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genicity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1초

가압가열 및 microwave에 의한 중력분 반죽 gliadin의 항원성 변화 (Effects of Autoclave and Microwave Treatments on the Antigenicity of Gliadin in Medium Wheat Dough)

  • 곽지희;김꽃봉우리;이청조;김민지;김동현;선우찬;정슬아;김현지;최정수;김성원;안동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5-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에 의한 중력분 반죽 추출물 내의 gliadin 단백질의 항원성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력분 반죽에 가압가열과 microwave를 단독 또는 병행으로 처리하여 ci-ELISA, SDS-PAGE 및 immunoblotting을 실시하였으며, 가압가열 처리에 의해서 anti-gliadin IgG 항체와 gliadin과의 결합력이 다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30 min 이상 처리시 더욱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SDS-PAGE와 immunoblotting 결과에서도 gliadin band의 강도가 약해지고 항체와의 반응도 나타나지 않았다. Microwave 처리의 경우, 5 min 이상 처리시 일부gliadin 단백질의 소실이 관찰되었으나, 항원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가압가열 및 microwave 병행 처리에 의해 항원-항체 결합력이 더욱 감소되었으며, 특히 가압가열 50 min, microwave 10 min 처리시 약 35.0%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가압 가열 처리에 의해 중력분 반죽 추출물 내 gliadin의 항원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microwave와 병행 처리하는 경우, 더욱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물리적 처리에 의한 돼지고기의 항원성 변화 (Changes of Pork Antigenicity by Heat, Pressure, Sonication, Microwave, and Gamma Irradiation)

  • 김서진;김꽃봉우리;송유진;이소영;윤소영;이소정;이청조;박진규;이주운;변명우;안동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09-7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돼지고기에 여러 가지 물리적 처리를 실시한 후 PSA의 항원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돼지고기의 알레르겐성 감소에 가장 효과적인 처리 조건을 찾아 항원성이 저감화 된 돼지고기 제품 개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먼저, 돼지고기에 가열, 가압가열, microwave, 초음파 및 감마선을 처리하고 주요 항원인 PSA를 추출하였다. 그후, ci-ELISA, SDS-PAGE 및 immunoblotting을 실시하여 돼지고기의 항원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80과 $100^{\circ}C$에서 각각 20분간 가열처리 했을 때와 $121^{\circ}C$에서 5, 10 및 30분 가압가열 처리한 경우 PSA와 IgG 항체와의 결합력이 약 10% 이하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가압가열 30분처리 시에 결합력이 5% 이하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SDS-PAGE와 immunoblotting 결과에서도 무처리구에서 강하게 보였던 PSA band가 80, 100 및 $121^{\circ}C$ 처리에 의해 소실되고 항체와 반응하지 않았다. 또한, microwave 처리시에는 5분과 10분 처리구의 경우 IgG와의 결합력이 각각 12% 및 10% 정도로 많이 감소하였지만 microwave 1분 처리와 낮은 온도에서 1, 5, 10 및 20분간 처리한 경우에는 약 80% 이상의 높은 결합력을 유지하였다. 초음파(5, 10, 30 및 60분) 및 감마선 처리(1, 3, 10 및 20 kGy)에 의한 돼지고기의 항원성 변화를 알아본 결과에서는 초음파 처리구 전체에서 여전히 높은 결합력을 유지하였으며 SDS-PAGE에서도 초음파 처리구의 PSA band는 무처리구와 비교 시 크게 약화되지 않았다. 감마선 처리구는 모든 선량에서 IgG와의 결합력이 무처리구 보다 약 10-15% 정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낮은 온도에서 microwave 및 초음파 처리한 경우와 감마선 처리한 경우는 돼지고기의 항원성을 감소시키는데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지만, $80^{\circ}C$ 이상의 가열처리는 항원성을 크게 감소시켰다. 특히, PSA는 가압가열처리 시 가장 크게 변화하였으므로 본 연구에 사용된 가압가열 처리조건을 저 알레르기 돼지고기 식품 개발에 응용할 경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것으로 사료된다.

