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onymity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3초

익명 그룹 기반의 효율적인 데이터 익명화 알고리즘 (An Efficient Algorithm of Data Anonymity based on Anonymity Groups)

  • 권호열
    • 산업기술연구
    • /
    • 제36권
    • /
    • pp.89-92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nonymity algorithm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s in big data systems. Firstly, we briefly introduce fundamental algorithms of k-anonymity, l-diversity, t-closeness. And then we propose an anonymity algorithm using controlling the size of anonymity groups as well as exchanging the data tuple between anonymity groups. Finally, we demonstrate an example on which proposed algorithm applied. The proposed scheme gave an efficient and simple algorithms for the processing of a big amount of data.

  • PDF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익명인증 방법 (A Method of Anonymity Authentication using the Public Certificate)

  • 이영교;안정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15-129
    • /
    • 2010
  • As the fixed mobile communication tools using the internet are developed, the off-line services are serviced through on-line on the internet. our society is divided into the real world and the cyber world. In the cyber world, the authentication to the user is absolutely required. The authentication is divided into the real-name authentication and the anonymous authentication by the kind of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 There are some ISPs needed the real-name authentication and there are others ISPs needed the anonymity authentication. The research about the anonymity authentication is steadily established to these day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roblem about blind signature, group signature, ring signature, and traceable signature. And we propose a method of anonymity authentication using the public certificate. In the proposal, the anonymity certificate have the new structure and management. Certificate Authority issues several anonymity certificates to a user through the real-name authentication. Several anonymity certificates give non-linked and non-traceability to the attacker.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기술적, 사회적 익명성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Technical and Social Anonymity on the Self-control Behavior)

  • 최희재;이준기;김정원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3-74
    • /
    • 2009
  •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익명성의 정도에 따라 자기통제의 행동이 달라짐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익명성에 대한 개념을 구분하여 객관적이고 기계적인 기술적 익명성과 개인의 주관적인 사회적 익명성으로 정의하고, 익명성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자기 통제의 정도와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였다. 인터넷 커뮤니티 회원을 대상으로 기술적 익명성, 사회적 익명성, 개인의 유대감, 자기통제 정도를 설문을 통해서 조사한 결과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기술적으로 주어지는 익명성은 개인이 가지는 유대감이 낮을수록 개인의 주관적인 사회적 익명성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기술적으로 주어지는 익명성은 개인의 주관적인 사회적 익명성을 통해서 자기통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익명성이 어떻게 해서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하나의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실명제 논의나, 인터넷 사이트의 익명성 정책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블록체인 환경에서 보안 기법들의 융합을 통한 프라이버시 및 익명성 강화 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 Enhancement Scheme of Privacy and Anonymity through Convergence of Security Mechanisms in Blockchain Environments)

  • 강용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75-81
    • /
    • 2018
  • 블록체인 내의 모든 트랜잭션이 공개되기 때문에 익명성과 프라이버시 문제는 중요해지고 있다. 공개 블록체인은 사용자 대신 공개키 주소를 사용하여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트랜잭션 그래프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법을 통해 추적함으로써 익명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익명성과 프라이버스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안 기법을 융합하여 사용자의 추적을 어렵게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k-anonymity 기술, 믹싱 기술, 은닉서명, 다단계 기법, 램덤 선택기법, 영지식 증명 기법 등을 융합하여 인센티브 및 기여자의 참여를 통해 익명성과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성능 분석을 통해 제안기법은 기여자의 수가 공모자의 수보다 많은 환경에서는 공모를 통한 프라이버시 및 익명성 훼손이 어렵다는 것을 보였다.

Mobile Communication Group Polarization: Effects of Communication Cues and Anonymity

  • Suh, Eung-Kyo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8호
    • /
    • pp.101-112
    • /
    • 2016
  •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 cues and anonymity on group polariz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ettings, both in terms of route and ext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objectiv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ues on group polarization with social presence as mediation and the direct effect of anonymity,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cohesion were analyzed.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the participation of 240 people, who were divided into 48 groups of 5 people.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difference in intergroup polarization due to communication cues and anonymity was insignificant. From this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communication cues and anonymity did not affect group polarization through social presence. Moreover, anonymity did not affect group polarization through perceived cohesion; however, anonymity directly affected group polarization. Conclusions - This research can help to explain the discussions and the related decision-making actions on internet forums, which have recently come to the rise as well as provide foundational basis in newly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forums.

온라인 커뮤니티 내 익명성이 가상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onymity on Virtual Team Performance in Online Communities)

  • 이은곤;이애리;김경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7-241
    • /
    • 2015
  •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비행을 막기 위해 어느 수준의 익명성을 보장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익명성의 개념이나 구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 커뮤니티의 가상 팀 활동에 익명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익명성의 개념 및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익명성을 1) 실명(무익명), 2) 별명(부분 익명), 3) 임의의 숫자 아이디를 임시로 부여(완전 익명)의 세 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익명성의 차이가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신뢰 및 인지된 신원 노출 위험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결과적으로 가상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험실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의 실제 모습을 반영하기 위해 정착된 커뮤니티의 가상 팀 상황을 만들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64개의 응답이 수집된 가운데, ANOVA와 PLS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명과 별명을 부여한 익명성 집단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임의의 아이디를 임시로 부여하였던 집단만이 인지된 익명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시에 익명성의 효과는 정착된 커뮤니티의 가상 팀 상황에서는 신뢰, 인지된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온라인 커뮤니티 실무에서 보다 전략적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익명성 보호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서 집단극화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익명성 관점에서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Group Polarization in Online Communication : Based on Anonymity)

