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ogon lineatu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고리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의 생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Cardinalfish Apogon lineatus (Perciformes: Apogonidae) in the Coastal Waters of Gori, Korea)

  • 백근욱;박찬일;허성회;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4-161
    • /
    • 2010
  • 한국 동해 남부 고리 주변해역에서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저인망과 삼각망에서 채집된 열동가리돔 4,300개체의 생식생태를 조사하였다. 열동가리돔의 체장범위는 2.1~8.6 cm 였다. 열동가리돔은 여름과 가을에는 표층에 더 많이 분포하였으며, 봄과 겨울에는 저층에 더 많이 분포하였다. 열동가리돔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9월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 12월까지 감소하였다. 따라서 산란시기는 8~10월로 추정되었다. 열동가리돔의 암 수간 성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chi}^2$-test, p>0.05). 열동가리돔 암컷의 50% 군성숙체장은 5.43 cm로 추정되었고, 모든 암컷은 7.0 cm 이상의 성숙하였다. 열동가리돔은 연속산란종으로 산란기 동안 2회 이상 산란을 하였으며, 최대난경은 0.65 mm를 보였다. 포란수는 8,555~20,084개의 범위였으며, 평균 15,038개 였다. 체장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334,851\;SL^{1.9876}$ ($R^2$=0.53), 체중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7,167.6 Ln (BW)-2,198.1 ($R^2$=0.33)로 추정되었다.

고리 주변해역 삼각망에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a Three-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 백근욱;허성회;박세창;김지형;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6-194
    • /
    • 2010
  • 2006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35과에 속하는 5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대부분 부 어류로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숭어 (Mugil cephalus), 전어 (Konosirus punctatus),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성대 (Chelidonichthys spinosus),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그리고 줄도화돔 (Apogon semilineatus)이었는데, 이들 8종은 전체 채집 개체수의 92.7%를 차지하였다. 본 조사해역의 채집된 어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개체수는 12월, 생체량은 3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개체수와 생체량이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12월에 다른 계절에 비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저인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Nakdong River Estuary)

  • 허성회;정석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2호
    • /
    • pp.178-195
    • /
    • 1999
  • 낙동강 하구 주변 해역에서 1987년 2월부터 1988년 1월까지 1년 동안 매월 소형 기선저인망(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00개 어종에 속하는 23,008마리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가장 많이 채집된 어종은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 흰베도라치(Pholis fangi),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밴댕이 (Sardinella zunasi)였는데, 이들 5어종은 총 개체수의 63.0%와 생체량의 47.8%를 차지하였다. 계절별 우점종을 보면, 봄에는 흰베도라치와 실양태, 여름에는 실양태와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가을에는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과 청멸(Thryssa kammalensis), 그리고 겨울에는 설양태, 주둥치, 밴댕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어종수, 채집 개체수 및 종다양도지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다. 또한 어종 수 및 채집 개체수는 정점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낙동강 하구쪽으로 갈수록 어종수 및 채집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수온은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염분은 어류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1. 소형 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1. fishes Collected by a Small Otter Trawl-)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8-301
    • /
    • 2000
  • 가덕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소형 기선저인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57과 110종이었다 실양태 (Repomucenus valenciennei), 청멸 (Thryssa kammalensis), 주둥치 (Leiognathug nuchalis), 등가시치 (Zoarces gilli)가 연중 우점하였는데, 이들 어종이 전체 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의 $57.6{\%}$$37.2{\%}를$ 차지하였다. 그 밖에도 청보리멸 (Sillagojaponica),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횐베도라치 (Pholis fangi), 멸치 (Engraulis japonicus), 풀반댕이 (nvssa adeire), 베도라치 (Pholis nebulosa), 붕장어 (Congo.my.iaste.), 꼼치 (Liparis tnnakai), 줄망둑 (Acentrogobius pnaunlii),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 도화망둑 (Chaeturichthys hexanema), 풀미역치 (Erisphex pottii), 용서대 (Cynoglossus abbreviatus) 등이 비교적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 종수 및 채집량의 계절 변동을 보면, 봄과 가을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여름과 겨울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가을에 높은 값을 보였다.

  • PDF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2.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2. Fishes Collected by Three Sides Fyke Nets-)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66-379
    • /
    • 2002
  • 가덕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삼각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소조기에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69과 136종이었다. 전갱이 (Trachums japonicus), 전어 (Konosirus pu-nctatus), 숭어 (Mugil cephalus)가 우점하였는데, 이들 어종이 전체 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의 $63.7\%$$83.1\%$를 차지하였다 그밖에도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복섬 (Takifugu niphobles), 고등어 (Scomber japonicus), 갈치 ( Trichiurus leptrus), 등줄숭어 (Chelon afnnis),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수조기 (NibeaalbiHora),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등이 비교적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 종수는 여름에 많았고 겨울에 적었다. 채집량은 봄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겨울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다른 계절에 비해 봄에 낮은 값을 보였다.

