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sakis larva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1초

A 24 kDa Excretory-Secretory Protein of Anisakis simplex Larvae Could Elicit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in Mice

  • Park, Hye-Kyung;Cho, Min-Kyoung;Park, Mi-Kyung;Kang, Shin-Ae;Kim, Yun-Seong;Kim, Ki-Uk;Lee, Min-Ki;Ock, Mee-Sun;Cha, Hee-Jae;Yu, Hak-S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4호
    • /
    • pp.373-380
    • /
    • 2011
  • We have reported that a 24 kDa protein (22U homologous; As22U) of Anisakis simplex larvae could elicit several Th2-related chemokine gene expressions in the intestinal epithelial cell line which means that As22U may play a role as an allergen. In order to determine the contribution of As22U to allergic reactions, we treated mice with 6 times intra-nasal application of recombinant As22U (rAs22U). In the group challenged with rAs22U and ovalbumin (OVA), the number of eosinophils in the bronchial alveolar lavage fluid (BAL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group receiving only OVA. In addition, mice treated with rAs22U and OVA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Thus, severe inflammation around the airway and immune cell recruitment was observed in mice treated with rAs22U plus OVA. The levels of IL-4, IL-5, and IL-13 cytokines in the BALF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with rAs22U and OVA. Similarly, the levels of anti-OVA specific lgE and lgG1 increased in mice treated with rAs22U and OVA, compared to those treated only with OVA. The Gro-${\alpha}$ (CXCL1) gene expression in mouse lung epithelial cells increased instantly after treatment with rAs22U, and allergy-specific chemokines eotaxin (CCL11) and thymus-and-activation-regulated-chemokine (CCL17) gene expressions significantly increased at 6 hr after treatment. In conclusion, rAs22U may induce airway allergic inflammation, as the result of enhanced Th2 and Th17 responses.

고래회충유충증 감별 진단을 위한 18S ribosomal DNA (rDNA) PCR-RFLP 법 적용 (Application of the 18S Ribosomal DNA (rDNA) PCR-RFLP Technique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nisakidosis)

  • 김선미;조민경;유학선;차희재;옥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328-1332
    • /
    • 2009
  • 고래회충유충증은 해산어류에 기생하는 고래회충과(family Anisakidae)에 속하는 선충류 유충에 의한 질병으로 유충의 직접적인 위장관내 침입으로 인한 병변과 더불어 유충의 분비 배설물에 의한 알레르기 질환도 유발될 수 있다. 고래회충유충증은 A. simplex를 비롯하여 Contracaecum, Pseudoterranova, Hysterothylacium 등의 유충에 의해 야기될 수 있으나 이들에 대한 형태학적 감별 진단은 유충의 형태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형태학적 진단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분자생물학적 감별진단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A. simplex, Contracaecum type A. type C' 및 Goezia 유충을 숭어, 도다리, 고등어, 아나고, 참돔 등 5종의 어류에서 분리하였다. 각각의 유충으로부터 분리한 18S rDNA를 PCR로 증폭한 후 Taq 1, Hinf I, Hha I, Alu 1, Dde I, Hae III, Sau 96I, Sau 3AI 등 8종의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PCR-RFLP를 시행하였다. PCR product의 크기는 약 2.0 Kb였으며 Hinf l, Alu 1, Hha I, Dde 1 및 Hae III로 A. simplex와 Contracaecum type C'을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러나 Contracaecum type A의 경우에는 Taq I, Hinf I, Alu I 및 Dde I의 경우에는 2가지 패턴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가운데 일부는 A. simplex, Contracaecum type C', 및 Goezia와 동일한 분석 패턴을 보이기도 하였다. Goezia는 사용한 8개의 제한 효소 모두에서 A. simplex 및 Contracaecum type A 및 type C'과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18S rDNA PCR-RFLP 방법은 A. simplex와 Contracaecum type C'의 감별 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Contracaecum type A의 분류에는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함은 물론 형태학적 분류 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Four cases of gastric submucosal mass suspected as anisakiasis

  • KIM Seoung-Gu;JO Yun-Ju;PARK Young-Sook;KIM Sung-Hwan;SONG Moon-Hee;LEE Han-Hyo;KIM Jeong-Seon;RYOU Ji-Won;JOO Jong-Eun;KIM Dong-H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81-86
    • /
    • 2006
  • Anisakiasis is a parasitic disease caused by ingestion of raw fish infected with anisakid larvae. Endoscopic changing patterns of submucosal lesions in chronic gastric anisakiasis have not been known yet. Here we report 4 cases of suspected gastric anisakiasis which were improved during follow-up periods without surgical treatment. The patients presented with abdominal pain, nausea and vomiting after consuming raw marine fish, and visited our gastroenterology outpatient department. Their endoscopic findings showed firm and yellowish submucosal masses accompanied with eccentric erosions. Histologic findings showed severe eosinophilic infiltrations. In blood tests, peripheral eosinophil counts and total IgE levels were elevated. We believed that all cases were caused by larval anisakid infections. The submucosal mass lesions disappeared during the follow-up periods of 2 to 4 mo.

