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elanin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8초

Quercetin이 B16/F10 멜라닌세포의 중식 및 멜라닌화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Modulation of Proliferation and Melanization of B16/F10 Melanoma Cells by Quercetin)

  • 천현자;백승화;우원홍;황상구;김춘관;김춘관
    • 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5-80
    • /
    • 2002
  • Quercetin is one of the bioflavonoid compounds and has multiple biological effects such as antioxidant and effective anti-inflammatory agent. Melanin has an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human skin from the damaging effects of ultra-violet W) radiation. We studied the effect of quercetin on proliferation of B16/F10 melanoma cells. After 48h treatment of cells with quercetin, the cells exhibited a dose-dependent inhibition in their proliferation without apoptosis. Therefore, the decrease in cell numbers may be due to cell growth arrest, not due to cell death by cytotoxicity.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quercetin on melanogenesis of this cells. B16/F10 melanoma cells were grown for 48h in the presence of 0.01~50$\mu\textrm{g}$/ml quercetin and the total melanin contents were measured. Quercetin stimulated melanization of the cells in low concentrations (0.01~20$\mu\textrm{g}$/ml), whereas it inhibited melanization in high concentrations (30~50$\mu\textrm{g}$/ml). It was observed that quercetin differently regulates melanogenesis of B16/F10 melanoma cells dependent on its concentrations.

Whitening Effect of Octaphlorethol A Isolated from Ishige foliacea in an In Vivo Zebrafish Model

  • Kim, Kil-Nam;Yang, Hye-Mi;Kang, Sung-Myung;Ahn, Ginnae;Roh, Seong Woon;Lee, WonWoo;Kim, Daekyung;Jeon, You-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4호
    • /
    • pp.448-451
    • /
    • 2015
  • In a previous study, we isolated octaphlorethol A (OPA) from Ishige foliacea and evaluated its anti-melanogenesis activity in a murine melanoma cell line. However, the whitening effect and toxicity of OPA have not yet been examined in vivo.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OPA on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in an in vivo zebrafish model. More than 90% of subject embryos survived upon exposure to OPA concentrations below $25{\mu}M$,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finding in the control group. OPA markedly inhibited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금잔화 추출물의 미백활성 및 항균 효과 (Effect of Calendula arvensis extract on anti-melanogene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 김현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37-141
    • /
    • 2019
  • 본 연구에서 금잔화(Calendula arvensis)에 대한 다양한 생리, 화학적 활성을 시험하여 기능성소재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금잔화 추출물은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금잔화 추출물 처리 시, 산화방지 활성, tyrosinase 활성저해 및 멜라닌 함량 저하를 보여주었다. 금잔화 추출물 농도에 따라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금잔화 추출물이 tyrosinase의 활성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거나 혹은 멜라노좀 수송 저해 등 다른 요인에 의해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금잔화 추출물 처리 시, 항균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금잔화 추출물은 향후 기능성 소재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물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B16F10 melanoma cell을 이용한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 추출물의 미백 효과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from Matricaria chamomilla L. with B16F10 melanoma cells)

  • 조재범;김명욱;이은호;김예진;조은비;강인규;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67-273
    • /
    • 2018
  • 기능성 천연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캐모마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조사하고 melanin 생성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 억제에 대한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캐모마일을 water와 60% 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얻어진 추출물을 phenolic 농도별로 설정하여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알아보았을 때, water 추출물의 경우 효과가 미비하였고,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이 나타내어 melanin 생성 저해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캐모마일 60% ethanol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분말을 이용하여 B16F10 melanoma cell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 결과, $75{\mu}g/mL$의 농도에서부터 독성이 관찰되어 농도 구간을 10, 25, $50{\mu}g/mL$으로 선정하였다. ${\alpha}-MSH$로 자극한 B16F10 melanoma cell에서 melanin 생성량을 측정하여 캐모마일의 melanin 성성 억제 효능과 melanin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인 tyrosinase, MITF,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알아본 결과, 캐모마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 생성 함량이 감소하였고, tyrosinase, TRP-1, TRP-2, 등의 단백질 발현량 또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캐모마일 추출물은 B16F10 melanoma cell에서 melanin의 생성을 억제하고, melanin 생성 관련 단백질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들로 인하여 캐모마일은 미백 기능성 식품 산업화를 위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 될 것으로 예상되며, 추후 산업적 응용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온청음 물 추출물의 세포독성,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 (In Vitro Cytotoxicity,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Whitening and In Vivo Skin Moisturizing Effects of Oncheongeum)

