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odonta arcaeformi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작은대칭이,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의 유생 발생 중 숙주어류내에서 글로키디움 유생의 피낭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lochidial Encystment in Host Fish during the development of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 박갑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81-87
    • /
    • 1998
  • 한국산 작은대칭이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의 유생발생 중 유생(glochidium)을 숙주어류인 붕어(carassius auratus)에 감염시켜 유생의 피낭형성과정(부착부위, 부착후 탈락가지의 시기)을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생들은 30분내에 숙주어류의 니트러미, 구강 그리고 아가미에 부착되었다. 이 연구에서 유생이 부착된 숙주어류의 지느러미를 시간별로 관찰하였다. 유생의 부착률은 숙주어류의 가슴지느러미,꼬리지느러미, 배지느러미에 각각 30%, 22%, 17%였다. 피낭형성과정은 천천히 진행되었다. 1차 피낭형성은 24시간에서 27시간째에 이루어졌고, 그리고 5일 내지 6일째 유생은 숙주조직의 상피세포로 완전히 덮였다. 유패의 탈락과정은 숙주에 감염시킨후 8일째에 관찰되었다. 유생의 대부분은 15일 이내에 숙주어류의 피낭으로부터 탈락되었다. 유생이 숙주에 부착되기 전과 숙주어류의 피낭으로부터 탈락된 유패의 크기는 변화가 없었다.

  • PDF

의암호에 서식하는 작은대칭이 ( Anodonta arcaeformis) 와 펄조개 ( Anodonta woodiana despecta ) 유생의 기생에 대하여 (On the Parasitism of the Glochidium of Anodonta arcaeformis and Anodonta woodiana despecta in the Lake Uiam)

  • 이준상;박갑만;송호복;박제철;권오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9-34
    • /
    • 1989
  • 의암호에서 채집된 작은애칭이(Anodonta aracaeformis)와 펄조개(Anodonta woodiana despecta)의 유생을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autae), 돌고기(Pungtungia heizi), 붕어(Carassius auratus)를 숙주로 하여 인위 감염 시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펄조개 glochidium 의 부착기간은 줄납자루, 돌고기에 각각 10일과 9일이었고 작은대칭이glochidium은 붕어에 21일간 부착하였다.2. 펄조개, 작은 대칭이 glochidium은 숙주의 가슴지느러미와 아가미에 높은 부착률을 나타내었다.3. 펄조개glochidium의 부착전과 후의 크기 변화는 없었으나 작은 대칭이 glochidium의 경우는 각고, 각장, 인대길이의 부착전 평균 크기가 0.345mm, 10365mm, 0.271mm에서 21일 이후 이탈 직전의 평균 크기는 0.373mm, 0,386mm, 0.290mm로 외형적인 크기 증가를 나타내었다.4. 펄조개 glochidium감염에 대한 숙주의 민감성은 줄납자루가 돌고기보다 높게 나타났다.5. 펄조개 glochidium은 부착후 2일, 작은대칭이는 8일째부터 기관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Glochidial Encystment of a Freshwater Clam, Anodonta arcaeformis on the Host Fish, Carassius auratus

  • Lee, Yong-Seok;Min, Byung-Jun;Kang, Se-Won;Jo, Yong-Hun;Kim, Tae-Yun;Kho, Weon-Gyu;Han, Yeon-Soo;Park, Hong-Seog;Jeong, Kye-Heo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1-187
    • /
    • 2007
  •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glochidium and glochidial encystment of Anodonta arcaeformis on the host fish Carassius auratus was conducted. The shape of the glochidium was apparently subtriangular and its average size was $270\;{\mu}m\;\times\;260\;{\mu}m\;\times\;145\;{\mu}m$. The glochidial shell valves were of the same size, kept together by a ligament that is 50.4 ${\mu}m$ in length and 5.5 ${\mu}m$ in width. Each of the glochidial shell valve had a long hook studded with many spines on the superior face. A large area of at the apex of the valve surrounding the base of the hook was provided with numerous small spines which became progressively smaller toward the periphery of the area. The glochidial shell valve consisted of two layers. The mantle cells line the glochidial shell valves and some of hair cells were observed. A larval thread was 2.3 ${\mu}m$ in diameter. In the artificial infection of the glochidia to one of the natural hosts, Carassius auratus, it took about three to four hours to encyst the glochidia with epithelial cells of the fish fins. The encystment method was the cell migration from the neighboring epithelial cells.

