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icrobial paper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1초

목련 꽃 에센셜 오일의 항균 및 항염증 활성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ssential Oil from the Magnolia kobus Flower)

  • 이재열;지광환;양선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8-284
    • /
    • 2020
  • 목련은 항산화효과와 진정작용과 같은 다양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련 에센셜오일의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목련 에센셜 오일은 증류법으로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항균 활성은 S. aureus와 E. coli, P. aeruginosa에 대하여 paper disk diffusion법과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값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목련 에센셜 오일은 S. aureus 균주에 대하여 18 mm의 clear zone형성과 0.25 mg/ml의 MIC 값을 나타내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P. aeruginosa 균주와 E. coli 균주는 clear zone 형성이 각각 14 mm와 17 mm로 나타났다. 또한, MIC값은 각각 1 mg/ml와 0.5 mg/ml로 측정되었다. 항염증 활성은 LPS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NO)와 PGE2의 생성억제율을 조사하였다. 목련 에센셜 오일, 500 ㎍/ml의 농도에서 RAW264.7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지만, NO (37.7%)와 PGE2 (24.0%)억제를 보였다. GC-MS를 이용하여 목련 에센셜 오일을 분석하였다. 목련 에센셜 오일의 3 가지 주요 방향제 성분은 3-carene (77.07%), β-elemene (6.92%) 및 caryphyllene (2.86%)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목련 에센셜 오일이 항균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품 기능성 물질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국내 자생 향장식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Korea Endemic Herb Plants)

  • 차재영;하세은;심선미;박종군;정연옥;김현중;박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8-233
    • /
    • 2008
  • 본 연구는 60여 종의 자생 향장식물 및 한약재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페녹시에탄올을 처리한 군에서의 저해존의 크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적 비율을 분석한 결과 P. aeruginosa 에 대해서는 단삼과 황련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단삼의 경우 97%, 황련의 경우 84% 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에도 작약, 스테비아, 때죽나무, 후리지아, 생강나무, 뽕나무, 오배자, 지유, 황금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S. aureus에 대해서는 오배자, 황련, 단삼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오배자의 경우 78%, 황련의 경우 99%, 단삼의 경우 92%에 해당하였다. 또한 작약, 찔레, 스테비아, 창포, 후리지아, 오디, 생강나무, 구절초, 고삼, 관중, 지유, 황금, 은행나무, 소나무, 인동초, 이나무에서 항균력을 나타냈다. C. albicans에 대해서는 황금의 경우 35%, 황련의 경우 33%의 항균 활성을 보였다. M. furfur에 대해서는 오배자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는데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57%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에도 작약, 찔레, 황련, 진피, 목단피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P. acnes 에 대해서는 황련, 단삼, 오배자, 작약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황련과 단삼의 경우 99%, 오배자의 경우 87%에 해당하였으며, 작약의 경우 꽃에서 추출한 경우 89%, 줄기에서 추출한 경우 35%, 뿌리에서 추출한 경우 22%에 해당하였다. 또한 찔레, 스테비아, 창포, 오디, 오이, 은방울꽃, 생강나무, 구절초, 고삼, 관중, 지유, 후박에서도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리산 자생식물 중에서는 작약, 찔레, 생강나무, 구절초, 소나무에서, 한약재 중에서는 황련, 오배자, 지유, 단삼, 황금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고, 관련되는 성분과 가능한 작용 방식을 논의하였다.

곰팡이에서 분리한 Helicobacter pylori 항균물질의 분리 및 구조규명 (Isolation and Structural Determination of Anti-Helicobacter pylori Compound from Fungus 60686.)

