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acterial study

검색결과 1,664건 처리시간 0.041초

뽕잎 추출물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균사체 배양액의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 생육억제 효과 (Growth Inhibi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 by mycelial culture broth of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mulberry leaf extract)

  • 박상상;성숙희;류영배;조용운;최영주;박기훈;갈상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2-37
    • /
    • 2008
  • 본 연구는 뽕잎 추출물에 눈꽃 동충하초 균사체(Paecilomyces japonica) 배양액의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생육 억제 활성을 조사한 것이다. 배양 배지내의 뽕잎 추출물 농도는 3%일 때 가장 높은 여드름 균 생육 억제 활성이 나타났으며, 3% 농도의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균사체 배양날짜별 활성은 25일 배양시 가장 높은 여드름 균 생육 억제 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여드름 균에 생육 억제 활성을 가지는 물질은 동충하초 균사체의 2차 대사산물로 판단 할 수 있었다. 뽕잎 추출물에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의 처리농도별 여드름 활성은 처리 농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였다. 그리고 5% 감자만을 넣고 배양하였을 경우 여드름 균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합성 배지인 PDB를 사용 시 뽕잎 추출물을 이용해 배양하였을 때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뽕잎 추출물에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의 여드름균 생육 억제 활성의 열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한 열처리 결과, $100^{\circ}C$에서 45분 까지 열에 안정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뽕잎 추출물에 동충하초 배양액의 여드름균 생육 억제 물질은 배당체 또는 peptide 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은 여드름균 생육 억제 활성이 뛰어나며, 열에 안정한 천연 여드름 억제 화장품료 조성물로서의 이용가능성이 확인 하였다.

  • PDF

Lactobacillus 분리균주의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가능성 검토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Isolates)

  • 방지훈;신화진;최혜정;김동완;안철수;정영기;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1-258
    • /
    • 2012
  • 본 연구는 동물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생리생화학적 특성과 16S 리보솜 DNA 분석 결과 BCNU 9041, 9042는 Lactobacillus brevis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안전성 실험을 시행한 결과, 이들 균주는 용혈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se, tryptophanase 및 urease와 같은 유해한 생성물을 생성하지 않는 안전한 생물자 원임이 확인되었다. BCNU 9041 및 9042은 pH 2.5의 산성 조건 및 담즙에서(0.3, 0.6, 1%의 oxgall이 포함된 MRS broth) 높은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식중독 원인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및 Shigella sonnei 에 대한 항균활성이 뛰어났다. 또한 BCNU 9041, BCNU 9042은 92-95%의 높은 소수성과 BSH (bile salt hydrolytic) 활성 및 cholesterol 흡수력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바이오틱로서의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BCNU 9041와 BCNU 9042의 기능성 식품 및 건강관련 제품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의 급여가 산란계의 혈액지질, 맹장 미생물, 계란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etary Inuloprebiotics on Egg Production and on the Microbial Ecology and Blood Lipid Profile of Laying Hens)

  • 박상오;박병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80-888
    • /
    • 2012
  • 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 내 항균성장촉진제로써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 L.)로부터 추출, 제조한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Inuloprebiotics, INP)의 고수준 첨가가 산란능력 및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9주령의 갈색산란계(Hyline brown) 320마리를 이용하여 처리구당 80마리씩 개체별, 반복구로 나누어서 완전임의 배치한 후 10주 동안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실험처리구는 T1 (무첨가 대조군), T2 (INP 450 ppm 첨가군), T3 (INP 600 ppm 첨가군) 및 T4 (INP 750 ppm 첨가군)로 구분하였다. 산란율, 난중, 사료섭취량 및 계란의 호우유니트, 난각두께, 파란강도는 T1과 비교할 때 T2, T3, T4가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T2, T3, T4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계란의 콜레스테롤은 T1이 가장 높았고 T4, T3, T2 순서로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에서 15.04-17.98%까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계란 포화지방산 조성은 T2, T3, T4가 T1에 비해서 낮았으나 불포화지방산은 그 반대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액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은 T1과 비교할 때 T2, T3, T4에서 21.71-24.07% 및 27.17-30.36%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맹장의 유익한 미생물,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의 성장은 T2, T3, T4가 T1과 비교할 때 자극되었으나 유해한 Escherichia, Salmonella의 성장은 뚜렷하게 억제되었다(p<0.05). 본 연구결과는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450 ppm을 산란계 사료 내 첨가해주면 산란성적 및 계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 추출물이 흰쥐의 췌장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Extract on Pancreatic Fibrosis in the Rat)

