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racofibrosi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기관지 결핵 환자에서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s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in the Patients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 김선웅;김인식;박동희;노태묵;정재권;정승욱;김연재;이병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5호
    • /
    • pp.495-504
    • /
    • 2004
  • 목 적 : 기관지 결핵에서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동반 정도와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동반 유무에 따른 임상적인 차이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 상 : 2000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호흡기 증상이나 흉부 방사선 사진의 이상 소견으로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받은 환자 가운데 기관지 결핵으로 진단된 63예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 기록지를 통한 후향적 분석에서 대상 환자들의 임상적 소견 및 기관지 내시경 소견 등을 조사하였다.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은 기관지내 점막의 다발성 색소 침착이 있거나 엽 기관지 또는 구역 기관지에 색소 침착과 동반된 섬유화성 협착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 성 적 : 대상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9.5세(21-97)였으며, 남자가 12예, 여자가 51예였다.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은 37예(58.7%)였으며, 60세 이상에서 31예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이 동반된 군(37예)에서 동반되지 않은 군(26예)에 비하여 평균 연령 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나무 연기에 대한 장기적인 노출력을 가진 예도 유의하게 많았다. 기관지 결핵의 위치는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이 동반된 군에서 동반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우중엽에 유의하게 많았으며, 기관지 결핵의 형태는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이 동반된 군에서는 부종형(edematous-hyperemic) 및 궤양형(ulcerative)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는 건락성 괴사형(actively caseating)이 많은 경향이었다. 결 론 : 기관지 결핵은 고령일수록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동반 유무에 따라 기관지 결핵 병변의 위치 및 형태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thracofibrosis의 결핵활동성 지표로서 혈청 IL-2 $sR{\alpha}$, IFN-${\gamma}$, 그리고 TBGL(tuberculous glycolipid) antibody 측정의 의의 (Evaluation of Tuberculosis Activity in Patients with Anthracofibrosis by Use of Serum Levels of IL-2 $sR{\alpha}$, IFN-${\gamma}$ and TBGL(Tuberculous Glycolipid) Antibody)

  • 정도영;차영주;이병준;정혜령;이상훈;신종욱;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3호
    • /
    • pp.250-256
    • /
    • 2003
  • 연구배경 : 기관지내시경에서 관찰되는 anthracofibrosis가 활동성결핵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관찰 당시에 결핵의 활동성 여부가 확실하지 않아서 항결핵치료 시행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핵의 활동성과 연관이 높은 IL-2 $sR{\alpha}$, IFN-${\gamma}$의 혈청 농도와 결핵의 혈청진단방법인 TBGL 항체의 농도가 anthracofibrosis 환자에서 결핵의 활동성 여부를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건강한 자원자(16명), 활동성결핵으로 진단되어 투약하기 직전의 환자(22명), 활동성결핵으로 진단되고 6개월간 항결핵제 투여를 마친 환자(13명), 그리고 anthracofibrosis 환자(15명)에서 혈청을 채취한 뒤, IL-2 $sR{\alpha}$, IFN-${\gamma}$ 그리고 TBGL 항체의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건강한 자원자, 결핵치료전 환자, 결핵치료후 환자, 그리고 anthracofibrosis 환자의 IL-2 $sR{\alpha}$는 각각 $640{\pm}174$, $1,611{\pm}2,423$, $953{\pm}562$, $863{\pm}401$ pg/ml, IFN-${\gamma}$의 농도는 각각 0, $8.16{\pm}17.34$, $0.70{\pm}2.53$, $2.33{\pm}6.67$ pg/ml, 그리고 TBGL 항체 농도는 각각 $0.83{\pm}0.80$, $5.91{\pm}6.71$, $6.86{\pm}6.85$, $3.22{\pm}2.59$ U/ml였다. TBGL 항체 농도만이 건강한 자원자에서 다른 군에 비해 낮았을 뿐(p<0.05) IL-2 $sR{\alpha}$와 IFN-${\gamma}$ 농도는 네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Anthracofibrosis 환자 중에서 나중에 활동성 결핵으로 진단된 6명과 나머지 9명 사이에서도 상기한 지표의 농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1) Anthracofibrosis 환자의 40%에서 활동성 결핵이 동반되었다. 2) 혈청 IL-2 $sR{\alpha}$, IFN-${\gamma}$ 그리고 TBGL 항체 농도는 anthracofibrosis에서 결핵의 활동성 지표로 유용하지 않았다. 3) 혈청 TBGL 항체 농도는 건강한 자원자와 나머지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T상 폐암과 유사하게 보이는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Anthracofibrosis Mimicking Lung Cancer on CT: MR Imaging Findings)