  • PDF

한국산 석패과 유생의 형태하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orphology of the Freshwater Unionidae Glochidia (Bivalvia : Palaeoheterodonta ) in Korea))

  • 박갑만;권오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6-62
    • /
    • 1993
  • Six species of freshx\water Unionidae mussels in Korea,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Unio douglasiae, U. douglasiae sinuloatus, Lamprotula gottschei, Lanceolaria acorohyncha were compared in regard to the various taxonomical characteristics of ultra structures of shells and glochidia.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the orter demibranchs of all the females of six species have served as marsupial(gravid)pouch. However, all the foru demibranchs were used as the marsupium in some female individuals of L. gottschei. The glochidia of 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and L. gottschei were separated one by one with the mucous strings and U. douglasiae sinuolatus were round-subtriangular in shape, and those of L. gottschei were subelliptical in shape. Each of the glochidial shell valves of six species had a hook studded with many spines on the superior face on valve. The glochidial shell valve had two or three rows of large spines; 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and L. gottschei had two rows and three rows in U. douglasiae, U. douglasiae sinuolatus, and L. acrorhyncha. The numbers of sensory hairs of A. arcaeformis flavotincta and A. woodiana were all eight, those of U. douglasiae, U. douglasiae sinuolatus and L. acrorhyncha were six. and that of L. gottschei was four. The external and internal surfaces of the glochidial shell valves of A. A. arcad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and L. gottschei had foveolate and psilate in U. douglaseae, U. douglasiae sinuolatus and L. acrorhyncha.

  • PDF

담수산 석패와 7종의 발생시기에 관한 연구 (Seasonal Gonadal Cycle of the Seven Species of Freshwater Unionidae ( Pelecypoda : Unionoida ))

  • 박갑만;권오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7-163
    • /
    • 1995
  • The unionid family Unionidae contains several genera in Korea, among which occru considerable variations in life histories and sexual conditions. Seven species from the Korea(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Unio douglaseae, U. douglasiae sinuolatus, Lamprotula gottschei, Lanceolaria acrorhyncha, Solenaia triangularis)were stueide in order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seasonal gonadal activity and the visceral sex. The gonads of seven species were histologically examined by using the paraffin block technique for sectioning. All seven species were uniformly dioecious and testicular activity in six species except one species, S. triangularis, generated sperm-morulae(multinucleated cell).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seven specie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multicative, growing, mature, spent, deginerative and resting stages. The breeding season of six species was the summer and that of A. a. flavotincta was the winter.

  • PDF

아산시 일대 담수역의 연체동물상 (A Study on the Molluscan Fauna in the Freshwater of Asan Area)

  • 심윤보;신현철;정계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3-70
    • /
    • 2003
  • 아산시에 분포하는 담수산 연체동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 10월부터 2000년 8월까지 101지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채집된 담수산 패류는 2 강 5 목 12 과 27 종이었으며 이중 복족류는 3 목 10 과 18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9 종이었다. 온양천 수계는 19개 지점에서 2 강 5 목 11 과 21 종이 채집되었고 복족류는 3 목 9 과 17 종, 이매패류는 2 목 2 과 4 종이 채집되었다. 이곳 수계에 우점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종은 물달팽이, 왼돌이물달팽이, 논우렁이와 주머니알다슬기였다. 곡교천 수계 25개 지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2 강 5 목 11 과 20 종이며 복족류는 3 목 9 과 15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5 종이 채집되었다. 이곳 수계에서 흔히 분포하고 있는 종은 물달팽이, 수정또아리물달팽이, 애기물달팽이, 그리고 논우렁이 순이었다. 삽교호 수계 32개 지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2 강 5 목 11 과 26 종이었으며 복족류는 3 목 9 과 17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9 종이었다. 이곳 수계의 우점종은 물달팽이, 논우렁이, 또아리물달팽이 순이었다. 아산호 수계 25개 지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2 강 5 목 12 과 21 종이었으며, 복족류는 3 목 10 과 17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4 종이었다. 이곳 수계의 우점종은 논우렁이, 애기물달팽이, 물달팽이, 또아리물달팽이 순이었다. 서식환경별로 살펴보면 논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던 종은 긴애기물달팽이, 배꼽또아리물달팽이, 왼돌이물달팽이였으며 하천에서는 물달팽이와 왼돌이물달팽이가 그리고 수정또아리물달팽이가 주로 나타났고, 저수지에서는 논우렁이와 물달팽이, 애기물달팽이, 긴애기물달팽이가 나타났다. 또한 호수에서는 논우렁이, 또아리물달팽이, 큰논우렁이, 물달팽이 순으로 나타났다. 대칭이, 작은대칭이, 펄조개는 저질이 니질인 곳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었고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특히 삽교호 수계 채집된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의 저질에서 출현하였다.

  • PDF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의 패류 체내 산란 (Spawning of the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into the Mussel)

  • 송호복;권오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9-50
    • /
    • 1994
  •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의 패류 체내 산란에 관하여 1990년부터 1992년까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의암호에서 조사 연구하였다. 본 종은 패류 체내 산란시 조개의 크기에 관계없이 산란숙주로 선호하는 종이 있었으며 선호하는 종내에서는 큰 개체를 선택하였다. 산란숙주로는 석패과의 말조개, 작은말조개, 곳체두드럭조개, 작은대칭이 등의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석패과의 도끼조개, 재첩과, 산골과의 패류에는 산란을 하지 않았다. 조개 안의 어란과 자어는 대부분 내반새에 위치하였고 말조개에서 발견되는 어란과 자어의 수는 1-35개(마리) 사이였으며 한 개체당 평균 3.6개(마리)를 보유하고 있었다. 본 종은 비교적 부화가 빠르고 부화 직후에 이미 표피상돌기와 익상돌기가 생성되어 있었으며 꼬리운동이 활발하였는데 이는 조개의 반새안에서 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된다.