물리적 처리에 따른 우육추출물중의 BSA와 BGG단백질의 SDS-PAGE패턴 및 항원성의 변화 (Changes of SDS-PAGE Pattern and Allergenicity of BSA and BGG in Beef Extract Treated with Heat and High Pressure)

  • 한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94-599
    • /
    • 2006
  • 이전의 연구에서, 우육중의 주된 알레르겐은 우육추출물 중의 BSA, BGG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단백질의 열처리와 초고압처리와 같은 물리적 처리에 따른 SDS-PAGE상의 변화와 우육알레르기 환자의 혈청을 이용한 알레르겐성의 변화를 Western blots로 관찰하였다. 우육추출물에 대한 열처리에 의한 알레르겐 단백질의 변화에서, $100^{\circ}C$ 가열처리군에서 BSA band는 큰 감소를 보였으나, BGG band는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남아 있었고, 항원성 역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는 하였으나 여전히 유지되고 있었다. $120^{\circ}C$이상의 열처리는 추출물중의 BSA와 BGG band 의 소실과 이에 따른 항원성의 큰 감소를 가져왔다. 우육추출물중의 BSA단백질은 열처리에서와 달리 초고압처리에 의하여 전기영동상에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BGG 단백질은 400 MPa 가압처리군부터 전기 영동상 band가 감소하였고, 항원성 역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초고압처리 정도에 따른 우육추출물중의 BSA와 BGG를 포함한 여러 분자의 SDS-PAGE상의 특이적 변화가 최초로 시사된 결과이다. 이러한 BGG 단백질의 고압처리에 의한 변화는 추출물중의 어떤 효소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었고, 고압처리 후 $37^{\circ}C$숙성 실험으로 이러한 가설이 확인되었다. 우육추출물에 존재하고 초고압처리로 활성화되어 BGG분자에 특이적으로 관여하는 효소 및 이와 관련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물리적 처리에 의한 강력분 밀가루 Gliadin의 항원성 변화 (Changes in Allergenicity of Gliadin in Strong Wheat Flour by Physical Treatments)

  • 강보경;김꽃봉우리;김민지;박시우;박원민;김보람;안나경;최연욱;최정수;최호덕;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57-56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가 gliadin의 항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강력분에 가압가열과 microwave를 단독 또는 병행으로 처리하여 Ci-ELISA, SDS-PAGE 및 immunoblotting을 실시하였다. 가압가열 처리의 경우 시간이 길어질수록 IgG와의 결합력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50분 처리구에서 약 87%로 가장 낮은 결합력을 보였다. 또한 SDS-PAGE와 immunoblotting 결과에서도 무처리구에서 강하게 보였던 gliadin band가 가압가열 처리에 의해 거의 소실되고 항체와 반응하지 않았다. 가압가열 및 microwave를 병행 처리 시도 마찬가지로 gliadin의 결합력이 감소하였으며, 처리구 중 가압가열 50분, microwave 5분 처리구에서 약 93%로 가장 낮은 결합력을 보였다. 반면 microwave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일부 단백질의 변화는 관찰되었으나, 항원성 감소에는 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여 단백질 변화가 항원성에는 큰 효과를 준 것 같지 않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가압가열 단독 처리 및 가압가열 및 microwave의 병행처리 시 gliadin의 항원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부분정제 폐흡충 항원의 유용성 검토 (On the Applicability of Partially Purified Antigenic Preparations of Paragonimus westermani)

  • 김석일;강신영조승열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257-264
    • /
    • 1983
  • In order to obtain more specific antigenic preparation for the diagnosis of human paragonlmiasis, crude saline extract of whole worm (=PwWWE), secretory.excretory components (PwSEC) and secretion-excretion-free somatic extract (PwSM) of 12 week-old ParagoninBus westermani were filtrated through Sephadex G-200 gel column. The adult Paragonimus worms were obtained from expevimentally infected doge. A total of 11 antigenic solutions was Iyophilised or diluted to adjust protein content of 1mg/ml. To evaluate the antigenicity of crude antigens and fractions, micro-ELISA was done with the sera from P westermani in(ected cases, C. sinensis infected cases and non-infected control cases to detect Paragonimus specific IgG antibo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PwWWE was filtrated through Sephadex G-200 gel, it was separated into three fractions; PwWWE Fr. 1, PwWWE Fr. 2 and PwWWE Fr. 3. The percentage of protein content was 28.0%, 21.6% and 50.4% respectively. The PwSM was also. separated into three fractions; PwSM Fr. 1, PwSM Fr. 2, PwSM Fr. 3. and their percentage of protein content was 41.3%, 38.6% and 20.1%. However, the PwSEC showed different fractionation pattern; i.e. fraction 1 (=PwSEC Fr.1) and 3 (PwSEC Fr. 3) without fraction 2. The percentage of protein content was 14.0% in PwSEC Fr. 1 and 86.0% in PwSEC Fr. 3. 2. When the antigenicity of each Paragonimus crude antigen and fractionated antigen was evaluated for specific IgG aritibody by micro-ELISA in 10 human paragonimiasis sera, PwSEC Fr, 1 was the most potent antigen showing the mean absorbance 1.98. The PwWWE Fr. 1, PwSEC, PwWWE were next to that: their mean absorbance were 1.72, 1.38 and 0.83 respectively. The antigenicity of fractions 2 and 3 was much weaker in binding specific IgG antibody. 3. When the antigens were reacted in micro-ELISA with 10 human clonorchiasis sera, most antigens showed weak reactivity. Each fraction 1 of crude antigens reacted higher than other fractions or crude antigens; the mean absorbance was 0.17 in fraction 1, but in others the absorbances were about 0.06. 4. With non-infected control sera, the result of micro-RLISA revealed almost same pattern with those of the clonorchiasis sera. From the above results, it became apparent that PwWWE Fr. 1, especially PwSEC Fr. 1 was the most potent antigen reacted with Paragonisfaus specific IgG antibody.