  • 류대식;이덕희;정승문;최수정;박성빈;박만수;강길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5권1호
    • /
    • pp.18-23
    • /
    • 2001
  • 목적 : 전산화단층촬영(CT)상 폐암과 유사하게 보인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MRI)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기관지내시경검사상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으로 입증된 50명의 환자에서 CT상 중 페암과 유사하게 보인 10명의 환자(남 : 여 = 2 : 8, 평균 연령 68세, 연령 분포: 58-79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 예에서 CT(n=10)검사와 MRI(n=10) 검사를 시행하였고 경피적 조직생검(n=1)은 1예에서 시행하였다. 조영증강 없이 축상 T1 강조영상(600/30/3, repetition time/echo time/excitation)과 T2 강조영상(3500/99/4)에서 종괴, 무기폐와 림프절의 신호강도를 2명의 방사선과 전문의가 합의에 의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CT 소견은 4명에서는 종괴로, 4명에서는 무기폐로, 2명에서는 기관지벽 비후였다. 전 예에서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특징인 종격동 림프절은 커져 있었다. 종괴는 T1 강조영상과 T2 강조영상에서 모두 저 신호강도로 보였다. 무기페는 T1 강조영상에서 중등도 신호 강도로, T2 강조영상에서 저 신호강도로 보였다. 림프절은 9명의 환자에서 T1 과 T2 강조영상에서 저 신호 강도로 보였다. 한명의 환자에서 T2 강조영상에서 림프절이 중심부는 고 신호강도로, 주변부는 저 신호강도로 보였다. 결론 : 폐암과 유사하게 보인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환자에서 종괴, 무기폐와 림프절은 T2 강조영상에서 주로 저 신호강도로 보여 폐암과의 감별에 자기공명영상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비결핵성 기관지탄분섬유증의 임상적 특징과 방사선학적 특징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on-Tuberculous Bronchial Anthracofibrosis)

  • 장시진;이숙영;김석찬;이소영;조현선;박기훈;문화식;송정섭;박성학;김영균;박현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2호
    • /
    • pp.139-144
    • /
    • 2007
  • 연구배경: 기관지내시경 시행 시 기관지점막에 탄분침착을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기관지탄분섬유증은 결핵과 연관이 있다고 여겨지는데 최근 논문들에 의하면 결핵 이외의 만성폐쇄성 폐질환이나 폐렴 등의 다양한 폐질환과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어 진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강남성모병원에서 기관지내시경 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들 중 기관지 탄분침착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료기록지를 통해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기저질환, 임상소견, 폐기능 검사 및 조직소견, 방사선소견을 분석하였고 비결핵성 기관지탄분섬유증 환자에서 기관지협착이 동반된 경우 스테로이드 투여 시 그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74명 중 비결핵성 기관지탄분섬유증 환자가 54명(73%)이었다. 이 중 41명(76%)에서 협착이 동반되었고 13명(24%)은 탄분침착만 보였다. 비결핵성 기관지탄분섬유증 환자 중 협착이 동반된 경우 14명에서 고식적 치료로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였는데 이 중 9명(64%)에서 임상적인 호전을, 6명(43%)에서 방사선학적인 호전을 보였다. 결론: 기관지 탄분섬유증은 결핵뿐만 아니라 만성폐쇄성 폐질환, 폐렴등의 다양한 호흡기 질환과 관련이 있다. 비결핵성 기관지 탄분섬유증 환자에서 고식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을 경우 스테로이드를 고려해 볼 수 있다.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에서 항결핵약제의 투여에 관한 고찰 (Study of Antituberculous Medications in Anthracofibrosis)