  • PDF

담수 이매패류 3종의 여과율 측정을 통한 조류 제어의 생물학적 접근 가능성 (Biological Accessibility to Algae Control through Measurement of Filtration Rate of Three Freshwater Bivalves)

  • 나영권;김동균;김영신;박정호;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4권1호
    • /
    • pp.39-4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20년 6월에서 9월까지 4개월 동안 우리나라 하천 중 금강 백제보에 주로 서식하는 말조개, 펄조개와 대칭이를 채집하여 서식처 특성을 살펴보았고, 이들의 여과율을 실내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여 검량선을 산출하였다. 백제보에서 채집된 말조개, 펄조개, 대칭이는 24시간 동안 평균 154.84 ㎍ L-1의 Chl-a를 제거하였으며, 이는 실내 수조(2 L) 내의 식물플랑크톤 C. vulgaris(초기 Chl-a=168.34 ㎍ L-1)를 약 24시간 만에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말조개, 펄조개, 대칭이가 연평균 4만 마리가 서식할 경우(Lee et al., 2020), 6월 한달 동안 예상되는 Chl-a의 저감 효과는 10.55%으로 예측되고 7월의 경우 34.88%, 8월의 경우 20.14%, 9월의 경우 46.21%로 평균 27.94%의 저감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간접적으로 이매패류가 서식지에서 효과적으로 Chl-a를 제거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실제로 이매패류를 통하여 수생태계의 조류 제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매패류뿐만 아니라 식물플랑크톤, 수생식물, 저서생물, 퇴적물, 유속 등의 작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매패류의 여과율과 이에 따른 Chl-a에 저감율에 기반하여 수생태계 조류 제어능력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들은 차후 다양한 요인과 관점에서의 통합된 연구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납자루아과(Pisces: Acheilognathinae) 어류 3종의 숙주조개에 대한 산란양상 및 재첩(Corbicula fluminae) 내 산란 국내 최초 보고 (Spawning patterns of three bitterling fish species (Pisces: Acheilognathinae) in host mussels and the first report of their spawning in Asian clam(Corbicula fluminae) from Korea)

  • 서진규;최희규;이혁제
    • 환경생물
    • /
    • 제41권3호
    • /
    • pp.229-246
    • /
    • 2023
  • 본 연구는 낙동강 지류인 고령 회천 유역의 납자루아과어류 3종(줄납자루, 낙동납자루, 각시붕어)을 대상으로 숙주조개 종에 대한 산란양상을 조사하고 재첩 내 산란한 종을 식별하였다. 현장에서 채집된 총 200개 조개 중 납자루아과 어류 산란율은 말조개(45.2%)와 작은대칭이(45.5%)가 유사하였으나, 재첩은 12.1%로 낮게 나타났다. 재첩을 산란조개로 이용한 납자루아과 어류는 줄납자루와 낙동납자루로 확인되었다. 말조개에서는 납자루아과 3종 모두 산란이 확인되었으며 작은대칭이에선 줄납자루만 산란이 확인되었다. 기존 문헌에 의하면, 재첩은 말조개류보다 크기가 작고 아가미 구조가 달라 납자루아과 어류의 난 및 치어가 생존에 불리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재첩과는 산란숙주조개로서 이용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재첩 내 납자루아과 어류 산란이 최근 중국에서 보고된 바 있고, 본 연구를 통해 재첩내 납자루아과 산란이 국내 최초로 확인되었다. 이는 재첩이 납자루아과의 산란숙주조개로 이용되었다는 것을 의미 하지만, 산란 후 발생과정을 거쳐 유영능력을 획득하여 조개 밖으로 이동해 독립된 생활사를 지속하는지에 대한 여부는 추후 확인이 필요하다. 재첩 내 산란이 산란초기에 나타나는 현상이거나 높은 경쟁관계와 같은 생물학적 환경요인에 의한 현상일수도 있는점을 고려해 추후 5, 6월 시기에 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낙동강수계의 다른 하천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납자루아과 어류의 재첩에 대한 산란양상 파악을 보다 면밀히 구명할 필요가 있다. 말조개 33개체 중 19개체(57.6%)에서 납자루아과 어류 2종 이상의 난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산란장을 차지하기 위한 납자루아과 어류 종간경쟁의 강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낙동강에 서식하는 납자루아과 담수어류의 산란양상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고 이들 자연개체군의 효과적인 유지, 관리 및 보전 방안 마련을 위한 생태, 유전적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