  • 최난희;김종봉;김진택;박인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04-911
    • /
    • 2012
  •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은 저혈당에 민간요법으로 이용해 오고 있는 구근작물이다. 최근에는 야콘잎이 항산화, 항균, 항진균 활성과 세포보호 기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생리활성을 지니는 야콘잎을 이용하여 흰쥐에 DBTC (8 mg/kg)를 주사하여 췌장염을 유발시킨 후 1% 야콘추출물이 췌장의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유발 21일째 처리군에서 췌장의 실질조직의 많은 부분이 collagen으로 재구성되어 있었으나 유발군에서는 처리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어 있었다. COX-2 발현에서, 대조군은 반응이 나타나지 않거나 매우 약한 반응이었으나, 유발군에서는 14일째 매우 증가되었으며, 특히 21일째는 침윤하고 있는 많은 염증세포에서 COX-2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처리군은 유발군에 비해 발현이 감소되었다. TGF-${\beta}1$ 발현은 21일째 염증세포에서는 유발군이 처리군에 비해 현저한 증가 현상이 나타났으나, 샘꽈리세포에서의 TGF-${\beta}1$의 발현은 처리군에서 증가되었다. VEGF 발현은 TGF-${\beta}1$의 발현과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야콘추출물이 DBTC로 유도된 췌장염의 섬유화 진행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168개 고세균 균주들의 보존적 유전자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Conservative Genes in 168 Archaebacterial Strains)

  • 이동근;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813-818
    • /
    • 2020
  • 고세균 유전체들 사이의 공통적 유전자를 파악하는 archaeal clusters of orthologous genes (arCOG) 알고리즘으로, 168 균주의 고세균들에 공통적인 보존적 유전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존된 ortholog의 수는 168, 167, 166 및 165 균주에서 각각 14, 10, 9 및 8개였다. 이들 41개의 arCOG 중에서 번역, 리보솜 구성 및 생합성에 관련된 arCOG가 13개로 가장 많았고 DNA의 복제와 재조합 및 수복에 관련된 arCOG가 10개로 다음으로 많았다. 168개의 고세균 균주들에 보존적인 14개의 arCOG들은 tRNA synthetase가 6개로 가장 많았다. 리보솜과 반응, tRNA 합성, DNA 복제, 전사와 관련한 arCOG가 각 2개씩으로 고세균에서 단백질 발현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보존적 arCOG 구성원들의 distance value의 평균으로 3개 이상의 구성원을 가지는 강(class)과 목(order) 수준에서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Euryarchaeota 문의 Archaeoglobi 강과 Thermoplasmata 강이 각각 최저치와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기초과학 연구와 함께 항균제 개발 및 종양 제어 등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사배위 N2O2 Schiff 염기 리간드와 그 희토류 금속착물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etradentate N2O2 Schiff Base Ligand and its Rare Earth Metal Complexes)