  • 한상훈;차건영;이영목;김기업;어수택;김용훈;박춘식;황정화;김현조;염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3호
    • /
    • pp.224-231
    • /
    • 2001
  • 목 적 : 저자들은 기관지 내시경 검사상 탄분 섬유화증을 보인 환자들의 임상적 특정 및 항결핵 약제 투여의 필요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사행하였다. 방 법 : 기관지 내시경 검사상 기관지 협착이나 폐쇄를 동반한 기관지 점막의 탄분 침착을 갖는 환자 22명올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당시의 증상, 흡연력, 결핵 치료력, 폐기능 검사, 기관지 내시경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등을 후향적 방법으로 비교하였고, 결핵의 진단은 객담 및 기관지 폐포액의 도말 검사나 배양검사 그리고 조직검사를 통하여 시행하였다. 이후 결핵감염의 증거가 없는 11명을 선별하여 항결핵약제의 투여 없이 추적관찰 하였다. 결 과 : 주 증상은 기침(73%, 16/22)이었고 그뒤로 객담(41%, 7/22), 호흡곤란(32%, 7/22), 객혈(27%, 6/22)등의 증상들이 따랐다. 폐 결핵의 양성은 객담이나 기관지 폐포액의 항산균도말이나 배양검사에서 양성, 조직검사에서 건락성 육아종을 보이는 경우를 양성으로 하였고, 이들 검사를 통해 11명(50%)에서 양성을 보였고, 나머지 11명(50%)에서는 결핵의 증거를 보이지 않았다. 이중 결핵음성을 보이 11명의 환자중 단지 1명에서 16개월뒤 폐결핵 양성 조견을 보였고, 8명의 환자에서는 짧게는 8개월, 길게는 60개월의 추적관찰 기간중에 결핵의 증거를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을 보이는 환자에서 결핵의 증거를 찾기위한 집중적인 검사를 진행해야 하며, 검사상 결핵의 증거가 있는 경우에 항 결핵약체의 투여가 필요하며, 결핵의 증거가 없는 경우의 항결핵약제투여 여부는 좀더 많은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에서 동반된 기관지 협착에 따른 환기역학 (Ventilatory Dynamics According to Bronchial Stenosis in Bronchial Anthracofibrosis)

  • 정승욱;김연재;김건현;김민선;손혁수;김준철;류현욱;이수옥;정치영;이병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68-373
    • /
    • 2005
  • 연구배경 :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은 주로 만성기관지염, 만성폐쇄성폐질환, 또는 천식 등과 같은 만성 기도 질환의 형태로 발현되며, 질환의 경과 중에 폐렴, 폐결핵과 같은 실질성 병변들이 동반될 수 있다. 저자들은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에서 환기장애의 병형별 빈도 및 동반된 기관지 협착에 따른 기도의 환기기능 및 역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기관지내시경검사 상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가운데 폐기능 검사를 실시한 113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에서 구한 여러 계측치들과 협착을 보인 기관지의 수와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결 과 : 폐쇄성 환기장애가 56례(49.6%), 제한성 환기장애가 8례(7.1%), 혼합성 환기장애가 2례(1.8%), 그리고 정상환기가 47례(41.6%)였다. 노력성 호기곡선에서 구한 계측치 가운데 $FEV_1/FVC$$FEF_{25{\sim}75%}$은 상관계수가 각각 -0.208, -0.310으로 협착을 보인 기관지의 수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p<0.005). 기류-용량 곡선에서 구한 PEF, $FEF_{25%}$, $FEF_{50%}$ 및 FEF75%는 모두 낮게 관찰되었으며, 상관계수가 각각 -0.309, -0.303, -0.416, 그리고 -0.318로 협착을 보인 기관지의 수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Raw도 0.477로 협착을 보인 기관지의 수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결 론 :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은 협착을 보인 기관지의 수가 많을수록 세소기도 병변과 함께 주로 폐쇄성 환기장애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폐종괴와 기관지 탄분섬유화로 발현한 Mycobacterium kansasii 감염 1 예 (Mycobacterium Kansasii Disease Presenting As a Lung Mass and Bronchial Anthracofibrosis)

  • 나승원;이광하;정주영;강호석;박이내;최혜숙;정훈;전규락;심태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4호
    • /
    • pp.464-468
    • /
    • 2006
  • 폐종괴로 발현하는 M. kansasii 감염은 흔하지 않으며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을 동반한 M. kansasii 폐감염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었다. 기저질환 없이 면역력이 정상인 비흡연자에서 우하엽의 폐종괴로 발현하고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을 동반한 M. kansasii 폐감염에 대하여 표준 치료로 호전되고 있는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omparison of Clinical and Radiologic Characteristics between Anthracofibrosis and Endobronchial Lung Cancer

