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optosi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4초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과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프로바이오틱 효과 (Probiot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Isolated from Kimchi)

  • 이경희;봉연주;이현아;김희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2-1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우점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52P(LPpnu)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KCCM 11353P(LMpnu)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높기로 잘 알려진 Lactobacillus rhamnosus GG(LRgg)의 효능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pnu는 Lab. rhamnosus GG(LRgg)보다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더 뛰어났으며, LMpnu 또한 LRgg와 거의 유사한 수준의 효능을 나타냈다. LPpnu와 LMpnu는 모두 내산, 내담즙성, 장 부착능, 열 안정성의 프로바이오틱의 기본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LPpnu는 가장 높은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LMpnu 및 LRgg와 비교했을 때 LPpnu는 DPPH radical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에서 더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고, Bcl-2 유전자 발현억제와 Bax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해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HT-29 human colon cancer cell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김치유래 LPpnu와 LMpnu는 프로바이오틱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특히 LPpnu는 항산화 및 항암 활성에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었기에 중요한 프로바이오틱 균주라고 하겠다.

Flavonoid의 HT-29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s on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 조영;최미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8-34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는 대장암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고 인체 대장암 세포인 HT-29의 증식을 억제하며,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천연소재를 알아보기 위해서 flavonoid가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 유도 및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MTT assay 결과 apigenin, rutin, naringenin, myricetin을 $100{\mu}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62.71, 75.78, 74.24, 77.61%로 이 중 naringenin이 대장암 세포 성장에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은 실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Caspase-3 activity에서는 naringenin이 241.4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세포사멸과 관련된 유전자를 확인하고자 대장암 세포에 flavonoid인 apigenin, rutin, naringenin, myricetin에 $100{\mu}M$ 농도로 처리한 후 RTPCR을 실시한 결과, 세포사멸의 주요한 조절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 중 Bcl-2는 rutin에 의해 감소되었고 Bax는 myricetin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p53은 naringenin이 높게 발현되었다. 또한 western blotting을 통해 flavonoid인 apigenin, rutin, naringenin, myricetin에 $100{\mu}M$ 농도로 처리한 결과, Bcl-2 family 단백질과 더불어 세포사멸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형인 cleaved caspase-3은 모두 증가하였고, 그중 myricetin이, PARP은 naringenin, E-cadherin은 rutin이 각각 높은 발현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번 실험 결과를 통해 flavonoid가 세포사멸의 주요한 조절 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의 발현이나 caspase의 활성 등을 조절하여 암세포 사멸인자인 Bcl-2의 발현은 감소시키고 Bax, p53, PARP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또한 암세포의 전이와 관련된 E-cadherin의 발현도 조절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flavonoid가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사멸과 관련된 기전을 규명하였다. 이를 기초자료로 일상에서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에 많이 존재하며 비교적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flavonoid를 이용한 천연 항암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추후 대장암의 암예방제 및 암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도록 추가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 조사가 배양된 조골세포의 apoptosis와 세포주기의 변화 및 석회화 결절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Irradiation on Apoptosis, Cell Cycle Arrest and Calcified Nodule Formation of Rat Calvarial Osteoblast)

  • 이영미;최항문;허민석;이삼선;최순철;박태원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0권3호
    • /
    • pp.189-198
    • /
    • 2000
  • Purpose: The study was aimed to detect the induction of apoptosis, cell cycle arrest and calcified nodule formation after irradiation on primarily cultured osteoblasts. Materials and Methods: Using rat calvarial osteoblasts,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apoptosis, cell cycle arrest, and calcified nodule formation were studied. The single irradiation of 10 and 20 Gy was done with 5.38 Gy/min dose rate using the l37Cs cell irradiator at 4th and 14th day of culture. Apoptosis induction and cell cycle arrest were assayed by the flowcytometry at 1, 2, 3, and 4 days after irradiation. The formation of calcified nodules was observed by alizarin red staining at 1, 3, 10, 14 days after irradiation at 4th day of culture, and at 1, 4, 5 days after irradiation at 14th day of culture. Results: Apoptosis was not induced by 10 or 20 Gy independent of irradiation and culture period. Irradiation did not induced G1 arrest in post-irradiated ostedblasts. After irradiation at 4th-day of culture, G2 arrest was induc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irradiation at 14th-day of culture. In the case of irradiated cells at 4th day of culture, calcified nodules were not formed and at 14th-day of culture after irradiation, calcified nodule formation did not affected.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rradiation at the dose of 10-20 Gy would not affect apoptosis induction of osteoblasts. Cell cycle and calcified nodule formation were influenced by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osteblasts.