  • 안뜰에봄;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34
    • /
    • 2016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에서 다양한 피부질환과 대사질환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온청음 물 추출 동결건조물(수율=13.82%)의 피부 노화 개선 효과 평가의 일환으로 세포독성,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각각 평가하였다.방 법: 본 연구에서는 human normal fibroblast(CRL-2076) 및 B16/F10 murine melanoma(CRL-6475) 세포에 대한 온청음의 세포독성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효과를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1와 비교한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능, phosphoramidon disodium salt(PP)와 비교한 elastase 활성 억제, oleanolic acid(OA)와 비교한 hyaluronidase, collagenase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활성 억제를 통해 각각 평가하였고, 미백효과를 B16/F10 murine melanoma cells의 melanin 생성 억제 정도 및 tyrosinase 활성 억제를 통해 arbutin과 비교 평가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OCE의 농도별로 군을 나누어 농도에 따른 효과의 변화를 함께 분석하였다. 보습효과는 흰쥐의 피부 수분함량 변화를 통해 평가하였다.결 과: 본 실험의 결과, 온청음은 human normal fibroblast 및 B16/F10 murine melanoma 세포에 대해 의미 있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을 증가시켰고, 세포외 기질의 파괴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hyaluronidase, elastase, collagenase 및 MMP-1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melanin 의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 및 B16/F10 murine melanoma cells의 melanin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반응의 효과들은 모두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이와 함께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흰쥐의 피부 수분 함량이 세 용량의 온청음 경구 투여군 모두에서 투여용량 의존적으로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온청음은 세포 독성 없이 비교적 우수한 피부 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어, 차후 피부 노화 억제 개선제 또는 기능성 화장품의 주요 소재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되나, 금후 개별 구성 약재 각각에 대한 효능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적인 연구와 피부 보호 효과에 대한 in vivo 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Angelica tenuissima Root on Oxidative Stress and Melanogenesis

  • Koo, Hyun Jung;Lee, Sung Ryul;Park, Yuna;Lee, Jin Woo;So, Gyeongseop;Kim, Sung Hyeok;Ha, Chang Woo;Lee, Sang Eun;Bak, Jong Phil;Ham, Su Ryeon;Lim, Hyosun;Kim, Youn Kyu;Sohn, Eun-Hw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2-321
    • /
    • 2018
  • Angelica tenuissima, also known as Ligusticum tenuissimum, is classified as a food-related plant and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treating headache and anemia in Asia. However, its anti-melanogenic effect has not been reported in detail. When the extract of Angelica tenuissima (ATE) was prepared by the extraction with 70% EtOH at $80^{\circ}C$ (final yield = 22%), the contents of decursin and Z-ligustilide in ATE were determined 0.06% and 8.43%,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and phenolic content in mg ATE were $5.52{\pm}0.07{\mu}g$ quercetin equivalents and $237.27{\pm}13.24{\mu}g$ gallic acid equivalents, respectively. Antioxidant capacity of ATE determined by DPPH and ABTS assay was increased with a dose dependent manner up to $1000{\mu}g/m{\ell}$. The amount of melanin synthesis followed by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on B16F10 cel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resence of ATE (250 to $1000{\mu}g/m{\ell}$, p<0.05). ATE (125 to $1000{\mu}g/m{\ell}$, p<0.05) suppressed the tyrosinase activity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alpha}-glucosidase$ activity at the same condition. Taken together, ATE possesses tyrosinase inhibitory potential with significant antioxidant capacities. These effects of ATE might be involved in suppression of melanin synthesis, at least, in B16F10 cells. The anti-melanogenic potential of ATE will provide an insight into developing a new skin whitening product.

Multifuctional Activities of Cultured extracts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Ml as cosmeceutical ingredients.

