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dental arch form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8초

Anterior and Posterior Overjet for Clinical Arch Coordination using 3-dimensional Analysis

  • Lee, Young-Wuk;Bayome, Mohamed;Baek, Seung-Hak;Kook, Yoon-Ah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8-23
    • /
    • 2009
  • Introduction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nterior and posterior overjets using bracket slot points, and compare two methods of overjet calculation according to different reference points using clinical bracket points on three-dimensional digital models. Methods : A total of 35 normal occlusion models were scanned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Orapix$^{(R)}$, Orapix Co., Ltd, Seoul, Korea) and then, virtual brackets (0.022" Slot MBT preadjusted brackets, 3 M Co.CA. USA) were placed on the digital models using virtual setup program (3Txer$^{(R)}$ ver. 1.9.6, Orapix co., Ltd). Archwire-like curves were designed to analyze labial and buccal overjet.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s between the right and left overjet and between genders. The average overjet was found to be $1.67{\pm}0.85mm$ at the central incisor area, $2.16{\pm}0.88mm$ at the second premolar and $1.53{\pm}0.71mm$ at the first molar. Conclusion : It is recommended that overjet of individualized upper and lower arch to be 2.0mm at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 PDF

전치부 매복치에 관한 교정학적 고찰 (ORTHODONTIC CONSIDERATION ON THE IMPACTED TEETH OF ANTERIOR SEGMENT)

  • 양원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6권1호통권104호
    • /
    • pp.37-42
    • /
    • 1978
  • A study on the impacted teeth of the anterior segment was carried out.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mpiled form 1739 outpatients of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The frequency of the impacted teeth of the anterior segment was 2.8% and the frequency of male was 4.0%, that of female was 2.1%., respectively. 2. The order of occurrence of the impacted teeth in the anterior segment was maxillary canine mesiodens, maxillary central incisor, maxillary lateral incisor, mandibular canine. 3. The etiologic factors of the impaction were the space deficiency for eruption, cleft palate, the prolonged retention of deciduous teeth, dentigerous cyst. 4. The favorable results of treatment and prognosis were obtained from the impacted teeth of the normal shape after surgical exposure and adhered the plastic attachment and inducted them into the dental arch.

  • PDF

A root submergence technique for pontic site development in fixed dental prostheses in the maxillary anterior esthetic zone

  • Choi, Sunyoung;Yeo, In-Sung;Kim, Sung-Hun;Lee, Jai-Bong;Cheong, Chan Wook;Han, Jung-Su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5권4호
    • /
    • pp.152-155
    • /
    • 2015
  • Purpose: This case report discusses the effect of a root submergence technique on preserving the periodontal tissue at the pontic site of fixed dental prostheses in the maxillary anterior aesthetic zone. Methods: Teeth with less than ideal structural support for fixed retainer abutments were decoronated at the crestal bone level. After soft tissue closure, the final fixed dental prostheses were placed with the pontics over the submerged root area. Radiographic and clinical observations at the pontic sites were documented. Results: The submerged roots at the pontic sites preserved the surrounding periodontium without any periapical pathology. The gingival contour at the pontic site was maintained in harmony with those of the adjacent teeth, as well as the overall form of the arch.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clinical report indicate that a root submergence technique can be successfully applied in pontic site development with fixed dental prostheses, especially in the maxillary anterior esthetic zone.