  • PDF

가미향사육군자탕(加味香砂六君子湯)이 생쥐 소장(小腸)에서 방사선조사(放射線照射) 후(後) 보호효과(保護效果)와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Gamihyangsayukgunjatang on Radioprotection and Apoptosis in Small Intestines of Mice)

  • 이태업;김진성;윤상협;류봉하;박동원;류기원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8
    • /
    • 2000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gamihyangsayukgunjatang on radioprotection and apoptosis in small intestines of mice after whole body irradiation. Two hundred forty mice were divided into 40 groups according to the radiation dose and the gamihyangsayukgunjatang treatment. The extracts of the herbal medicines were orally administered to each group differently before and/or after irradiation. The gamihyangsayukgunjatang treated groups were divided into 3 groups. Sample Ⅰ was the group treated with the gamihyangsayukgunjatang for 3 days before the radiation, sample Ⅱ was the group treated with the gamihyangsayukgunjatang for 3 days after the radiation. Sample Ⅲ was the group treated with the gamihyangsayukgunjatang for both 3 days before and after the radiation. To analyze the crypt survival, the micradony survival assay was used according to the Withers and Elind's method. To analyze the apptosis, the TUNEL assay was done. The results obtained are a follows : 1. From the microcolony survival assay, the gamihyangsayukgunjatang treated groups showed the radioprotective effect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mparing the radioprotective effect among the 3 groups, sample III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han sample I and II (p<0.05). Sample I showed no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it is suggested that the radioprotective effect of the gamihyangsayukgunjatang is mor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the radiation injury rather that the prevention. 2. The results of the TUNEL assay showed that the apoptotic index in the gamihyangsayukgunjatang treated group was slightly decreased with no effectivenes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gamihyangsayukgujatang has a prominent protective effect in mice intestines against the radiation damage. However, the radioprotective effect does not seem to be related to inhibition of the apoptosis.

  • PDF

사람 대장암 KMl2세포에서 quercetin 의한 TRAIL이 유도하는 세포사멸의 증가 (Quercetin Potentiates TRAIL-induced Apoptosis in Human Colon KM12 Cells)

  • 박준익;김학봉;김미주;이재원;배재호;박수정;김동완;강치덕;김선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09-1217
    • /
    • 2009
  • 많은 암세포에 선택적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TNF-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는 유효한 항암제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TRAIL에 내성을 나타내는 암세포에는 TRAIL-sensitization의 방법이 필요하다. 사람 대장암 세포인 KMl2 세포도 TRAIL에 내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KMl2세포의 TRAIL 내성에 대한 새로운 표적 분자의 발굴과 이를 토대로 한 새로운 내성극복 방법을 연구하였다. 새로운 TRAIL sensitizer로서 quercetin을 발굴하고, 이를 KMl2세포에 TRAIL과 병용 처리하여 TRAIL의 효과증강을 시도하였다. KMl2세포에서 quercetin은 c-FLTP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DNA-PK/Akt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하므로서, death receptors (DR4/DR5) 발현을 증강시켰다. 또한 caspases (caspase 3, -8 및 -9)활성 증강과 PARP cleavage, 이에 따른 Bax의 발현을 증강시키는 기전으로 TRAIL에 의한 apoptosis를 증대시키는 활성이 있음을 밝혔다. 즉 quercetin이 KMl2세포의 TRAIL-sensitization에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장암의 치료 시 TRAIL과 quercetin병용하므로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약제 병용 방법을 제시하였고, 다른 TRAIL 내성 종양에 응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TF3를 통한 caffeic acid phenethyl ester에 의한 NAG-1 유전자의 발현 증가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Induces the Expression of NAG-1 via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 박민희;정정욱;이성호;백승준;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7-42
    • /
    • 2018
  • NAG-1 단백질은 TGF-${\beta}$ superfamily 유전자로서 암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고 항암 활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 유래의 파이토케미칼 CAP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에 의한 항암유전자 NAG-1의 발현과 발현조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인간 대장암 세포주 HCT116에서 CAPE의 처리에 의해 농도의존적, 시간의존적으로 NAG-1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다른 대장암 세포주인 LOVO 세포주에서도 농도의존적으로 NAG-1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p53-null HCT116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CAPE에 의한 NAG-1의 발현은 전사조절인자인 p53에 의존하지 않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3가지 종류의 NAG-1 프로모터 construct를 이용한 실험에서, cis-element 후보가 -474와 -1,086사이에 있음을 증명하였다. CAPE에 의해 전사조절인자인 ATF3와 CREB의 발현이 변화되는 지를 확인한 결과, CREB은 전혀 발현이 증가되지 않는 반면 ATF3는 CAPE 처리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pCG-ATF3와 pCREB의 cotransfection 실험에서 CREB은 NAG-1의 발현에 영향을 못 미치는 반면, ATF3의 과대발현에 의해 NAG-1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CAPE에 의한 NAG-1의 발현은 주로 전사조절인자인 ATF3를 경유하여 일어남을 시사한다.

