongyun;Yoo, Yeajoo;Kim, Dongwha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3호
    • /
    • pp.201-208
    • /
    • 2022
  • Customized service is a vital and mandatory element for apps in improving their technical performance and app customer analysis. While apps require users' consent for their data extraction and usage, many of the terms and agreement forms are written intricately, making it harder for users to fully understand the whole concept of users' data collection for customized services. Ever since the Facebook-Cambridge Analytica scandal, personal data privacy has been re-examined, forcing many app companies to reinforce a reliable solution to data privacy issues.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secured solution, which worries many people about the future advanced issues when metaverse platforms are actively used in daily apps. The research aims to collect the reactions and behaviors of everyday app users who utilize apps with customized service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privacy data issues and the users' opinions about the future implementation of metaverse platforms. The method of the research was an online questionnaire that targeted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revealed many fearful and anxious reactions about personal data and further metaverse issues where most app users were uneducated about how current apps collect and utilize users' private data.

An EDA Analysis of Seoul Metropolitan Area's Mountain Usage Patterns of Users in Their 20~30s after COVID-19 Occurrence

  • Lee, BoBae;Yeon, PoungSi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9-244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user behavior in order to cope appropriately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mountain usage of those in their 20s and 30s and to allocate resources efficiently. Methods: To analyze the behavior of mountain hiking users, an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was conducted on the data which had been collected in the app Tranggle. The main target are users in their 20s and 30s who visited the mountain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19-2020. Among them, we have selected data on the top 13 mountains based on the frequency of visits. After data pre-processing, mountain usage patterns wer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visualization. Results: Compared to 2019, the number of users in 2020 increased 1.36 times. The utilization rate of the well-established hiking trails has also increased. The usage of mountain on weekends (Saturday > Sunday) was still the highest, and the difference in the usage between the days of the week decreased. Outside of work hours, early morning usage has increased and night-time usage has de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usages depending on activity type, level (experience point) and exercise properties. Conclusion: Since the COVID-19 outbreak, the usage of mountains has been changing towards low user density and short-distance trip. in the post-COVID-19 era, the function and role of forests in daily life are expected to increase. To cope with this,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 with consideration of the wider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OTT 앱 리뷰 분석을 통한 서비스 개선 기회 발굴 방안 연구 (Exploring Service Improvement Opportunities through Analysis of OTT App Reviews)

  • 이중민;송지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2_2호
    • /
    • pp.445-456
    • /
    • 2024
  • This study aims to suggest service improvement opportunities by analyzing user review data of the top three OTT service apps(Netflix, Coupang Play, and TVING) on Google Play Store.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proposed a framework for uncovering service opportun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negative user reviews from OTT service providers. The framework involves automating the labeling of identified topics and generating service improvement opportunities using topic modeling and prompt engineering, leveraging GPT-4, a generative AI model. Consequently, we pinpointed five dissatisfaction topics for Netflix and TVING, and nine for Coupang Play. Common issues include "video playback errors", "app installation and update errors", "subscription and payment" problems, and concerns regarding "content quality". The commonly identified service enhancement opportunities include "enhancing and diversifying content quality". "optimizing video quality and data usage", "ensuring compatibility with external devices", and "streamlining payment and cancellation processes". In contrast to prior research, this study introduces a novel research framework leveraging generative AI to label topics and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derived topics. This is noteworthy as it identifies actionable service opportunities aimed at enhancing service competitiveness and satisfaction, instead of merely outlining topics.

스마트워크 적용과 효과: 업무 설계 이론을 중심으로 (Smartwork Application & Effects: Empirical Test for the Extended Work Design Theory)

  • 이혜정;박준기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21-37
    • /
    • 2018
  • 스마트 업무 환경에서 원활한 의사소통과 효과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서 모바일 시스템 활용이 핵심이 되어 가고 있다. 모바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현업의 스마트워크 환경과 성과 프로세스를 업무 설계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업무 설계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업무의 특성인 자율성과 상호의존성을 선행 요인으로 설정하여 스마트워크의 선택 정도를 살펴보았다. 스마트워크 적용에 따른 성과로서 의사소통의 확대 정도, 일과 삶의 균형, 그리고 궁극적인 성과 지표인 업무 만족으로 이어지는 프로세스를 검증하였다. 스마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을 도입한 국내 IT 기업 3개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업무의 상호의존성이 높을수록 스마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이 높아졌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의사소통의 확대를 통해 직접적으로 업무 만족과 일과 삶의 균형을 높여주고 있었다. 주목할 점은 스마트워크 적용이 조직 구성원들의 일과 삶의 균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확대를 통해서 가능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적용과 효과를 동시에 살펴보고 조직의 영향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본격적으로 IT 사용 환경을 고려한 업무 설계 이론을 구성하여 적용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스마트워크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소셜 미디어 앱 리뷰에서의 감성 분석 연구: 인스타그램 중심으로 (Research on Sentiment Analysis in Social Media App Reviews: Focusing on Instagram)

  • 이문기;우위항
    • 감성과학
    • /
    • 제27권1호
    • /
    • pp.69-80
    • /
    • 2024
  • 본 연구는 Google Play에서 수집된 Instagram 사용자 리뷰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얻고자 한다. 텍스트 마이닝과 감성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리뷰에 담긴 감성과 의견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며, 이를 통해 앱의 개선점과 사용자 경험을 깊이 이해하려고 한다. 인스타그램 리뷰가 사용자들의 다양한 경험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그리고 앱의 장단점을 어떻게 드러내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나이브 베이즈 알고리즘을 사용한 감성 분석을 수행하며, 이 결과는 인스타그램 서비스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는 또한 개발자들이 사용자 피드백을 더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며, 결국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 사용 패턴과 사용자 의견의 복잡한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가치기반수용모델(VAM)을 활용한 모바일 쇼핑 앱의 지각된 가치와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of Use of Mobile Shopping Apps Using Value-Based Adoption Model (VAM))

  • 지선영;김문기;한상린
    • 서비스연구
    • /
    • 제14권2호
    • /
    • pp.101-116
    • /
    • 2024
  • 스마트폰의 보급이 보편화되고 이용률이 높아진 만큼 모바일 쇼핑 시장 또한 그 규모가 커지고 관련 산업에 관한 기대도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쇼핑 앱은 패션과 뷰티, 라이프 스타일 등 다양한 산업과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대면의 활성화에 더불어 사용자 수를 늘리기 위한 기업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 앱의 지각된 가치와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를 가치기반수용모델(VAM)을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266명의 국내 기업에서 출시한 모바일 쇼핑 앱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모바일 쇼핑 앱의 지각된 가치 중 유용성과 즐거움은 모두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쇼핑 앱의 지각된 희생 중 기술적 특성과 지각된 위험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쇼핑 앱의 지각된 가치는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모바일 기술과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점점 더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모바일 쇼핑 앱 산업에서 지각된 가치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고 관련 기업과 관계자들이 모바일 쇼핑 앱 사용자를 더욱 늘리기 위한 효율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사용성 분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Usability Analysis System for Upgrading the Usage of Mobile Applications)

  • 구현우;이창환;김의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171-182
    • /
    • 2012
  • 많은 기업과 개발자들이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이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사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단말기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수명이 짧은 이유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의 동적인 사용자 사용성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사용성 분석을 위한 기법은 전문가 및 사용자들의 설문 및 토의를 통해 진행됨으로써 실 사용자의 맞춤형 분석이 진행되지 못하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했다. 본 논문에서는 실 사용자를 대상으로 동적인 사용성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생명력이 증가하게 되면 개발자의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맞춤형 콘텐츠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