뇌성마비환자에서 가철성장치를 이용한 상악 전치부 돌출 완화 : 증례보고 (MITIGA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PROTRUSION WITH CEREBRAL PALSY USING REMOVABLE APPLIANCE : A CASE REPORT)

  • 민보람;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2-126
    • /
    • 2013
  • 14세 남환이 정기검진을 위해 내원하여 임상 구강검사 결과 상악 전치의 돌출과 상악궁 협착이 관찰되었다. 환아는 뇌성마비를 가지고 있었으나 간단한 설명을 이해하고 쉬운 지시를 수행할 수 있었으므로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치료를 시도하였다. 단계적이고 주의 깊은 접근을 통해 상악궁 협착 해소 및 상악 전치의 돌출을 완화할 수 있었다. 뇌성마비 환아의 경우 특징적으로 상악 전치의 돌출이 흔히 나타나는데, 이는외상의 위험에 쉽게 노출된다. 하지만 뇌성마비 환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반사, 침 흘리기 습관, 행동조절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많은 임상의들이 교정 치료를 포기하게 된다. 적절한 환자 선정과 수행 가능한 치료목표를 세운다면, 뇌성마비 환아에서도 단계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조절과 약물을 이용하여 치료가 가능하다. 교정 치료를 통해 얻어진 상악 전치의 돌출 완화는 외상의 위험성을 줄이고 더 나은 심미성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임상의들은 뇌성마비 환아의 치료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뇌성마비 환아들은 더 나은 구강 건강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소구치 발거가 II급 1류 부정교합자의 안모와 치열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1st BICUSPID EXTRACTION ON THE CHANGES IN FACE AND DENIAL ARCH FORM IN ANGLE CLASS II DIV. 1 MALOCCLUSIONS)

  • 최낙준;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67-177
    • /
    • 198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main differences and its effects of the 4 first bicuspid extraction on the face and dental arch of the class II div 1 malocclus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twenty two class II div 1 malocclusion, four males, eighteen females, were 14 Years 2 Months old at the stan of the treatment 16 Year 3 Months old at the end of the treatment. (mean age) Twenty one variables were observed by comparing the statistical data of the pretreatment records with postteratment records, which were consited of eight varibles on the study model digitation, thirteen variables on the tracing of the lateral cephalogra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intercanine width. 2. Intercuspal widths of the 1st. premolar and 2nd. premolar were decreased. 3. Change of the overjet was dependant upon upper anterior rather than lower anterior. 4.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facial plane angle and ANB angle. 5. Uprighting of the lower 1st. molar had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 facial height.

  • PDF

치열궁내 공간 부조화와 진단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rch length discrepancy and the diagnostic analysis)

  • 유영규;안광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1
    • /
    • 2004
  • 치열궁내의 공간 부조화를 단순히 가용 arch perimeter에 대한 tooth material의 총합의 차이만으로 예측하는 것은 치아의 이동을 단지 평면적으로만 해석한 것인 반면, 실제로 치아는 치료에 의해 3차원적으로 움직이게 되어 치열궁 형태와 curve of Spee의 정도 그리고 치축 각도와 경사에도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는 교정환자의 치료전 모형분석시 치열궁내 공간 부조화를 보다 분석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소구치 발치 후 arch perimeter의 감소와 전치부의 전후방적인 이동량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curve of Spee와 기저골내 기준평면에 대한 전치부의 치축 각도 그리고 전치부 총생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치료를 받은 환자 중 Angle씨 제 I급 부정교합이며 4개의 제 1소구치를 발거한 양악 전돌자로서 치아에 형태학적 변이 및 보철물을 갖지 않은 자, 치아수에 이상이 없는 자, 교모나 이소맹출치를 갖지 않은 자, 견치 및 대구치가 Angle씨 제 I급 교합관계를 가지며 3m이상의 치아밀집을 갖지 않은 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아모형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견치간 폭경이 유지될 경우, 제 1소구치 발거 후 하악 중절치가 후방이동 될 수 있는 공간의 양은 소구치 발거 공간의 크기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1mm보다 작았다. 이때 치열궁의 형태가 전방으로 좁아질수록 그 차이가 증가하였다. 2. 견치간 폭경이 구치부의 폭경에 일치되게 확장될 경우 견치간 폭경이 유지될 때보다 3mm내외의 중절치의 후방이 동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중절치의 후방이동시 치체이동과 경사이동에서 가능한 절연의 전후방적인 차이가 미세하게 나타났다. 4. 견치간 폭경을 유지하면서 전치부 분절내 총생을 해소할 경우, 처음의 전치부 분절의 장경이 클수록 중절치의 전방 이동량이 증가하였다. 5. Curve of Spee를 leveling할 경우, arch perimeter의 증가량은 Curve of Spee의 최대 길이의 1/2보다 적게 나타났다.