  • Shelke, Vinod A.;Jadhav, Sarika M.;Shankarwar, Sunil G.;Munde, chut S.;Chondhekar, Trimbak K.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436-443
    • /
    • 2011
  • o-phenylenediamine, 3-acetyl-6-methyl-(2H)pyran,2,4(3H)-dione (dehydroacetic acid 또는 DHA) 및 2, 4-dihydroxy benzaldehyde에서 비롯된 4-hydroxy-3-(1-{2-(2,4-dihydroxy-benzylidene)-amino phenylimino}-ethyl)-6-methyl-pyran-2-one ($H_2$L)의 La(III), Ce(III), Pr(III), Nd(III), Sm(III) 및 Gd(III) 고체착물을 합성하여 원소분석, 전도도법, 자기수자율, UV-vis, FT-IR, 1H-NMR, X-선 회절, 열분석으로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항미생물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FT-IR 스펙트럼 결과에 의하면 이 리간드는 중심금속에 대해 ONNO 주개원자를 통해 이염기성 사배위 리간드로 행동함을 알 수 있다. 원소분석 결과로부터 이들 착물의 화학량론비는 1:1 (금속: 리간드)임을 알 수 있다. 물리 및 화학적 실험결과로부터 La(III), Ce(III), Pr(III), Nd(III), Sm(III) 및 Gd(III) 착물은 일그러진 팔면체의 기하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X-선 회절 데이터로부터 La(III) 및 Ce(III) 착물은 단사정계, 그리고 Pr(III) 및 Nd(III) 착물은 사방정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들 착물의 열적 행동(TG/DTA)을 연구하였으며, 속도론적 파라메타를 Horowitz-Metzger 및 Coats-Redfern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리간드와 그 착물의 항박테리아 활성도를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및 Bacillus Sp.에 대해, 그리고 살균활성도를 Aspergillus Niger, Trichoderma 및 Fusarium oxysporum에 대해 각각 조사하였다.

소목(Caesalpinia sappan L.)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 및 부착 억제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Adherence Inhibition on Streptococcus mutans by Ethyl Acetate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 권현정;김용현;한국일;전미애;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2
    • /
    • 2012
  • 본 연구는 소목(Caesalpinia sappan L.)의 6가지 유기용매 분획물 중 IP-3의 항균활성을 및 부착능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ethanol에 의해 분리된 소목의 항균 물질 수율은 총 4.8%로 나타났으며, 여러 분획물 가운데 EtOAc 분획물(IP-3)에서 3.94%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2. 소목의 EtOAc 분획물에서 최종 정제된 활성물질은 UV 288.3 nm에서 최대 흡수피크를 나타내었으며, NMR spectrum을 통해 brazilin(($C_{16}H_{14}O_5$)으로 확인되었다. 3. S. mutans에 대한 소목의 EtOAc 분획물의 항균 활성은 최소억제농도(MIC) 3.1 mg/ml에서 균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4. S. mutans 부착억제효과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를 S. mutans와 24 시간 동안 함께 배양한 대조군은 균 부착률이 높게 관찰되었으나, 소목의 EtOAc 분획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HA에 S. mutans의 부착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소목에서 추출된 EtOAc 분획에 존재하는 brazilin이 구강 내 우식원성세균에 강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S. mutans의 부착 억제능이 확인되어 우식원성 균주에 대한 생약치료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 연구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Raw Makgeolli)

  • 정상은;김세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4-5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probiotics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내산성, 내담즙성, 장 부착능에 효능이 있는 6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하였다.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pH 2.5의 산성 및 담즙산(0.3% oxgall) 조건에서 내산성과 내담즙성을 측정한 결과 BSM-2, BSM-3, GSM-3, TJH-1, EHJ-1, EHJ-2의 6개 균주에서 각각 $10^7$, $10^8CFU/mL$ 높은 생존률을 나타내어 우수한 내산성과 내담즙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산성과 내담즙성에 효능이 있는 6개 균주의 16S rDNA 분석 결과, L. plantarum (BSM-2, EHJ-1) L. casei (GSM-3, EHJ-2), L. brevis (BSM-3), P. pentosaceus (TJH-1)의 4개 group이 동정되었다. 장부착능에서는 다른 유산균에 비해 장내 부착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L. rhamnosus GG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HT-29 cell에 대해 6종의 유산균이 모두 장 부착능을 보였으며 L. casei(GSM-3, EHJ-2)가 가장 장 부착능이 높았다. 항산화능력은 L. plantarum BSM-2와 EHJ-1에서 각각 32.44%, 24.65%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된 유산균은 다양한 식중독 원인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이 생성하는 항균물질인 bacteriocin이 아닌 유산균 발효 중 젖산을 생성하면서 pH의 저하로 항균활성을 보인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robiotics로의 기능성을 가진 6개 균주의 콜레스테롤 저하능력은 L. plantarum BSM-2와 EHJ-1에서 각각 68.82%, 56.38%의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probiotic 특성을 조사해 본 결과 L. plantarum BSM-2, EHJ-1, L. brevis BSM-3, L. casei GSM-3, EHJ-2, P. pentosaceus TJH-1 모두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본특성을 지니고 있어 프로바이오틱 균주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되어지며, L. plantarum BSM-2가 내산성, 내담즙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장 부착성이 우수하였으며, 뛰어난 항산화 능력과 항균력을 지니며, 콜레스테롤 저하능도 뛰어나 가장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균주라고 판단된다.

