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rta, thoracoabdominal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9초

Graft Perforation by a Spinal Bony Spur: An Unusual Cause of Late Bleeding after Thoracoabdominal Aorta Replacement

  • Yoon, Seung Hwan;Park, Kay-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2권3호
    • /
    • pp.186-188
    • /
    • 2019
  •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delayed bleeding after open surgical repair of a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A 79-year-old man developed a massive retroperitoneal hematoma 49 days after Crawford type III thoracoabdominal aorta replacement. During emergency surgery, a tear was found in the prosthetic vascular graft caused by a sharp bony spur arising from the second lumbar vertebral body. This rare, but potentially lethal, complication indicates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harp bony structures during open repair of the descending aorta.

좌심방-대퇴동맥 우회술을 이용한 흉부 및 흉복부 대동맥류 수술에 관한 임상적 고찰 -7례 보고- (Left Atrium-Femoral Artery Bypass using the Bio-Medicus Centrifugal Pump in Repair of Thoracic and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Report of 7 cases-)

  • 임수빈;안혁;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4호
    • /
    • pp.318-324
    • /
    • 1994
  • Cross-clamping of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results in proximal hypertension,increase in left ventricular afterload,and impairment of distal organ perfusion. Bypass of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is frequently advocated as an adjunct for repair of traumatic tears and degenerative aneurysms. Many methods of bypass have been proposed to provide distal perfusion and reduce left ventricular afterload during cross-clamping of the thoracic aorta.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7 patients were treated for the thoracic or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using left atrium-femoral artery bypass with Bio-medicus centrifugal pump between October,1989, and January,1993. There were atherosclerotic thoracic aneurysm in 3 cases,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due to chronic aortic dissection in 3 cases,aortic rupture due to trauma in 1 case. Total of 7 patients were operated by graft replacement with reimplantation of important branches. None of these cases developed severe complications and hospital death. We believe that the Bio-Medicus centrifugal pump is a simple and safe means of perfusing the lower body, kidneys, and spinal cord without necessitating heparinization.

  • PDF

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for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with Leriche Syndrome

  • Chong, Byung Kwon;Kim, Joon Bu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2호
    • /
    • pp.134-138
    • /
    • 2015
  •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accompanied by Leriche syndrome is an extremely rare combination of aortic diseases, the surgical management of which has not been described to date. We report the successful treatment of one such case through open surgical repair of the thoracoabdominal aorta.

하행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의 임상적 경험 (The Clinical Experience of The Descending Thoracic and Thoracoabdominal Aortic Surgery)

  • 조광조;우종수;성시찬;최필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584-589
    • /
    • 2002
  • 배경: 흉복부 대동맥 질환 수술은 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수술법이 다양하며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지금까지 여러 방법으로 흉복부 대동맥 질환을 수술한 성적과 위험 요소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저자들은 36명의 흉복부 대동맥 수술을 시행하였다. 이중 17명은 대동맥 박리증, 17명은 대동맥류, 1명은 대동맥 축착증에 병발한 대동맥박리증, 1명은 외상성 대동맥손상이었다. 수술은 26례에서 흉부대동맥 치환술을, 10명에서 흉복부 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흉부대동맥치환술은 11명에서 좌심방대퇴동맥간 centrifugal 펌프을 통한 우회로를 하며 수술하였고, 11명에서 대퇴동정맥 사이에, 4명은 우심방과 상행대동맥 사이에 심폐기를 가동하며 이중 6명은 극저체온순환정지하에 수술을 하였다. 흉복부대동맥 치환술은 6명에서 대퇴동정맥을 통한 심폐기를 가동시키며 수술하였고 3명은 대퇴정맥에 삽관하여 흡입한 혈액을 pump 로 주입하며 수술을 하였고 한 명은 심폐기의 도움없이 수술하였다. 결과: 수술합병증은 신부전 7례, 간기능부전 11례, 폐혈증 2례, 호흡부전 5례, 심부전 2례, 뇌경색 7례, 허혈성 척추손상 1례 등이 발생되었다. 술 후 원내 사망은 9례로 수술직후 24시간 이내 사망한 경우가 6례로 사망원인은 출혈 2례, 심부전 2례, 신부전 2례 등이었고, 수술 후 1주 뒤 원내 사망은 3례로 패혈증, 호흡부전증, 뇌경색증 등으로 사망하였다. 퇴원 후 만기 사망은 3례로 사인은 원위부 파열로 인한 쇽 와 뇌경색증 폐렴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흉부대동맥치환술을 받은 환자 26명 중 수술사망은 5명이며 이중 3명이 극저체온 순환정지하에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이었다. 흉복부대동맥 치환술을 받은 10명 중 수술사망은 4명이었고 이중 2명이 복부동맥을 같이 광범위하게 치환한 환자들이었다.