전악수복환자에서 Shilla system을 이용한 교합평면 재구성 증례 (Reestablishing the occlusal plane in full mouth rehabilitation patient, using Shilla system)

  • 양민수;방몽숙;박상원;임현필;윤귀덕;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3-38
    • /
    • 2013
  • 교합평면은 시상면적인 치열궁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악구강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인 교합을 형태적으로 구성한다. 본 증례에서는 생체의 정중 시상면에 대한 수평, 측방좌표를 교합기상에 재현하여 상하악 치아 및 결손부 치조제에 대한 좌우 동적인 위치관계 얻기 위해 Shilla system (Hamans, Tokyo, Japan)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재구성 하였다. 본 증례의 환자는 41세의 남자 환자로 상악 전치부 10본금속-도재 고정성국소의치 파절 및 탈락과 전반적인 치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 검사, 방사선 검사, 모형분석을 통해 임플란트 식립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Gothic Arch device (Centrofix; AmannGirrbach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악간관계를 채득하고 마운팅 후, Shilla system을 이용하여 기존 교합평면을 평가, 분석하여 진단 납형을 제작하였다. 이를 토대로 방사선 스텐트를 제작하여 임플란트 식립하였고, 진단 납형을 이용하여 임시수복물을 제작하였다. 임시 수복물의 형태 및 교합 양식을 재현하기 위해 맞춤 전방유도판을 제작하고, 교차 마운팅을 시행하였으며 최종 수복물은 지르코니아 코핑을 이용한 완전 도재관으로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이 전악수복환자에서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Shilla system을 이용하여 적절한 심미적, 기능적 수복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ontrast reference values in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using an arch-form phantom stand

  • Shin, Jae-Myung;Lee, Chena;Kim, Jo-Eun;Huh, Kyung-Hoe;Yi, Won-Jin;Heo, Min-Suk;Choi, Soon-Chul;Lee, Sam-Sun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6권3호
    • /
    • pp.203-21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ropriate contrast reference values (CRVs) by comparing the contrast in phantom and clinical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Phantom contrast was measured using two methods: (1) counting the number of visible pits of different depths in an aluminum plate, and (2) obtaining the contrast-to-noise ratio (CNR) for 5 tissue-equivalent materials (porcelain, aluminum,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oxymethylene [POM],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Four panoramic radiographs of the contrast phantom, embedded in the 4 different regions of the arch-form stand, and 1 real skull phantom image were obtained, post-processed, and compared. The clinical image quality evaluation chart was used to obtain the cut-off values of the phantom CRV corresponding to the criterion of being adequate for diagnosis. Results: The CRVs were obtained using 4 aluminum pits in the incisor and premolar region, 5 aluminum pits in the molar region, and 2 aluminum pit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The CRVs obtained based on the CNR measured in the anterior region were: porcelain, 13.95; aluminum, 9.68; PTFE, 6.71; and POM, 1.79. The corresponding values in the premolar region were: porcelain, 14.22; aluminum, 8.82; PTFE, 5.95; and POM, 2.30. In the molar region, the following values were obtained: porcelain, 7.40; aluminum, 3.68; PTFE, 1.27; and POM, - 0.18. The CRVs for the TMJ region were: porcelain, 3.60; aluminum, 2.04; PTFE, 0.48; and POM, - 0.43. Conclusion: CRVs were determined for each part of the jaw using the CNR value and the number of pits observed in phantom images.

