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teeth

검색결과 1,068건 처리시간 0.03초

상악 전치 intrusion시 저항중심의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LOCATION OF CENTER OF RESISTANCE DURING INTRUSION OF UPPER ANTERIOR TEETH)

  • 박춘근;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9-272
    • /
    • 1997
  • Segmented arch mechanics를 적용하여 상악 전치에 intrusive force를 가할 때 저항중심의 전후방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상악 6전치와 치근막 및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intrusion시키고자 하는 치아의 수, 치축의 경사도 및 치조골의 흡수 정도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 변화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축경사도와 치조골의 높이가 정상일 경우, 치아의 수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는 다음과 같았다. 1) 중절치 2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측절치 브라켓의 원심면 부위에 위치하였다. 2) 중절치와 측절치 4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측절치와 견치 브라켓 사이 공간의 후방 2/3 부위에 위치하였다. 3)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 6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견치 브라켓 후방 약 3mm 부위로 견치와 제1소구치의 치간부에 위치하였다. 4) 치아의 수가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특히 4전치군 보다는 6전치군에서 후방 이동량이 크게 나타났다. 2. 절치의 순측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3. 치조골의 흡수량이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 PDF

양악치조성전돌의 교정치험예 (A CASE REPORT OF ORTHODONTIC TREATMENT OF BIALVEOLAR PROTRUSION)

  • 이병태;장영일;서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9-204
    • /
    • 1977
  • The patient, 19 years old female, complained of protrusion of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Teeth lining was good except slight crowding in lower anterior teeth. Teeth lining was good except slight crowding in lower incisors, but distocclusion in the region of right buccal segment was present. Cephalometric analysis revealed normal relation between maxilla and cranial base. The labial inclination of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was severe, so diagnosed as bialveolar protrusion case. She was treated by means of multibanded system under the extraction of four first bicuspids. After 1 year and 4 months. She gained good interdigitation of buccal segments and attractive facial profile because the labioversion of incisors was reduced properly.

  • PDF

전치부 외상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TRAUMATlC INJURIES OF ANTERIOR TEETH)

  • 박상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7권1호
    • /
    • pp.33-40
    • /
    • 1981
  • The more civilized, the more incidence had happened in our daily life, particularly in industrial factories, by traffic accident, and in sports, etc. in the dental field. The accidental trauma is usually involved the teeth and surronuding tissues. And the author intended to study of the traumatic injuries of anterior teeth by individual tooth, age, sex, cause of trauma, and how they were trea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atients with traumatic injuries of the anterior teeth were 1.8% among the total dental out-patients. 2. By the age group, the twenties was most frequent in both sexes, and the teenagers next. 3. The predominant causes of traumatic injuries in the dental field were traffic accident (23.4%), fighting (19.2%), falling (18.5%), and sports (7.3%). 4. In the classification of injuries of the teeth, uncomplicated crown fractures (31.2%), subluxations (14.7%), and the complicated crown fractures (13.2%) were presented. 5. By the individual tooth in the traumatic cases, the upper cental incisors were most frequently injuried (49.8%). 6. In the treatments fillings and endodontic treatments (33.2%), splints (13.5%), extractions (11.7%) were main after care method.

  • PDF

치주질환으로 인한 전치부 정출(Extrusion)의 심미적 수복에 관한 증례 (Esthetic Realignment of Periodontally Compromised Anterior Teeth)

  • 최원석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0-63
    • /
    • 1999
  • Dental clinicians commonly encounter extrusion of the anterior teeth due to localized alveolar bone loss in adult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This pathologic migration of the anterior not only may cause loss of functional anterior guidance and continuous periodontal destruction, but also can lead to esthetic disaster. In fact, most frequently reported chief complaint of the patients with extruded anterior teeth is the 'loss of esthetics', not the periodontal problem itself. The utilization of the expertise and skills in the various dental disciplines is thought to be the best treatment modality for the ultimate functional and esthetic attainment. Interdisciplinary therapy, involving periodontics, orthodontics, and restorative dentistry, was performed for the highest levels of patient and provider satisfaction in this case.

  • PDF

Combined periodontal regenerative and prosthetic treatment of pathologic migration of anterior teeth

  • Lee, Ju-You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sup2호
    • /
    • pp.405-412
    • /
    • 2008
  • Purpose: Pathologic tooth migration (PTM) commonly occurs in the anterior region and is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 The treatment of PTM of anterior teeth can be complex and time consuming, and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often required.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ient was a 38-year-old woman with a chief complaint of saving and realigning her elongated maxillary left central incisor. This paper describes the successful combined periodontal regenerative (guided tissue regeneration) and prosthetic treatment and a 2-year follow-up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pathologic tooth migration, deep intrabony defect, and poor prognosis. Results: The right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restored by laminate veneer and the left by all-ceramic crown. The patient had no pain and discomfort and was satisfied with the outcomes of her treatment for 2 years. She has maintained her recall program at the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at 3 months interval. Conclusion: The key step in the successful treatment of PTM in anterior region is to obtain a high level of cooperation from the patient. Maintenance of the treatment result of PTM is dependent on the continuous preservation of periodontal health.