Millettia erythrocalyx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암 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Millettia erythrocalyx)

  • 진수정;오유나;손유리;최선미;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0-57
    • /
    • 2018
  • Millettia erythrocalyx는 콩과(Fab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중국, 태국, 인도 등 열대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항산화능과 항암활성 등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 erythrocalyx의 에탄올 추출물(EEME)을 사용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인체간암세포주인 HepG2에 대한 항암활성과 그 분자적 기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통해 분석한 결과, EEME의 $IC_{50}$$2.74{\mu}g/ml$로 뛰어난 항산화능을 보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EEME 농도 의존적으로 HepG2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EEME의 HepG2 세포 사멸 효과의 기전을 분석하기 위하여 세포주기를 분석한 결과, EEME 농도의존적으로 SubG1 세포가 증가하였으며, Annexin V 염색과 DAPI 염색을 통해 apoptotic 세포 및 apoptotic body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변화를 분석한 결과, EEME 처리에 의해 사멸수용체인 Fas와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caspase-3, -8, -9가 활성화되고 최종적으로 PARP가 분해되어 apoptosis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EEME는 내인성 및 외인성 경로를 통한 apoptosis 유도에 의하여 HepG2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암활성을 보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HT-29 대장암세포에서 Akt 활성 저해에 따른 셀레늄의 세포 증식억제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Selenium in HT-29 Colon Cancer Cells via Inhibition of Akt)

  • 박송이;김인섭;이세희;이솔화;정다운;박옥진;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5-61
    • /
    • 2012
  • Akt는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하며 많은 암종에서 과발현되어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kt의 조절을 통한 셀레늄의 HT-29 세포의 세포증식억제 시너지효과를 확인하였다. 셀레늄을 농도별과 시간별로 처리하였을 때 HT-29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고, apoptosis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셀레늄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Western blotting 및 immunofluorescence를 실시한 결과 Akt의 인산화가 저해되었고 COX-2의 발현도 저해되었다. 또한 Akt 저해제인 LY294002를 처리한 결과, HT-29 대장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LY294002를 셀레늄과 병행처리하였을 때 셀레늄에 의한 세포증식억제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Akt siRNA에 의한 Akt의 불활성화는 non-transfected 세포에 비하여 HT-29 세포의 성장을 더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Akt가 불활성화 되었을 때 COX-2의 발현 역시 non-transfected 세포에 비하여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HT-29 세포에서 셀레늄의 세포증식억제 효과는 Akt와 COX-2 신호분자의 조절을 통해 일어나며, Akt 의 저해는 셀레늄의 대장암세포증식 억제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카드뮴에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세포성 면역 반응 (Cellular Immune Response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Exposed to Cadmium Chloride)

  • 박경일;최민순;박성우;박관하;최상훈;윤종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5-143
    • /
    • 2009
  •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은 우리나라 조간대에 널리 분포하며 잘 발달된 생체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모니터링 종으로서 가치가 높은 생물이다. 본 연구는 산업활동으로 해양환경에서 그 농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생물체에 강한 독성을 가진 카드뮴이 바지락의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바지락의 면역 기작을 이해하고 환경 모니터링 기법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을 위하여 바지락은 $50\;{\mu}g/l$의 카드뮴에 8일간 노출되었으며,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혈구의 미분화 세포의 구성비율, DNA 손상도, 혈구괴사율, 혈구 apoptosis 비율 및 혈구사망율을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카드뮴에 노출된 바지락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미분화세포, DNA 손상도, 세포괴사율, 세 apoptosis 비율 및 세포 사망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apoptosis 비율은 세포괴사율보다 높게 증가함에 따라 바지락 혈구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카드뮴의 농도는 세포괴사보다는 apoptosis를 유도하는데 더 효과적인 농도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금속 오염에 대한 바지락의 세포성 면역반응은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이 가능하였으며, 세포성 면역반응을 이용한 환경모니터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호박잎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항암 효과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Squash (Cucurbita moschata Duch.) Leaf Extract In vitro)

  • 곽영은;주지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70-77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호박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radical 소거활성 등과 같은 항산화성과,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사멸유도 활성, 부착억제 활성 등과 같은 항암성을 in vitro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호박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263.4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3.6 mg quercetin equivalent/100 g으로 측정되었다. 호박잎 추출물은 300 ${\mu}g/mL$ 농도에서 69.4%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있었는데, 이는 호박잎 추출물과 같은 농도에서의 L-ascorbic acid 활성(94.5%)의 73.4%에 해당되는 수준이었다. 한편 호박잎 추출물은 37.5, 75, 150 ${\mu}g/mL$ 농도에서 HCT116 대장암 세포와 H1299 폐암 세포의 증식을 60.6-87.9% 억제하는 농도 의존적 활성이 있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apoptosis를 유도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호박잎 추출물은 150 ${\mu}g/mL$ 농도에서 HCT116 세포와 H1299 세포의 부착을 16.8-28.4% 억제하는 활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호박잎 추출물은 in vitro 수준에서 항산화성 및 항암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관련 작용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