The effect of occlusogingival placement of clinical bracket points on the adaptation of a straight wire to the lingual arch form

  • Abdi, Amir Hossein;Motamedian, Saeed Reza;Balaghi, Ehsan;Nouri, Mahtab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36-244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daptation of a straight wire between brackets positioned at the mid-lingual surface and those placed gingivally by using a three-dimensional simulation software.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using OrthoAid, an in-house software. The subjects were 36 adolescents with normal Class I occlusion. For each dental cast, two bracket positioning approaches, namely the middle and gingival, were examined. In the middle group, the reference points were placed on the mid-lingual surface of each tooth, while in the gingival group, the reference points were positioned lingually on the anterior teeth. A 4th degree polynomial was adopted, and the in-plane and off-plane root mean squares (RMSs) of the distances between the reference points and the fitted polynomial curve were calculated using the softwar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aired-samples t-test (${\alpha}=0.05$). Results: The mean in-plane RMS of the polynomial curve to the bracket distance in the gingiv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middle group (p < 0.001). The off-plane RMS was higher in the gingivally positioned brackets in the maxilla than in the middle group (p < 0.001). However, the off-plane RMS in mandib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 = 0.274). Conclusion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gingival placement of lingual brackets on the anterior teeth could decrease the distance between a tooth and the straight wire.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6전치 후방 견인시 힘의 적용점 변화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에 관한 유한 요소법적 분석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initial tooth displacement according to force application point during maxillary six anterior teeth retraction using skeletal anchorage)

  • 김찬년;성재현;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39-35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활주법을 이용한 전치부 후방 견인시 micro-implant의 다양한 수직적 위치와 전치부에서 힘의 적용점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을 관찰하여 공간 폐쇄시 전치부의 설측 경사와 정출력을 방지할 수 있는 micro-implant의 위치와 전치부 힘의 적용점의 위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한 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제1소구치가 발거된 상악 치열궁 형태를 제작하고 $.022"{\times}.028"$ 슬롯 브라켓을 모형화하여 치아에 부착시켰다. $.019"{\times}.025"$ stainless steel 선재를 3차원 beam모형으로 제작하고 상악 측절치와 견치 브라켓 사이의 선재 상에 $.032"{\times}.032"$ 크기의 stainless steel hook을 수직으로 8mm의 높이로 형성하였으며, 선재로부터 2mm높이에서 1mm간격으로 8mm까지 힘 적용점을 설정하였다. 지름 1.2mm,길이 6mm의 micro-implant를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의 치조골에 선재로부터 4mm에서 10mm까지 2mm간격으로 4개를 위치시켰다 각각의 micro-implant와 전치부 hook에 150gm의 힘을 적용시켜 다양한 힘 적용점에 따른 치아의 초기 변위를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Micro-implant 높이가 4m일 경우 5mm이하의 전치부 hook 높이에서는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전치부 hook 높이가 6m이상 되었을 때 전치부 순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다. 2. Micro-implant높이가 6mm일 경우 5mm이하의 전치부 hook높이에서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전치부 hook 높이가 6mm 이상 되었을 때 전치부 순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다 이것은 4mm micro-implant에서의 실험결과와 유사한 이동 양상을 나타내었지만, micro-implant높이가 6mm일 때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좀더 감소하였다. 3. Micro-implant높이가 8m일 경우 전치부 hook높이가 2mm일 때 전치의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3mm이상의 전치부 hook 높이에서 순측 경사 이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4. Micro-implant높이가 10mm일 경우 전치부 hook 높이가 2mm 이상에서 전치의 순측 경사 이동이 비례적ㅇ로 증가하였다. 5. 전치부 hook 높이가 증가할수록 전치의 순측 경사 이동이 증가되지만 선재의 뒤틀림에 의한 변형이 증가되므로 견치와 소구치 부위에서 정출력이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치아 이동 양상이 일어났다. 6. Micro-implant를 이용한 상악 5전치 후방 견인시 구치부의 이동은 선재와 브라켓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원심경사 이동이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