2006년 고리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자치어의 종조성과 출현양상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in 2006)

  • 백근욱;박주면;남기문;허성회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3호
    • /
    • pp.284-292
    • /
    • 2012
  •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in the southeastern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6. During the study period, 32 larvae species belonging to 20 famili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Engraulis japonicius, Hexagrammos agrammus, Sillago japonicus, Acropoma japonicum, Apogon lineatus, and Konosirus punctatus. These six species accounted for 87.0%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fluctuated by season. The peak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occurred in July and May, respectively.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monthly variations i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could act as an indicators of seasonal variations in the larval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abundance of the dominant species; in particular, the abundance of S. japonicus, A. japonicum, and A. lineatus were significantly corrected with the water temperature.

동해 남부 연안에서 출현하는 저어류 군집구조의 변화 (Variations in Demersal Fish Assemblage in the Southern Coast of East Sea, Korea)

  • 박주면;백근욱;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26-434
    • /
    • 2018
  • We investigated temporal and depth-related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the fish assemblage in the southern East Sea. Fish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between 2007 and 2008 using a demersal trawl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e identified 59 fish species belonging to 41 familie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species was Coelorinchus multispinulosus, followed by Lophius litulon, Acropoma japonicum and Apogon lineatus. The five most abundant species were A. lineatus, A. japonicum, Myctophum nitidulum, Engraulis japonicus and C. multispinulosus, accounting for 87.04%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diversity fluctuated with sampling location and time. Permutational multivariate analyses of variance revealed that the assemblage structure was influenced by year, season and water depth, with season being the main indicator. These changes were visually emphasized using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ordination plots. Fluctuations in assemblage structure were due to differential contributions of the dominant species.

서해안 안강망의 끝자루 망목크기에 따른 어획 비교 (Catches comparison according to the codend mesh size of stow net on anchor in the West Sea of Korea)

  • 조삼광;박창두;김현영;김인옥;차봉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1호
    • /
    • pp.1-9
    • /
    • 2010
  • Experimental fishing was carried out to compare fishing status according to the codend mesh size (raschel, 15mm, 25mm, 35mm, 45mm) of stow net on anchor in the coastal waters of Seocheon after manufacturing five kinds of fishing gears and commercial fishing boat (7.93 tons) was used for it. Total catches of raschel, 15mm, 25mm, 35mm, 45mm codend were 816,949g, 203,994g, 1,405g, 51,576g, 194g in September and 40,545g, 66,974g, 14,692g, 12,647g, 12,655g in October. Dominance species wer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raschel codend,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in 15mm and 35mm in September, and the amount of catches was very small in 25mm and 45mm codend due to the fishing gear damage. In October, dominance species were anchovy and beka squid (Loligo beka) in raschel, 15mm, 25mm codend, and cuttlefish (Sepia esculenta) and beka squid were mainly caught in 35mm and 45mm codend. In addition, total length of anchovy and cardinal fish (Apogon lineatu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odend mesh siz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antle length of cuttlefish and loligo beka.

저인망에 채집된 남해도 연안해역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 off Namhae Island)

  • 허성회;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3
    • /
    • 1998
  • 1989년 5월부터 1990년 4월까지 매월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소형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6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i), 도화망둑(Chaeturichthys hexanema), 수염문절(Chaeturichthys sciistius), 청멸(Thryssa kammalensis),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가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전체 개체수의 66.5%, 그리고 생체량의 34.9%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붕장어(Conger myriaster), 병어(Pampus echinogaster),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민태(Johnius grypotus), 칠서대(Cynoglossus interruptus),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 보구치(Argyrosomus argentatus), 밴댕이(Sardinella zunasi) 순으로 채집되었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이 체장 10cm 이하의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남해도 연안해역의 어류 군집은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채집 어종수는 10 ~1월사이에 많았으며, 2~3월에 적었다.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은 4월과 9월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온이 낮은 2~3월에는 채집 어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 PDF

여수 금오도 연안 이각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Fluctuation in the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Geumo-do, Yeosu)

  • 황재호;유경희;이성훈;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9-47
    • /
    • 2008
  • The fluctuation in the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as investigated using a fyke net with entrances on both sides in the coastal waters of Geumo-do, Yeosu, Chollanam-do, Korea, from May 2003 to April 2004. A total of 2,379 fishes (392.13 kg) were sampled and classified into 11 orders, 34 families, and 53 species. The dominant orders were Perciformes, Scorpaeniformes, and Pleuronectiformes, which accounted for 67.9% of the collected fishes. The dominant species was Acanthopagrus schlegelii (235 individuals, 19.00 kg), followed by Konosirus punctatus (182 individuals, 9.53 kg), and Apogon lineatus (161 individuals, 1.69 kg).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er in spring and summer than in winter, and the monthly variation may be related to the water temperature. The diversity index was highest in September (H'=2.9) and lowest in December (H'=1.8). The evenness index was highest in August (J=0.9) and lowest in December (J=0.7).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December (D=0.7) and lowest in August (D=0.2). The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in this area are Acanthopagrus schlegelii, Konosirus punctatus, Lateolabrax maculatus, Argyrosomus argentatus, Trichiurus lepturus, Lateolabrax japonicus, and Sebastes schlegel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