  • Yun, Seo Young;Park, Tae Y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4권3호
    • /
    • pp.209-216
    • /
    • 2021
  • Background: Endobronchial lung cancer (EBLC) and bronchial anthracofibrosis (BAF) share similar symptoms and radiological finding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linical and rad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BAF and EBLC, both of which were confirmed by bronchoscopy.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ith BAF or EBLC from 2008 to 2014. Data were derived from a bronchoscopy registry made since January 1, 2008.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th disease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3,214 patients who underwent bronchoscopy, 167 and 117 patients were enrolled in BAF and EBLC groups, respectively. BAF occurred more predominantly in older non-smoking female patients with a higher chance of tuberculosis (38.3%) than EBLC (6.0%). Cough, sputum, and dyspnea were common symptoms reported for both groups. Bronchoscopic findings revealed that BAF lesions were more common in multiple lobar bronchi (85.0%) or bilateral bronchi (73.7%). Radiologic findings revealed that bronchial stenosis was the most commonly found lesion in both groups (49.1% and 78.6%, respectively). Rates of peribronchial calcification and bronchial wall thickening were higher in the BAF group. The number of patients with lymph node calcification was also higher in the BAF group.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characteristics of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of BAF and EBLC. Increasing the awareness of both diseases may help clinicians differentiate these two diseases from each other, thus avoiding unnecessary invasive diagnostic procedures.

탄광부 진폐증 환자에 동반된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Associated with Coal Workers' Pneumoconiosis)

  • 김미혜;이홍열;남기호;임재민;정복현;류대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2호
    • /
    • pp.67-73
    • /
    • 2010
  • Background: In previous study, most patients with bronchial anthracofibrosis (BAF) were non-miners, and non-occupational old aged females. However,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AF in patients with coal workers' pneumoconiosis (CWP) is unknown. Methods: Among patients with CWP who transferred to our hospital for an evaluation of associated pulmonary diseases, 32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bronchofibroscopy (BFS) and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examination were evaluated for the association of the BAF using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Results: Nine of the 32 CWP patients (28%) were complicated with BAF. Four of the 16 simple CWP patients (25%) were complicated with BAF.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classification by profusion, 2 out of 3 patients in category 1, 1 out of 8 patients in category 2 and 1 out of 3 patients in category 3 were complicated with BAF. Five out of 16 complicated CWP patients were complicated with BAF. Three out of 7 patients in type A and 2 out of 5 patients in type C were complicated with BAF. CWP patients with BAF had significantly greater multiple bronchial thickening and multiple mediastinal or hilar lymph node enlargement than the CWP patients without BAF.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ther clinical features between the CWP patients with BAF and those without BAF. Conclusion: Many CWP patients were complicated with BAF. The occurrence of BAF was not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CWP progression. Therefore, a careful evaluation of the airway with a bronchoscopy examination and chest CT is warranted for BAF complicated CWP patients who present with respiratory symptoms and signs, even ILO class category 1 simple CWP patients.

Clinical Relevance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xacerbation

  • Kim, Hyera;Cha, Seung-Ick;Shin, Kyung-Min;Lim, Jae-Kwang;Oh, Serim;Kim, Min Jung;Lee, Yong Dae;Kim, Miyoung;Lee, Jaehee;Kim, Chang-H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3호
    • /
    • pp.124-131
    • /
    • 2014
  • Background: Bronchial anthracofibrosis (BAF), which is associated with exposure to biomass smoke in inefficiently ventilated indoor areas, can take the form of obstructive lung disease. Patients with BAF can mimic or present with an exacerba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BAF in Korean patients with COPD exacerbation as well as to examine the clinical features of these patients in order to determine its clinical relevance. Methods: A total of 206 patients with COPD exacerbation were divided into BAF and non-BAF groups, according to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We compared both clinical and radiologic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Patients with BAF (51 [25%]) were older, with a preponderance of nonsmoking women; moreover, they showed a more frequent association with exposure to wood smoke compared to those without BAF. However, no differences in the severity of illness and clinical cours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Patients in the BAF group had less severe airflow obstruction, but more common and severe pulmonary hypertension signs than those in the non-BAF group. Conclusion: Compared with non-BAF COPD, BAF may be associated with milder airflow limitation and more frequent signs of pulmonary hypertension with a more severe grade in patients presenting with COPD exacerb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