  • PDF

골수생검조직의 조직병리검사에서 탈회방법에 따른 결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Bone Marrow Biopsy Decalcification Methods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 박지영;한경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71-377
    • /
    • 2016
  • 탈회방법은 골수조직의 병리학적 진단을 위해서 항상 시행되는 과정이다. HCl 탈회용액과 같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산성용액은 탈회과정 동안에 조직내의 항원성에 손상을 입힌다. 특히, 골수조직 내의 RNA나 DNA에 심하게 손상을 준다. 따라서 조직의 항원성을 보존하기 위한 표준화된 탈회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HCl 기반의 상품화된 탈회용액과 직접 제조한 EDTA 탈회용액이 골수조직의 탈회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환자로부터 채취된 73예의 골수생검조직을 HCl 탈회와 EDTA 탈회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탈회과정을 진행하였다. 골수생검조직의 탈회과정 후 결과의 차이는 hematoxylin & eosin 염색과 reticulum 염색, Ki-67, CD20, CD138의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 DNA 추출 및 분석, in situ hybridization, IGH gene rearrangement 와 같은 분자병리검사를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염색과 특수염색에서는 두 탈회용액간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세포증식 표지자와 같은 세포막 혹은 세포질에서 발현되는 항체는 탈회용액간의 차이 없이 잘 염색되었다. 반면 HCl 탈회 용액에 처리한 후 핵 내 단백질인 Ki-67의 염색상은 현저히 불량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HCl 탈회용액과 비교하여 EDTA 탈회용액에서의 골수생검조직 내의 DNA와 RNA가 잘 보존되었음을 다양한 분자병리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HCl 탈회용액에 처리한 28예와 EDTA 탈회용액에 처리한 12예의 DNA의 순도와 농도을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EDTA 탈회용액이 조직 내의 항원성을 잘 유지시키며, 면역조직화학염색과 분자병리검사에 적합한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돈지육 및 돈육 중 열안정성 단백질의 존재 확인과 이의 항원성 확인 (Thermal Stable Soluble Proteins in Pork Fat and Meat, and Their Antigenicity)

  • 김정숙;이정은;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45-45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돈지육 및 돈육 조직 내에 열안정성 수용성 단백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항체 생산에 있어 항원으로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돈지육 및 돈육을 생(raw) 시료와 조리된(cooked) 시료로 구분하여 비열처리 및 열처리법으로 단백질을 추출한 후 단백질 존재여부를 단백질 정량과 SDS-PAGE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돈지육과 돈육 모두 생 시료를 비열처리법으로 추출한 시료의 경우 25~100 kDa 사이의 다양한 단백질이 확인된 반면 시료를 가열하거나 추출 시 열처리를 한 경우 돈지육에는 100 kDa 이상의 단백질과 30 kDa 및 15 kDa 이하의 일부 단백질이, 돈육에는 100 kDa 이상과 30 kDa 이하의 단백질이 확인되어 돈지육과 돈육에 열안정성 수용성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열안정성 수용성 단백질을 마우스에 면역 후 항혈청 역가를 측정한 결과 면역한 모든 마우스에서 높은 역가를 나타내었고, 생산된 혈청은 돈지육과 돈육에 각각 특이적인 반응성을 보인 반면 다른 축육과 지방육에 대해서는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돈지육 및 돈육에 존재하는 열안정성 수용성 단백질이 돈지육과 돈육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개발하는데 유용한 마커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열안정성 수용성 단백질에 대한 항체개발은 열처리된 축육 가공품 중 돈지육 및 돈육의 분석에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란 알레르기 환자의 IgE 항체를 이용한 처리 난백 중 ovomucoid의 알레르기성 조사 (The Allergenicity of Ovomucoid in Treated Egg Whites to Human IgE Antibody from Egg-Allergic Patients)