  • 남궁준;연승우;백남수;김태한;김영호;김창진;김기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7-142
    • /
    • 1998
  • 본 실험에서는 만성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발생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H. pylori를 저해하는 특이항균물질을 생성하는 균주를 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액과 곰팡이 추출액을 대상으로 탐색하여 곰팡이 균주번호 60686을 선별하였다. Jar fermentor로 배양하여 얻은 균체를 acetone 및 EtOAc로 추출하였고, 얻어진 추출액을 silica column chromatography와 LH-20 gel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고 HPLC를 사용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단일물질 IDA를 분리 정제하였다. 항균 활성물질 IDA의 구조를 MS, NMR 분석등을 통해 추정한 결과 곰팡이의 2차 대사산물인 cytochalasan의 전형적 구조를 갖는 분자식 $C_{32}H_{36}N_2O_5$의 chaetoglobosin A라는 물질로 판명되었다. 항균물질 IDA의 항균력을 paper disk법으로 실험한 결과 그람양성 균주중에서는 S. aureus SG 511, 285와 503 3주에서만 항균력을 보였고, 그람음성 균주중에서는 H. pylori 4주에서만 항균력을 보였으나 동일농도 처리시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이 S. aureus에 비해 우수한 항균효과를 가진다고 판단되었다.

  • PDF

섬모시풀(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Extracts)

  • 정기수;이선희;양수경;문성필;송관필;김지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39-348
    • /
    • 2020
  • 본 연구는 섬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천연 화장품 소재의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섬모시풀을 70% 에탄올 추출물과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의 순차적으로 용매별 분획을 제작하였다. DPPH과 ABTS 시험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Cutibacterium acnes와 항생제내성균주에 대해서 paper disc 방법, 최소저해농도 및 생육억제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 aureus, S. epidermidis, C. acnes 균주에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추출물과 다른 분획물에 비해 우수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lipopolysaccharide (LPS) 처리한 RAW 264.7 Cell에서 NO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섬모시풀 추출물과 분획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며,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섬모시풀 추출물과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닥나무 박피 자동화를 위한 닥 인피의 구성성분 분석 (Component Analysis of Paper Mulberry Bark for the Automation of Bark Peeling Process)

  • 서진호;김형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1호
    • /
    • pp.74-82
    • /
    • 2011
  • The bast fiber of Paper mulberry has been generally used as a fibrous raw material in traditional Hanji-making. Nowadays, its uses is expanded to different special purposes such as paper mulberry yarn, laminated paper, antimicrobial paper depending on its application. Despite the wide array of the use of mulberry fibers, it is still limited due to some difficulties in the automation process of manufacturing work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paper mulberry bark for the automation of bark peeling process. The bast tissue of paper mulberry was separated in three plies; black outer layer, green inner layer, and white inner layer. The total lignin content, holocelluloses, extractives and ashes, and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three layers in mulberry bark tissue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black outer layer is composed of about 50% of total lignin content, whereas the white inner layer is composed of about 90% of holocellulose content.

망개떡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첨가 (Treatment of $Smilax$ $china$ L. Root Extract for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Mang-gae$ Rice Cake)

  • 고유진;김진용;김은정;김은자;설희경;박근혜;정권용;류충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7-17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균소재로 알려진 청미래덩굴의 잎, 뿌리, 싹과 줄기를 이용하여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항균성과 망개떡의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시판 망개떡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열처리 후 생균수를 측정함으로써 열에 저항성이 강한 식품의 주요 부패 미생물로 알려진 $Bacillus$속 균주가 망개떡 부패의 원인균주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16S rRNA로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 균주가 우점종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acillus$ $subtilis$가 망개떡 부패를 유발하는 원인균주로 사료된다. 망개떡의 청미래잎, 떡피, 팥소 부위 중 떡피 부분에서 가장 많은 생균수를 확인 할 수 있었고, 열처리 후에는 망개떡의 팥소 부위에 가장 많은 미생물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망개떡의 부패 지연을 위해 천연항균소재인 청미래 덩굴의 잎, 뿌리, 싹과 줄기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농축하여 전분함유 식품의 주요 부패미생물로 알려져 있는 $Bacillus$ $cereus$를 피검균주로 하여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뿌리에서 가장 높은 항균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균성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뿌리 추출물 5%를 첨가하여 생육저해환의 직경을 확인한 결과 12.90 mm로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망개떡의 팥소에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을 5% 첨가한 결과 시판 망개떡의 팥소에 비해 미생물의 생육이 현저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망개떡의 팥소에 청미래덩굴 추출물 5%를 첨가하여 망개떡을 제조한다면, 시판되는 망개떡의 저장기간과 유통과정에 있어서의 부패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조재용;임상철;최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91-496
    • /
    • 2006
  • 18종의 한약재 MeOH 추출물과 EtOH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하고초, 소목, 오배자 및 향유는 5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지실, 금은화 및 황금 등은 10mg/ml, 오미자, 초두구 및 희렴 등은 30mg/ml 이상에서 항균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MeOH추출물에서는 $1{\sim}34mg/ml$, EtOH추출물에서는 $1{\sim}46mg/ml$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분획 층 중 EtOAc층에서 성장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소목, 오배자 및 황금추출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각각의 추출물을 0, 100, 300 및 500ppm의 농도로 첨가하여 균주의 증식을 조사한 결과 배양후 24시간에 소목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4인 반면 1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03$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고, 오배자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4인 반면 3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03$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황금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4인 반면 3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07$ 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제대염, 부종성 피부염 및 관절염 등의 다양한 가축질병을 일으키는 Staphylococcus aureusi의 감염을 예방하거나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한약재 추출물 사료첨가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pplication of Edible Red Algae Paper Coated with Green Tea Extract for Shelf Life Extension of Kimbab