하행 흉부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 후 척수 손상과 뇌손상 위험인자 분석 (Risk Factor Analysis for Spinal Cord and Brain Damage after Surgery of Descending Thoracic and Thoracoabdominal Aorta)

  • 김재현;오삼세;백만종;정성철;김종환;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6호
    • /
    • pp.440-448
    • /
    • 2006
  • 서론: 하행 흥부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은 척수 손상을 포함한 신경학적 손상의 가능성이 높은 수술로서 이에 대한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하행 흉부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 후의 척수 손상과 뇌 손상의 발생빈도와 위험요소를 알아봄으로써 신경학적 손상을 예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0월부터 2005년 7월까지 하행 흉부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을 시행 받은 33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하행 흉부 대동맥 수술은 23예, 흉복부 대동맥 수술은 10예였고, 원인 질환으로는 대동맥 박리증이 23예, 대동맥류가 10예였다. 신경학적 손상에 대한 위험인자를 알아내기 위해 수술 전 및 수술 중 변수에 대한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하지마비가 2예(6.1%)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1예는 영구적 손상이었다. 뇌 손상은 7예 (21%)에서 발생하였고 영구적 뇌 손상은 4예(12%), 일시적 뇌 손상은 3예 발생하였다 척수 손상에 대한 위험인자로는 흉복부 대동맥질환 분류의 Crawford II III형(p=0.011)과 늑간 동맥 문합을 시행한 환자군(p=0.040)으로 나타났다. 뇌 손상에 대한 위험인자로는 심폐기 가동시간이 200분 이상(p=0.023), 좌심방 vent를 시행한 환자군(p=0.005)으로 나타났으며 좌심실 부분 바이패스(left heart partial bypass)는 뇌 손상을 예방하는 인자로서 의미 있게 나타났다(p=0.032). 결론: 하행 흥부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 후에 발생하는 신경학적 손상 중에서 뇌 손상의 발생빈도가 척수 손상에 비해 높았다. 좌심실 부분 바이패스를 시행한 군에서는 뇌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뇌 보호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척수 손상의 위험이 높은 Crawford II III형 환자나 늑간 동맥 문합이 필요한 환자들에서는 척수 보호를 위한 별도의 조치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흉복부대동맥치환술에서 극저체온하순환정지법의 효과 (The Thracoabdominal Aortic Replacement Using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Technique)

  • 우종수;방정희;김시호;최필조;조광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194-200
    • /
    • 2006
  • 배경: 흉복부대동맥치환술은 흉강과 복강 및 횡격막의 절개가 필요한 광범위한 수술로 수술합병증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본 교실에서 2001년까지의 성적은 이미 보고한 바 있었으나 그 후 극저체온하 순환정지법을 사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비교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96년에서 2005년 8월까지 흉복부대동맥치환술을 20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원인질환은 동맥경화성흉복부대동맥류가 8예, 박리성흉복부대동맥류가 12예였다. 치환범위로는 Crawford분류법으로 I형이 2예, II형이 7예, III형이 1예, IV형이 7예, V형이 3예였다. 이들의 결과를 이미 보고한 시점인 2001년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걸과: 2001년 이전에 수술한 흉복부대동맥치환술 환자 9명중에 5명이 사망하였는데 type I, II의 3명은 모두 사망하였었다. 그 후에는 기존의 방법을 바꾸어 Crawford type I, II의 광범위 흉복부치환술 6명에서 극저체온하순환정지법을 사용하고, type III, IV, V의 국소 흉복부 치환술 5명에서 대퇴동정맥체외순환으로 적극적인 늑간동맥문합을 시행한 결과 11 명 모두에서 허혈성 합병증 없이 모두 치료되어 외래 경과 추적 중이다. 결론: 극저체온하 순환정지법은 광범위 흉복부대동맥을 안전하게 치환하게 하는 수기이다.