한국 어린이에서 하악 유절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GENITALLY MISSING PRIMARY LOWER ANTERIOR TEETH AND THEIR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IN KOREAN CHILDREN)

  • 김현진;현홍근;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1-96
    • /
    • 2010
  • 많은 연구에서, 유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에는 상당한 연관관계가 있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하악 전치부에서, 유치의 선천적 결손에도 불구하고, 그 계승 영구치는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증례가 임상적으로 종종 관찰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어린이에서 하악 유절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평가하는 데에 있다.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9월 5일까지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 내원하여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촬영한 6세 이하의 남녀 어린이 총 14,307명을 대상으로 하악 전치부의 치아양상을 관찰하여 유치와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관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 유절치의 결손률은 0.24%였으며, 하악 유절치가 존재 시 후속 영구치가 존재할 승산(odds)은 7163.5였으며, 유절치의 결손시 후속 영구절치가 존재할 승산(odds) 0.79였다. 2. 하악 유절치 결손의 증례 중 후속 영구치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는 44.12%였다. 유절치의 양측 결손 시 후속 영구치가 하나라도 존재할 승산(odds)은 유절치 편측 결손 시에 비하여 1.57 배였다. 3. 유절치 결손이 있을 때 유절치의 편측 결손일 승산(odds)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2.2 배였다. 또한, 유절치 결손이 있을 때 후속 영구절치가 존재할 승산(odds)은 남자가 여자의 경우에 비하여 2.22 배였다.

생체 인식에서 치아 영상의 이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Using Teeth Images in Biometrics)

  • 김태우;조태경;이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00-205
    • /
    • 2006
  • 본 논문은 치아의 전치교합(anterior occlusion)과 후치교합(posterior occlusion) 상태에서 획득된 치아 영상에 대하여 BMME와 LDA에 기반한 개인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전치교합과 후치교합 상태의 치아 영상에서 치아 영역 추출, BMME, 패턴 인식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들 두 치아교합은 영상에서 일관된 자세의 치아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BMME는 패턴 인식 과정에서 정합 오차를 줄이도록 해 준다. 치아는 딱딱하므로 치아영상을 사용하면 영상 획득 시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유용하다. 제안된 방법은 20명을 대상으로 개인 인증을 위한 치아인식 실험에서 성공적이었으며, 멀티 모달(multi-modal) 인증 시스템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한국 성인 유치악자의 상악전치 위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in Korean Adults with Natural Dentition)

  • 정창모;박정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1권2호
    • /
    • pp.105-111
    • /
    • 2005
  •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the suitable position for artificial maxillary anterior teeth, because of not only esthetics, phonetics, mastication, but also optimal position of artificial posterior teeth for the construction of functional and esthetic prostheses. Anatomic landmarks have been used in the arrangement of artificial teeth. Such as incisive papilla and palatal rugae are useful landmarks for positioning occlusal rim and upper anterior artificial teeth because they are relatively stable and to be identified on master cast. Therefore, if average distance between maxillary anterior teeth and landmarks in dentate subjects are measured and applied, appropriate position of occlusal rim can be initially established. In this study, to present a guide to the position of the occlusal rim for upper anterior teeth of edentulous patients, horizontal distance between anatomic landmarks were measured. Maxillary casts were made in 72 Korean dentate subjects. Horizontal distance between central incisor and incisive papilla, between incisive papilla and intercanine line, and between primary palatine rugae and gingival margin of canine were measured on each ca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distance from the incisal edge of central incisor to the posterior border of incisive papilla was 12.1 mm (Male 12.2 mm, Female 11.9 mm). 2. The mean distance between posterior border of incisive papilla and intercanine line was 3.5 mm (Male 3.4 mm, Female 3.6 mm / Left 3.6 mm, Right 3.4 mm). 3. The mean distance from the palatal gingival margin of canine to the lateral border of primary palatine rugae was 2.4 mm (Male 2.4 mm, Female 2.4 mm / Left 2.4 mm, Right 2.3 mm). 4. On all measured item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ies in measured values between male and female, and between left and right sides. (P>0.05).

장안모를 보이는 치주 질환자에서 하악 전치의 압하를 통한 과개 교합 치료: 8년 경과 관찰 (Orthodontic intrusion treatment of mandibular anterior teeth in a periodontal patient with hyperdivergent skeletal pattern: 8-year follow-up)

  • 권은영;정경화;박수병;김성식;김용일;최윤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1호
    • /
    • pp.48-60
    • /
    • 2021
  • 치아의 병적 이동으로 전치가 정출되고 수직 피개가 깊은 치주염 환자에서는 치주 염증 치료와 더불어 정출된 전치의 위치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깊은 수직 피개로 교정 장치 부착이 어렵고, 역학적으로 전치 압하보다 구치 정출이 더욱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골격적 장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구치 정출을 통한 상대적 전치 압하는 안모의 악화를 야기하므로, 치료 계획에서부터 이를 차단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가 정출되어 과개 교합을 보이는 치주염 환자에서, 철저한 치주 치료와 하악 전치에 부착한 cute bracket과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고정원 보강으로 하악 전치의 양호한 압하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8년간 경과 관찰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소아, 청소년 시기의 섬유 강화형 포스트를 이용한 심미 수복 (ESTHETIC RESTORATION WITH FIBER-REINFORCED POST FOR CHILDHOOD AND ADOLESCENT PATIENTS)

  • 박덕용;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8-83
    • /
    • 2009
  • 심한 치아 우식증, 외상, 발육성 결함으로 인한 근관치료 및 광범위한 수복이 필요한 소아, 청소년 시기의 유전치 및 영구 전치부 치료는 소아치과 의사에게 어려운 문제이다. 전치부에 사용되어온 기존의 수복 방법은 치질 손상이 광범위한 경우 유지력과 심미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기에 영구 전치를 수복할 경우 심미성과 유지력 뿐 아니라 성장 완료 후 영구 보철물 수복을 위한 전 준비 단계를 고려해야 한다. 본 증례는 소아, 청소년기의 광범위한 전치부 치관 손상에서 섬유 강화형 포스트를 이용하여 심미적 수복을 시도하였으며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