  • Ku, Kyoung-Ju;Hong, Yun-Hee;Seo, Yung-Bum;Chung, Kyung-Sook;Won, Mi-Sun;Song, Kyung-B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421-424
    • /
    • 2008
  • Edible red algae paper coated with green tea ext Tact was prepared and determined the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change of kimbab wrapped with the paper during storage. The paper coated with green tea extract ha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After 12 hr of storage of kimbab, packaging with the paper coated with green tea extract decreased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by 1 log cycle. Kimbab wrapped with the red algae paper coated with green tea extract had 5.5 mg malondialdehyde (MDA)/kg after 12 hr, in contrast to the control of 7.4 mg MDA/kg. Kimbab with red algae paper with green tea extract was better than the control in terms of sensory qualities.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kimbab can be packaged with red algae paper coated with green tea extract, resulting in extending its shelf life.

절화류의 선도 유지를 위한 기능성 첨가제 및 포장 원지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Additives and Packaging Paper for Prolonging Freshness of Cut Flowers)

  • 김철환;조성환
    • 펄프종이기술
    • /
    • 제34권2호
    • /
    • pp.32-41
    • /
    • 2002
  • To prolong freshness and to reduce a decay rate of cut flowers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a new packaging paper was developed with grapefruit seed extracts(GFSE) as a natural microorganism control agent. The GFSE was fractionated in order to identify antibiotic fractions by HPLC equipped with C18-reverse phase column chromatography. Among the active fractions, three ones were identified as 1-chloro-2-methyl-benzene (ο-toluene), N, N-dimethyl-benzenemethaneamine, and 1-〔2-(2-ethylethoxy)ethoxy〕-4-(1,1,3,3- tetra methyl)-benzene, while the other three remained unidentified. The GFSE-added paper displayed an effectiv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utrefactive bacteria and fungi which were involved in the decay of flowers. Despite excellent antimicrobial acts of the GFSE-treated packaging paper, it wa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cut flowers from being dehydrated during storage, which led to the reduction of their fresh weight. However, additional treatment for giving water- repellency property to the GFSE-treated paper decreased a reduction rate of the fresh weight up to around 50% compared to the only GFSE-treated one.

문화재 보존·보관용 천연염색지 개발(제2보) - 천연염색지의 기능성 연구 - (Development of Natural Dyed Korean Traditional Paper for Cultural Properties Conservation and Storage (Part 2) - Antifungal, Insect Repellent Activities and Stability on Metals -)

  • 이상현;유승일;최태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3호
    • /
    • pp.80-9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natural dyed Hanji for cultural properties conservation and storage. To estimate functional properties of Hanji, antimicrobial, insect repellent test, and Oddy test were executed. Hanji dyed with 10% Golden thread (Coptis chinensis), a natural dye and silver nitrate mordanting showed the most excellent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A. niger, P. chrysogenum, and Trichoderma sp. before and after aging. The insects repellent test followed didn't indicate significant effects on treated Hanji against Lasioderma serricorne, Sitophilus zeamais, and Tribolium castaneum. According to Oddy test result, Hanji dyed with Golden thread and silver nitrate caused no significant corrosions on copper, silver, and lead after aging 28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