Antimicrobial Effect of Phytochemicals to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d from Slaughterhouses

  • Kim, Hyeji;Oh, Hyemin;Lee, Heeyoung;Kim, Sejeong;Ha, Jimyeong;Lee, Jeeyeon;Choi, Yukyung;Lee, Yewon;Kim, Yujin;Yoon, Yohan;Lee, Soomi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5-25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도축장에서 분리된 Listeria monocytogenes를 저해할 수 있는 식물성 항균 물질을 탐색하고, 각 항균 물질의 최소살균농도(MBC)를 확인하였다. 잠재적인 항균 물질로 자몽종자 추출물, 감귤류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배 추출물, 매실 농축액, 도라지 추출물, 대추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을 선정하였고, 대상 균주로는 국내 도축장에서 분리한 15 개의 L. monocytogenes 균주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MBC 확인 결과, 최대 $4.0{\mu}g/mL$ 농도의 생강 추출물, 배 추출물, 매실 농축액, 도라지 추출물, 대추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은 고농도의 L. monocytogenes (7 Log CFU/mL)에 대해 균 저해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7 Log CFU/mL의 L. monocytogenes에 대한 자몽종자 추출물과 감귤류 추출물의 MBC는 $0.002{\mu}g/mL$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3 Log CFU/mL의 L. monocytogenes에 대한 MBC를 시험해 본 결과, 자몽종자 추출물과 감귤류 추출물의 MBC는 $0.001{\mu}g/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몽종자 추출물과 감귤류 추출물은 L. monocytogenes를 제어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Associated with Toothbrushes

  • Kim, Ji-Hyang;Kim, Da-Ae;Kim, Hee-Soo;Baik, Ji-Yeon;Ju, So-Hee;Kim, Seol-He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96-30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metho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oothbrush contamination. Toothbrush microbial contamin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oothbrush use, frequency of toothbrush use per day, and toothbrush storage location. We also analyzed the microbial reduction effect of vinegar, antimicrobial mouth rinse, bamboo salt, and baking soda, which are sterilization materials that can be easily used every day. We collected 45 toothbrushes from university dormitories from May to June 2018. To determine the degree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with general bacteria, coliform bacteria, and Staphylococcus aureus, bristle samples were cultured at $36^{\circ}C$ for 24 hours using 3M$^{TM}$ Petrifilm plates and then measured based on Petrifilm evaluation criteria. Toothbrush microorganis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use, frequency of use per day, storage location, and effect of each sterilization material. General bacteria, coliforms, and S. aureus contamination increased with frequency and duration of use (p<0.05). In particular, S. aureu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to 36.15 CFU/ml after 1 month, 504.23 CFU/ml after 2 months, and 2,386.67 CFU/ml after 3 months (p<0.05). We found that 1% vinegar was the most effective substance for reducing general bacteria, coliforms, and S. aureus. In addition, 1% antimicrobial mouth rinse solution applied for 5 minutes was the most effective in reducing S. aureus. It is crucial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oothbrush care and store toothbrushes in a dry place and replace them periodically. We recommend use of vinegar and antimicrobial mouth rinse solution to disinfect toothbrushes. These should be applied as a 1% solution for at least 1 minute. Proper care of toothbrushes is important in maintaining oral health as well as overall health. Instructions on toothbrush care should be given when teaching children or adults how to brush tee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