  • 류주현;김현정;안강모;이상일;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43-348
    • /
    • 2008
  • 여러가지 방법으로 난백을 처리하고 난백 중 주요한 알레르겐인 OM의 알레르기성 변화를 계란 알레르기 환자의 IgE 항체를 이용한 간접경합 ELISA로 조사하였다. 12종의 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 방사선조사, succinic anhydride 처리는 OM의 알레르기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지 못 하였다. OM의 당쇄를 제거하는 TFMS의 처리는 OM의 알레르기성을 1/20 정도로 감소시켰다. $100^{\circ}C$에서 10분간의 열처리는 알레르기성을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나 $121^{\circ}C$(10분)의 처리는 난백 중 OM의 알레르기성을 1/100정도로 감소시켰다. NaOH 단독 처리는 3%(w/v) 이상에서 알레르기성이 대부분 사라졌고, NaOH(0.3%(w/v) 이상)와 열($70^{\circ}C$,15 min)의 복합처리는 알레르기성을 1/10,000 이하로 낮춤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환자의 IgE 항체를 이용한 ELISA 분석결과와 동일 시료에 대한 토끼 IgG 항체의 ELISA 결과는 대체적으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TFMS 처리물에 대한 반응성은 후자에서 훨씬 많이 감소되어(1/10,000) 대조적이었다. 이는 식품의 항원성과 알레르기성 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수동피부아나필락시스 시험, immunoblot, 식품알레르기 생쥐모델에 의한 난백 처리물의 알레르기성 평가 (Allergenicity of Treated Chicken Egg Whites as Determined by a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Test, Immunoblot Analysis, and a Mouse Model of Food Allergy)

  • 김현정;류주현;이수영;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68-573
    • /
    • 2008
  • 난백의 알레르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난백의 알레르기성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PCA) test, immunoblot, 생쥐모델에 의한 알레르기 유발시험을 실시하였다. PCA test결과 열처리($121^{\circ}C$, 30 min)한 난백은 처리하지 않은 난백에 비하여 그 항원성이 1/8 정도로 감소되었으며, NaOH처리군은 0.3%와 1%에서 각각 1/4, 1/8로 항원성의 감소를 보였다. 특히, NaOH처리 후 열처리(70oC, 15 min)를 추가적으로 복합처리한 난백의 경우, NaOH 0.3%(w/v)에서는 1/8 정도로, NaOH 1%(w/v)에서는 1/32 정도로 강력하게 항원성이 감소되었다. 계란 알레르기 환자의 IgE 항체를 이용하여 immunoblot을 실시한 결과 121oC로 열처리한 시료에서 난백의 주요 단백질 band가 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NaOH와 열로 복합처리한 난백의 경우에도 NaOH 0.1%(w/v) 이상에서 band들이 대부분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쥐모델에 의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난백으로 유도한 전신알레르기 증상의 평균점수는 1.85이었으나 복합처리한 난백의 경우 그 점수가 0.20로 현격하게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상기 3종의 시험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난백의 알레르기성 저감화 방법은 복합처리(NaOH(1%, w/v) 및 열($70^{\circ}C$, 15min))임이 확인되었다.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 preS2 부위의 항원결정인자 규명 (Antigenic Determinant Mapping in preS2 Region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 권기선;김창수;박주상;한문희;유명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18
    • /
    • 1990
  • adr아형 B형 간염바이러스의 preS2유전자 부위를lacZ 유전자의 5말단에 연결하여 preS2-$\beta$-galactosidase 융합단백질을 생성하는 플라스미드, pTSZ를 건설하였다. 갈본된 preS2 유전자의 3' 및 5발단을 결손시켜 얻은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발현시킨 후 결손된 preS2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의 항원성을 단일클론항체 H8을 사용하여 비교하며 보았다. 양말단에서 일정부위까지의 결손은 항원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그 이상의 결손에 의하여는 항윈성이 소실됨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항원성 전한부위를 DNA 염기서열 분석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항원결정인자의 양말단은 preS2 서열 중 아미노산 전기 130-132와 140→142 사이에 각각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아미노산 143번의 결손은 항원성의 부분적인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아 항원성 결정에 보충적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한편 adr과 adw2아형 간의 아미노산서열의 차이가 항원결정부위 중 130, 132 및 141번 위치에 존재하며 단일를론항체 H8이 adr아형에만 특이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부터, 세 잔기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아형특이성에 관여한다고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