  • 서응교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75-83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ues, anonymity, and social presence on group polariza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settings. Extant literature has introduced some theoretical backgrounds of social presence and SIDE (Social Identity model of Deindividuation Effects) to explai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ues and anonymity. The concept of social presence emphasized the mediating role on communication cues and anonymity. However, most literature did not measure social presence and compare group polarization of all condition groups. This does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result of group polariz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believe that the direct impact of anonymity on group polarization can provide a more admissible and clearer explanation for the results. In addition, this study categorizes anonymity into two levels, as anonymity of group and anonymity of self. To justify the anonymity view,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communication cues settings (visual cue; without visual cue) and anonymity settings (identified; anonymous). Each of the four settings has 10 groups consisting of five subjects each (total 200 subjects). The subjects are undergraduates from a large university, majoring in business. All experimental procedures and calculations of choice shift and preference change follow the literature. Results - First, the removal of visual cues does not produce a significant impact on group polarization,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he social presence view. Second, the anonymous condition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group polarization, which also cannot be explained by the social presence view. However, the anonymous condition directly affects group polarization. Specifically, anonymity of self has a stronger effect on group polarization than anonymity of group. The result explains about the leading factor affecting group polarization. This study examines another view of how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may be associated with group polarization. The process and outcome data from the experiment reveal that group polarization is not affected by level of social presence, but by level of anonymity. Group discussions conducted with visual cue CMC setting and identified CMC setting result in weaker group polarization. Conversely, group discussions conducted without visual cue CMC setting and anonymous CMC setting lead to stronger group polariz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y provide clues for business organizations to design the most appropriate media conditions and preemptive social conditions to implement when making group decisions through CMC, to maximize achievements, generate amicable agreements, or actively share information. Second, this study can be useful in analyzing different adverse effects generated through Internet use. Conclusions - This research can help explain discussions and decision-making actions on Internet forums, which have recently increased, as well as providing a foundational basis in newly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forums.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many other factors such as group size, topics, and group history may affect group polarization. These should be examined in future studies.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는 추적 가능한 인증 프로토콜 (Traceable Authentication Scheme Providing User Anonymity)

  • 최종석;신승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95-102
    • /
    • 2009
  • 최근에는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는 스마트카드 기반인증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원격시스템 인증프로토콜에서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카드 기반 인증 프로토콜을 Das등이 처음 제안하였지만, Das등의 프로토콜은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Chien 등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사용자 익명성이 제공되면서 악의적인 사용자를 감지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Kim 등은 추적 가능한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Kim 프로토콜의 사용자 익명성과 내부자공격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제안한 프로토콜의 안전성 및 효율성을 비교 분석한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면서 추적 가능한 인증프로토콜로 Kim 프로토콜에 비해 안전성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다.

Preserving User Anonymity in Context-Aware Location-Based Services: A Proposed Framework

  • Teerakanok, Songpon;Vorakulpipat, Chalee;Kamolphiwong, Sinchai;Siwamogsatham, Siwaruk
    • ETRI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501-511
    • /
    • 2013
  • Protecting privacy is an important goal in designing location-based services. Service providers want to verify legitimate users and allow permitted users to enjoy their services. Users, however, want to preserve their privacy and prevent tracking. In this paper, a new framework providing users with more privacy and anonymity in both the authentication process and the querying process is proposed. Unlike the designs proposed in previous works, our framework benefits from a combination of three important techniques: k-anonymity, timed fuzzy logic, and a one-way hash function. Modifying and adapting these existing schemes provides us with a simpler, less complex, yet more mature solution. During authentication, the one-way hash function provides users with more privacy by using fingerprints of users' identities. To provide anonymous authentication, the concept of confidence level is adopted with timed fuzzy logic. Regarding location privacy, spatial k-anonymity prevents the users' locations from being tracked. The experiment results and analysis show that our framework can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anonymity and privacy of users by incurring a minimal implementation cost and can improve functionality.

P2P 네트워크에서 익명성 보장을 위한 패킷 대치 기법 (Packet Replacement Technique for Securing Anonymity in P2P Network)

  • 김병룡;김기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3호
    • /
    • pp.331-338
    • /
    • 2005
  • 플러딩 기반 P2P 시스템은 기본적으로는 익명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익명의 상태에서 사용자와 제공자가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노드에서 노드로 전달되는 대부분의 패킷들은 패킷을 보낸 노드의 신원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패킷들은 중간 노드들이 동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라우팅 시스템에 의해서 목적지로 전송되어진다. 따라서 누가 최초로 전송했는지, 누가 지정된 수신지인지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다운로드와 업로드 하는 호스트의 IP주소가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익명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익명성이 문제가 될 수 있는 시스템에서 검색질의 응답 패킷의 교체를 통해서 사용자와 리소스 제공자의 신원 보호를 위해 익명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