  • S. Y. Vi;Lee, J. I;E. J. Han;G. J. Jung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243-244
    • /
    • 2003
  •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have been investigated on anti-tumor. cholesterol reduction in blood. promotion of immune and skin-beauty. We are focused on cosmeceutic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LAB). Ml, which is found in Korean traditional food. Kimchi The LAB.Ml has been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Ml and individually cultured with Soybean soup and Soybean-Curd whey, until the total acidity has been reached the highest. After then, cell-free extracts from Ml have been used for the following studies. We assessed the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Ml on the depigmentation of B16FlO melanoma cell. The melanin content of cells was decreased with 1-3% of cultured extracts. The tyrosinase activity was reduced by cell-free extra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Ml. Anti-aging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l cultured extract was also studied in NIH-3T3 human fibroblast cells. It showed that induction of cell proliferation. collagen synthesi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dditional studies for anti-fungal and anti-acne activity were also detected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Propionibacterium acn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ltured extract of Lactobacillun plantarum Ml would be used for cosmeceutical ingredients through multifunctional reaction on skin such as whitening, anti-wrinkle. anti-oxidation and anti-acnes.

  • PDF

Effect of anti-skin disorders of ginsenosides- A Systematic Review

  • Lele Cong;Jinli Ma;Yundong Zhang;Yifa Zhou;Xianling Cong;Miao Ha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5호
    • /
    • pp.605-614
    • /
    • 2023
  • Ginsenosides are bioactive components of Panax ginseng with many functions such as anti-aging, anti-oxidation, anti-inflammatory, anti-fatigue, and anti-tumor. Ginsenosides are categorized into dammarane, oleanene, and ocotillol type tricyclic triterpenoids based on the aglycon structure. Based on the sugar moiety linked to C-3, C-20, and C-6, C-20, dammarane type was divided into protopanaxadiol (PPD) and protopanaxatriol (PPT). The effects of ginsenosides on skin disorders are noteworthy. They play antiaging roles by enhancing immune function, resisting melanin formation, inhibiting oxidation, and elevating the concentration of collagen and hyaluronic acid. Thus, ginsenosides have previously been widely used to resist skin diseases and aging. This review details the role of ginsenosides in the anti-skin aging process from mechanisms and experimental research.

미역쇠(Endarachne binghamiae)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ndarachne binghamiae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 전영식;정유정;염종경;김용기;김수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26-5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서 채집된 88종의 해조류에 대하여 미백제로서 응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Melan-a 세포에 해조류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 양을 측정한 결과, 고리매, 미역쇠, 왜모자반, 감태, 톳추출물에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미역쇠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유효하게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tyrosinase 활성 저해와 관련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약한 활성을 가지지만 직접 작용하여 활성을 저해하지는 않으면서, 세포 내의 tyrosinase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는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저해가 직접적이 아닌 다른 기전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기전 중의 하나인 ${\alpha}$-glucosidase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저해와 높은 상관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즉 미역쇠추출물은 N-linked glycoprotein인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억제하여 tyrosinase의 세포 내 이동이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역쇠추출물은 피부 미백에 유효한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유용자원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갈근 추출물의 스트레스성 백모 형성 억제 효과 (Anti-Graying Effect of Pueraria Lobata Root Extract on Stress-Induced Hair Graying)

  • 홍민정;박병철;홍용덕;김수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7-293
    • /
    • 2022
  • 흰머리는 대표적인 노화의 징후이자 피부, 모발 노화의 특징이다. 내인성 노화, 스트레스, 외부 환경으로 인해 백모가 발생하는데, 조기 백모 발생에는 스트레스가 주요한 요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과거 우리는 갈근 추출물이 멜라닌 형성 촉진을 통해 백모를 케어를 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으며, 이에 갈근 추출물이 스트레스에 의한 백모 형성 또한 예방 할 수 있을지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멜라닌 생성 주요 전사인자인 MITF 발현을 확인 할 수 있는 세포주를 구축하였다. 스트레스 호르몬 cortisol과 산화 스트레스 유발 인자 H2O2를 처리할 경우 MITF 발현이 감소하고, 인체 모낭 조직에서 멜라닌 색소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여기에 갈근 추출물을 함께 처리할 경우 MITF 발현과 모낭 내 멜라닌 색소 량이 다시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낭 내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TRP-2의 발현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갈근 추출물은 스트레스 호르몬과 산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멜라닌 합성 저해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