실험적 토끼 아니사키스증에서의 조직학적 병변과 혈청 항체가의 경시적 변동 양상 (Histopathological and Serological Observations on Experimental Anisakiasis of Rabbits)

  • 홍성태;이손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168-180
    • /
    • 1987
  • 아니사키스중에서 조직병리학적 병변과 혈청학적 반응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동 양상을 관찰하고자 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조기 와 아나고 내 잔에서 구한 멸룬연상 type I 유충을 체중 3kg 내외의 집토끼에 30마리씩 경구 투여하고, 감염 전과 감염 후 3, 13, 20, 30, 60, 90, 150일에 채 늴하여 혈청을 냉동 보관 하였다. 동시에 13, 20, 30, 60, 90, 150일에 1~3마리 씩 도살하여 위부터 하행결장까지 육안으로 검사하여 아니사키스 충체의 유무를 조사하고, 충체가 감염된 부위를 선택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냉동 보관한 혈청을 이용한 micro-ELISA를 시행하여 항체가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안 검사에서 아니사키스 유충은 위에서 57.7%가 검출되고, 그 이외에 대망(mentum), 잗, 장간막, 복막등에서도 검출되 었다. 감염기 간에 따른 충체의 검출율이나 검출부위의 차이는 인정 할 수 없었다. 전체 충체검출율은 18.6%이고 살아서 움직이는 충체는 하나도 없었다. 2. 조직병리학적으로 관찰한 바, 감염 후 13일에는 대부분의 충체가 내부구조를 온전하게 유지하고 있으면서, 충체 주위에는 농양이 형성되어 있어 감염된 위장관벽이 2~3배 두꺼워져 있었다. 충체 주변에 섬유성 삼출액이 염증세포와 혼합되어 있고 그 주위를 조직세포(histiocytes)가 층을 이루며 둘러싸고 다시 주위의 병소 대부분을 수많은 염증세포(중성구, 호산구, 림프구등)와 섬유아세포가 차지하고 있었다. 감염 후 20일과 30일에는 삼출액이 차츰 줄고, 섬유소가 증식하는 육아조직으로 전환되었다. 충체는 20일 관찰된 것부터 괴사에 빠지고, 30일에는 조직구가 직접 충체를 둘러싸며 숙주세포가 충체를 침윤하는 것이 뚜렷이 관찰되었다. 또 30일부터 칼슘이 침착된 충체가 관찰되었다. 감염 후 90일과 150일에는 칼슘화된 충체만이 관찰되며 충체주위는 섬유조직으로 대체되고 소수의 염증세포 만이 모여 있었다. 3. ELISA를 이용하여 혈청내 Is G항체가의 측정결과 감염 후 기간에 따른 카 군별 흡광도(O.D.)의 평균(${\pm}표준편차$)치가 대조군 0.165(${\pm}0.144$), 3일 0.257(${\pm}0.194$), 13일 0.448(${\pm}0.257$), 20일 0.662(${\pm}0.311$), 30일 1.113(${\pm}0.336$), 60일 0.993(${\pm}0.331$), 90일 0.740(${\pm}0.185$), 150일에 0.376이 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토끼에 감염된 아니사키스는 감염 1주 경에 죽고, 2주 정도 까지는 형태학적 구조를 유지하지만, 20일 이후에는 괴사되며, 30일 이후에는 숙주 세포에 의하여 파괴 흡수되거나 석회화되는 과정을 겪고, 90일 이후에는 석회화된 것 이외에는 거의 흡수되어 관찰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겠다. 충체가 감염된 후 죽어서 흡수되기 시작하는 30일 정도의 기간동안 집중적으로 충체의 항원이 방출되어 항체가가 위와 같은 변화양상을 보인다고 판단된다. 감염 150일에는 항체가가 뚜렷하게 감소한 상태이므로 감염 후 20~90일에는 ELISA가 유용한 혈청학적 진단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진단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차 반응등에 관하여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Identification of Functionally Different Rat IgE in RBL-2H3 Exocytosis

  • Kim, Jin-Sub;Cho, Sungae;Joo, Kyoung-Hwan;Lee, Joon-Sang;Conrad, Daniel H.;Cho, Sung-Weon
    • IMMUNE NETWORK
    • /
    • 제2권4호
    • /
    • pp.195-201
    • /
    • 2002
  • Background: IgE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llergies. However, the poor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 IgE level and the severity of allergic disease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ly different IgE isoforms. With this in mind,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activation was analyzed with each type of rat IgE for two parameters, exocytosis and IL-4 mRNA production. RBL-2H3 has been well documented in the rat mucosal mast cell line. Methods: RBL-2H3 cells sensitized with each kind of rat IgE was activated by cross-linking FcRI with B5 (monoclonal anti-rat IgE mouse IgG antibodies). The RBL-2H3 exocytosis was measured by analyzing the ${\beta}$-hexosaminidase level, and the level of IL-4 mRNA synthesis was analyzed using semiquantitative RT-PCR. Rat IgE, which was produced by a parasite infection (REP), was prepared using either Paragonimus westermani metacercariae (REP-PW) or Anisakis simplex third stage larvae (REP-AS). A rat IgE prototype of IR162 was prepared by a peritoneal injection of immunocytoma. Results: The level of exocytosis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rat IgE concentration when REP-PW or REP-AS was applied. However, it exhibited a biphasic response with IR162. In addition, the time course of heating at $56^{\circ}C$ illustrated the similarity between REP-PW and REP-AS, which differed from that of IR162. In contrast, the level of IL-4 mRNA synthesis in the RBL-2H3 cells with IR162 was comparable to that of either REP-PW or REP-A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ly different rat IgE isoforms exists in RBL-2H3 exocytosis.