위 누공을 동반한 흉복부 대동맥류의 치료 1례 (Treatment of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with Aortogastric Fistula -A Case Report-)

  • 양기완;장원채;오봉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26-29
    • /
    • 2003
  • 흉복부 대동맥류에서 대동맥-위누공의 형성은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발생시 누공을 통한 다량의 출혈로 인해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환이다. 본 전남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흉복부대동맥류와 위기저부 사이에 발생한 누공으로 인해 다량의 토혈이 있었던 환자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이 증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외과적 치료를 가한 광범위 흉복부 대동맥류 1례 (A Case of Extensive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Treated by Excision and Replacement of Dacron Graft)

  • 유회성;유원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권2호
    • /
    • pp.139-142
    • /
    • 1970
  • A Case of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involving from the lower descending- thoracic aorta to bifurcation of abdominal aorta into both common iliac artery is presented in special view-point of its surgical technic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Operative technic is the most popular method of Dr. De Bakey's shunt of Dacron which is bridging thoracic aorta to terminal abdominal aorta primarily as temporary shunt but after anastomosing the individual hranch of left Renal, Celiac, Sup. meseateric and right Renal artery to corresponding part of the Dacron tube, the Dacroa graft is fixed as permanent graft in stead of excised thoraco-abdominal aorta. The patient died of acute renal failure and increasing evidence of CNS damage due to respiratory acidosis on 6th postoperative day hut this report will he a good experience in respect of further progress of aortic surgery in Korea.

  • PDF

Extra-anatomic Aortic Bypass for the Management of Mid-Aortic Syndrome Caused by Takayasu arteritis

  • Yun, Jae Kwang;Kim, Joon Bu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1호
    • /
    • pp.70-73
    • /
    • 2015
  • Lower limb ischemia caused by multiple stenosis of the thoracoabdominal aorta is one of the rare clinical manifestations of Takayasu arteritis. The optimal management of such mid-aortic syndrome related with Takayasu arteritis has not been established to date. Here we report a case of extra-anatomic aortic bypass through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to treat lower limb ischemia caused by Takayasu arteritis.

대동맥수술 후 잔존 흉복부대동맥치환술에 대한 임상 경험 (Surgical Experience of the Remnant Thoracoabdominal Aortic Replacement after Aortic Surgery)

  • 조광조;우종수;최필조;방정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49-54
    • /
    • 2008
  • 배경: 대동맥질환은 전 부위의 대동맥이 병변을 일으키는 특성이 있으므로 수술을 받은 후 다른 부위에 이차 수술의 가능성이 언제나 남게 된다. 이차 대동맥 수술의 특징과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에서부터 2007년 6월까지 본원에서 대동맥 이차 수술로 흉복부 대동맥 치환술을 받은 12명의 환자(남자 6명 여자 6명)를 대상으로 임상 경과를 조사하였다. 수술은 대퇴동정맥간 우회로술로 시행한 하부 흉복부대동맥치환술 4예와 극저체온하 순환정지하에서 시행한 광범위 흉복부대동맥치환술을 8예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사망이나 하지 마비는 없었고 국소 합병증으로 창상감염 3예, 출혈로 인한 재수술 2예, 오염된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 1예 등이 발생하였다. 그 외 혈액투석 1예, 호흡부전 1예 등이 있었으며 평균 입원기간은 $30{\pm}21$일이었다. 평균외래 추적 $626{\pm}542$일 동안 재수술 증례 없이 모두 경과 관찰 중이다. 결론: 응급 상황에 도달하기 전의 적절한 시기에 극저체온 순환정지법을 사용한다면 흉복부대동맥치환술은 이차 대동맥 수술의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